리처드 파인만 리처드 파인만은 흔히 아인슈타인 이후 최고의 천재로 평가되는 미국의 물리학자이다. 1918년 미국 뉴욕에서 태어나 MIT와 프린스턴대학 물리학과에서 박사학위를 받았고, 1945년부터 코넬대학, 그리고 1951년부터 1988년 사망할 때까지 캘리포니아 공과대학에서 교수로 재직했다. 2차대전 중에는 원자폭탄 개발 계획에 참여했으며, 1965년 양자전기역학 이론으로 줄리안 슈윙어, 도모나가 신이치로와 함께 노벨 물리학상을 수상했다. 빛과 전자의 상호작용을 도식화하는 파인만 다이어그램의 창안자로 유명하며, 1961년부터 1963년까지 학부생을 대상으로 한 유일한 강의를 책으로 엮은 『파인만 물리학 강의』는 전 세계의 물리학도들에게 전설이 된지 오래다. 그는 물리학자이면서도 일상에 항상 호기심이 많았고, 어떤 형식의 권위에도 복종하지 않았던 창조적이고 주체적인 정신의 소유자로 위대한 연구업적 외에도 재미있는 일화를 많이 남겼다.
옮긴이
정무광은 캘리포니아 공과대학(칼텍)에서 물리학 학사, 콜럼비아대에서 천문학 석박사 학위를 마치고, 현재 프린스턴대 천체물리학과 박사후 연구원으로 있다. 어릴 적부터 파인만을 동경해서 '파인만의 물리학 강의' 등 파인만의 저서와 관련 서적을 읽으며 물리학과 영어를 배웠다. 『우주와 인간 사이에 질문을 던지다』(공저), 그리고 『파인만의 물리학 강의 III』을 공동 번역 중이다. 이 책을 통해 우리 사회에도 '과학적으로 생각하기' 붐이 일어났으면 하는 바램을 갖고 있다.
정재승은 카이스트 물리학과에서 학부를 마치고 신경물리학으로 박사학위를 받았으며, 예일의대 신경정신과 박사후 연구원을 거쳐 현재 카이스트 바이오및뇌공학과 교수로 재직중이다. 쓴 책으로 『물리학자는 영화에서 과학을 본다』, 『정재승의 과학콘서트』, 『정재승의 도전! 무한지식』(공저) 등이 있다. 리처드 파인만을 진심으로 존경해 이 책을 번역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