目次
第一部 總 論
第一章 天符經의 由來 22
Ⅰ. 天符經의 由來 22
1. 桓國時代 24
2. 桓雄(神市)時代 30
(1) 환웅(신시)시대 개관 | (2) 《삼일신고(三一神誥)》와 원방각경(圓方角經)의 출현
(3) 문자의 창제
Ⅱ. 天符經의 註解 根據 38
1. 本書의 註解 根據 38
2. 주역(周易) 음양오행설(陰陽五行說), 수리(數理)에 의한 주해의 문제점 41
第二章 三神一體思想
第 一 하나(一) 44
Ⅰ. 天符經의 하나(一) 45
1. 三一神誥의 第一章 虛空 | 2. 太白逸史 三神五帝本紀(태백일사 삼신오제본기)
3. 太白逸史 桓國本紀(태백일사 환국본기) | 4. 太白逸史 蘇塗經典本訓(태백일사 소도경전본훈)
Ⅱ. 佛敎의 하나(一) 52
1. 金剛經五家解 序說
2. 中論의 諸法實相
(1) 귀경게(歸敬偈)의 八不
(가) 사종불생(四種不生) | (나) 청목(靑目)의 八不 논증(論證
(2) 말미 2게
(3) 삼시게(三是偈)
(4) 空의 세 가지 내용과 諸法實相(法性)
第二 三神 68
Ⅰ. 三神의 意義 69
1. 三一神誥 第二章 一神《태백일사 소도경전본훈》
(1) 대덕(大德) | (2) 대혜(大慧) | (3) 대력(大力)
2. 원방각경(圓方角經)
3. 도(道)의 근거(根據)로서 삼신(三神)
(1) 《태백일사 고구려국본기》| (2) 《태백일사 삼한관경본기 마한세가》
4. 大德(天一一), 大慧(地一二), 大力(人一三)의 관계
(1) 天二三, 地二三, 人二三
(2) 大三合六
Ⅱ. 三 과 一의 關係 83
1. 三一其體 一三其用
2. 執一含三 會三歸一
(1) 단군세기 서 | (2) 태백일사 소도경전본훈 | (3) 태백일사 삼신오제본기
Ⅲ. 三神의 能力 88
1. 總力(총괄적인 능력)
2. 一切萬物의 原理
<불교> 1) 욕계(欲界) | 2) 색계(色界) | 3) 무색계(無色界) | 4) 육도(六道)
3. 인과(因果)의 원리
4. 오제(五帝), 오령(五靈)을 주재하는 능력
5. 天一, 地二, 人三의 개별적 능력
(1) 事(일체만물)에 미치는 영향
(2) 조화(造化), 교화(敎化), 치화(治化)의 원리 및 진선미(眞善美)의 체(體)
Ⅳ. 三神의 모습 103
1. 光明인 三神
2. 三神의 시간과 공간
Ⅴ. 三神의 住處 104
1. 무주처(無住處)
2. 천궁(天宮)
第三. 大乘起信論의 三大 108
Ⅰ. 佛敎의 意義 108
1. 佛敎의 定義
2. 佛敎의 目的
(1) 상구보리(上求菩提) | (2) 하화중생(下化衆生)
Ⅱ. 小乘佛敎와 大乘佛敎 116
1. 小乘佛敎
(1) 소승불교의 성립
(가) 불멸직후(佛滅直後)
1) 재가신자(在家信者)들의 교단 이탈
2) 불전(佛典)의 제1결집(結集)
(나) 상좌부(上坐部)와 대중부(大衆部)의 분열
(다) 부파불교(部派佛敎)
(2) 소승불교의 진리
(가) 연기론(緣起論)
(나) 실상론(實相論)
1) 법체항유(法體恒有)에 대한 검토 | 2) 삼세실유(三世實有)에 대한 검토
(다) 열반론(涅槃論)
(라) 수행론(修行論)
2. 大乘佛敎
(1) 대승불교의 성립
(가) 불탑관리자들에 의한 태동
[아소카왕의 불교 귀의]
(나) 산림수행자들에 의한 태동
(2) 대승불교의 진리
(가) 실상론(實相論)
1) 법체항유(法體恒有)에 대한 부정(否定) | 2) 삼세실유(三世實有)에 대한 부정(否定)
3) 중도실상(中道實相)
(나) 열반론(涅槃論)
Ⅲ. 三大 161
1. 大乘起信論解題
가. 종체(宗體)를 표(標)함
나. 제명(題名)을 해석(解釋)함
2. 三大
(1) 삼대(三大)의 총체적(總體的) 해석(解釋)
(2) 삼대(三大)의 별석(別釋)
1) 體, 相의 二大 | 2) 용대(用大)
Ⅳ. 三大와 三神 192
第三章 緣起論
第一. 業感緣起說 203
Ⅰ. 業의 種類 204
1. 身業, 口業, 意業
2. 共業과 別業
3. 定業(現業), 後業, 不定業
4. 引業, 滿業
Ⅱ. 業의 性質 205
Ⅲ. 業의 原因(煩惱) 205
1. 根本煩惱
2. 隨煩惱
第二. 阿賴耶識緣起說 208
Ⅰ. 識의 種類 208
1. 識의 뜻
2. 여덟 종류의 식(識)
Ⅱ. 第6意識(意識) 212
1. 意識의 뜻
2. 意根
(가) 소승불교의 의근설 | (나) 대승불교의 의근설
3. 意識의 特性
(가) 오구의식(五俱意識) | (나) 불구의식(不俱意識)
Ⅲ. 第7末那識 216
1. 말나식의 뜻
2. 말나식의 특성(特性)
3. 말나식의 근(根)
4. 말나식의 사번뇌(四煩惱)
(가) 아치(我痴)의 번뇌(煩惱) | (나) 아견(我見)의 번뇌(煩惱) | (다) 아만(我慢)의 번뇌(煩惱)
(라) 아애(我愛)의 번뇌(煩惱)
Ⅳ. 阿賴耶識 222
1. 아뢰야식의 뜻
2. 아뢰야식의 삼상(三相)
(1) 자상(自相)
1) 능장(能藏)
2) 소장(所藏)
3) 집장(執藏)
가) 아애집장현행위(我愛執藏現行位) | 나) 선악업과위(善惡業果位) | 다) 상속집지위(相續執持位)
(2) 과상(果相)
(3) 인상(因相)
1) 등류습기(等流習氣)와 등류과(等類果) | 2) 이숙습기(異熟習氣)와 이숙과(異熟果)
3. 아뢰야식의 사분(四分)
(1) 사분(四分)
1) 상분(相分) | 2) 견분(見分) | 3) 자증분(自證分) | 4) 증자증분(證自證分)
(2) 8식의 사분(四分)
1) 말나식의 인식대상(相分) | 2) 아뢰야식의 인식대상(相分)
Ⅴ. 種子 234
1. 種子의 意味
2. 種子論
(1) 출체문(出體門, 種子와 果報의 同質性)
(2) 일이분별문(一異分別門)
(3) 가실분별문(假實分別門)
(4) 이제분별문(二諦分別門)
(5) 사분분별문(四分分別門)
(6) 삼성분별문(三性分別門)
(7) 신훈본유분별문(新熏本有分別門)
1) 본유설(本有說) | 2) 신훈설(新熏說) | 3) 합성설(合成說)
(8) 구의다소문(具義多少門): 種子六義
1) 찰나생멸의(刹那生滅義): 種子生種子 | 2) 과구유의(果俱有義) | 3) 항수전의(恒隨轉義)
4) 성결정의(性決定義) | 5) 대중연의(待衆緣義) | 6) 인자과의(引自果義)
(9) 내종(內種), 외종(外種), 생인(生因), 인인(引因)
1) 내종(內種), 외종(外種) | 2) 생인(生因), 인인(引因)
Ⅵ. 熏習과 現行 244
1. 훈습(熏習)
2. 현행(現行)
3. 훈습과 현행의 관계(阿賴耶緣起)
(1) 종자생종자(種子生種子) | (2) 종자생현행(種子生現行) | (3) 현행훈종자(現行熏種子)
第三 眞如緣起論 247
Ⅰ. 眞如의 意義 248
1. 경(經), 논(論)에서 말하는 진여(眞如) | 2. 대승기신론(大乘起信論)의 진여(眞如)
Ⅱ. 緣起의 根源(阿黎耶識) 250
1. 진여연기의 문제점
2. 아려야식(阿黎耶識)
(1) 아려야식의 의미 | (2) 야려야식의 각(覺)과 불각(不覺)
Ⅲ. 根本不覺(無明) 253
1. 無明의 意義
2. 無明의 原動力
3. 無明의 體性
4. 無明의 始初
Ⅳ. 染法緣起(三細六?) 257
Ⅴ. 阿黎耶識의 覺 258
1. 시각(始覺)
(1) 시각(始覺)의 의의(意義)
(2) 사상(四相)
(가) 생상(生相) | (나) 주상(住相) | (다) 이상(異相) | (라) 멸상(滅相)
(3) 시각(始覺)의 4단계
(가) 범부의 각(覺): 불각(不覺) | (나) 상사각(相似覺) | (다) 수분각(隨分覺) | (라) 구경각(究竟覺)
2. 본각(本覺)
(1) 수염본각(隨染本覺)
1) 지정상(智淨相) | 2) 불사의업상(不思議業相)
(2) 성정본각(性淨本覺)
1) 여실공경(如實空鏡) | 2) 인훈습경(因熏習鏡)
[자량위(資糧位)와 가행위(加行位)] 276
1. 번뇌장(煩惱障)과 소지장(所知障)
1) 번뇌장(煩惱障) | 2) 소지장(所知障)
2. 이장(二障)의 단(斷)과 복(伏)
Ⅰ. 자량위(資糧位)
1. 십주(十住) | 2. 십행(十行) | 3. 십회향(十廻向)
Ⅱ. 가행위(加行位)
1. 난위(煖位) | 2. 정위(頂位) | 3. 인위(忍位) | 4. 세제일법위(世第一法位)
Ⅲ. 통달위(通達位): 見道
1. 진견도(眞見道) | 2. 상견도(相見道)
Ⅳ. 수습위(修習位): 修道
1. 2지(二智)의 증득
2. 구생기(俱生起)의 2장(二障)을 끊음(斷)
3. 십지(十地)의 차제(次第)
(1) 환희지(歡喜地) | (2) 이구지(離垢地) | (3) 발광지(發光地) | (4) 염혜지(焰慧地)
(5) 난승지(難勝地) | (6) 현전지(現前地) | (7) 원행지(遠行地) | (8) 부동지(不動地)
(9) 선혜지(善慧地 | (10) 법운지(法雲地)
Ⅴ. 구경위(究竟位): 無學道(佛果)
1. 4종열반(四種涅槃)
(1) 소승불교의 열반 | (2) 대승불교의 열반
2. 보리(菩提)의 4지(四智)
(1) 대원경지(大圓鏡智) | (2) 평등성지(平等性智) | (3) 묘관찰지(妙觀察智)
(4) 성소작지(成所作智)
3. 불신(佛身)
(1) 자성신(自性身): 법신(法身)
(2) 수용신(受用身): 보신(報身)
1) 자수용신 | 2) 타수용신
(3) 변화신(變化身): 화신(化身)
3) 법출리경(法出離鏡)
4) 연훈습경(緣熏習鏡)
Ⅵ. 覺과 不覺의 관계
1. 동상(同相)
2. 이상(異相)
Ⅶ. 熏習
1. 훈습(熏習)의 의미(意味)
2. 염훈습(染熏習)
(1) 무명훈습(無明熏習) | (2) 망심훈습(妄心熏習) | (3) 망경계훈습(妄境界熏習)
3. 정훈습(淨熏習)
(1) 망심훈습(妄心熏習)
1) 분별사식훈습(分別事識熏習) | 2) 의훈습(意熏習)
(2) 진여훈습(眞如熏習)
1)자체상훈습(自體相熏習) | 2) 용훈습(用熏習) | 가) 차별연(差別緣) | 나) 평등연(平等緣)
第四 天符經의 緣起 316
Ⅰ. 緣起를 의미하는 일곱(七) 316
1. 일곱(七)에 있는 숫자 이외의 의미 | 2. 緣起의 의미로서의 일곱(七)
Ⅱ. 三一神誥의 緣起論 319
1. 제2장 일신(一神) | 2. 제4장 세계(世界) | 3. 제5장 인물(人物)
第四章 法界緣起論
Ⅰ. 空의 思想 325
1. 空의 意義 325
(1) 어원적 의미 | (2) 철학적 의미 | (3) 구별되어야 할 개념
1) 없음(無, absence)의 공 | 2) 없어짐(斷, annihilation)의 공
2. 經, 論에서의 空 327
(1) 《반야심경(般若心經)》의 공(空)
(가) 色不異空 空不異色(색은 공과 다르지 않고, 공은 색과 다르지 않다)
1) 색(色)과 공(空)이 분리되어 있거나 서로 별개가 아닌 관계
2) 상입(相入)의 이사무애법계(理事無?法界)
3) 무분별후득지(無分別後得智)의 경계
(나) 色卽是空 空卽是色(색이 바로 공이며, 공이 바로 색이다)
1) 색의 체는 공(空)이며, 공(空)은 일체제법의 근원(根源)
2) 상즉(相卽)의 이사무애법계(理事無?法界)
3) 무분별지(無分別智)의 경계
(2) 대승기신론(大乘起信論)의 공(空)
(가) 心眞如(離言眞如)
1) 진여(眞如)의 체(體)를 밝힘(진여의 본체를 설명)
2) 진여(眞如)의 명(名)을 해석(“진여”라는 이름을 설명)
(나) 心眞如相(依言眞如)
1) 여실공(如實空)
2) 여실불공(如實不空)
Ⅱ. 華嚴思想의 두 原理(相入, 相卽) 338
1. 상입(相入, mutual penetration, mutual entering)의 원리 339
(1) 동시돈기(同時頓起)
(2) 동시호입(同時互入), 동시호섭(同時互攝)
2. 相卽(mutual identity)의 原理 342
(1) 相卽의 原理 이해
(2) 일즉다다즉일(一卽多多卽一)의 이해
Ⅲ. 緣起因門六義 345
1. 緣起因門六義의 의미 345
2. 因門六義 346
(1) 인문육의의 도출
1) 緣不生自因生故(연불생자인생고)
2) 不無因隨緣有故(불무인수연유고)
3) 因不生緣生故(인불생연생고)
4) 不共生無智者故(불공생무지자고)
(2) 인문육의(因門六義)의 의미
1) 찰나멸(刹那滅)
2) 과구유(果俱有)
3) 대중연(待衆緣)
4) 성결정(性決定)
5) 인자과(引自果)
6) 항수전(恒隨轉)
3. 因門六義와 相卽, 相入 350
Ⅳ. 法界緣起 351
1. 法界의 意義 351
2. 四種法界 352
(1) 사법계(事法界)
(2) 이법계(理法界)
(3) 이사무애법계(理事無?法界)
(4) 사사무애법계(事事無?法界)
3. 十玄緣起 356
(1) 동시구족상응문(同時具足相應門) | (2) 광협자재무애문(廣狹自在無?門)
(3) 일다상용부동문(一多相容不同門) | (4) 제법상즉자재문(諸法相卽自在門)
(5) 은밀현료구성문(隱密顯了俱成門) | (6) 미세상용안립문(微細相容安立門)
(7) 인다라망경계문(因陀羅網境界門) | (8) 탁사현법생해문(託事顯法生解門)
(9) 십세격법이성문(十世隔法異成門) | (10) 주반원명구덕문(主伴圓明具德門)
4. 六相圓融 366
(1) 육상원융(六相圓融)의 이해(理解)
(가) 총괄적 해석
1) 총상(總相) | 2) 별상(別相) | 3) 동상(同相) | 4) 이상(異相)
5) 성상(成相) | 6) 괴상(壞相)
(나) 문답에 의한 해석
1) 총상(總相) | 2) 별상(別相) | 3) 동상(同相) | 4) 이상(異相)
5) 성상(成相) | 6) 괴상(壞相)
(2) 원융문(圓融門)과 항포문(行布門)
Ⅴ. 天符經의 法界緣起 372
1. 법계연기(法界緣起)를 뜻하는 여덟(八) 372
2. 《환단고기》에 나오는 법계연기 37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