여는 글
제1부 ‘3수 분화의 세계관’의 논리체계
제1장 동북아시아의 ‘문화적 문법’
1. 무지개는 도대체 몇 색인가?
2 인식전환의 필요성과 동도동기론東道東器論
3. 동양의 문화를 만들어 온 ‘문화적 문법’들
제2장 ‘3수 분화’와 ‘2수 분화’의 차이
1. ‘3수 분화의 세계관’이라는 개념에 대하여
2. 『주역周易』과 ‘2수 분화의 세계관’
3. 양웅의 『태현경太玄經』과 ‘3수 분화의 세계관’
4. 성세영의 『일청사고一晴私稿』·『부인경符印經』과 ‘3수 분화의 세계관’
5. 유교는 왜 ‘3수 분화의 세계관’과 결별하였는가?
제3장 ‘3수 분화의 세계관’과 3·1철학
1. ‘하나이면서 셋이고 셋이면서 하나’인 3·1철학의 특징
2. 도교에 대한 오해
3. 장군방의 『운급칠첨雲급七籤』과 3·1철학
4. 『주역周易』과 3·1철학
5. 『한서漢書』『율력지律曆志』와 ‘태극원기 함삼위일太極元氣 函三爲一’
6. 『천부경天符經』·『삼일신고三一神誥』와 3·1철학
제4장 ‘3수 분화의 프랙탈fractal 구조’와 성수 3, 9, 81의 생성
1. 프랙탈 구조란 무엇인가
2. ‘3수 분화의 프랙탈 구조’: 1→3→9→27→81
3. 기본 성수와 그 제곱수들이 성수가 된다
4. 『예기禮記』와 ‘3수 분화의 프랙탈 구조’의 제도화
제5장 ‘3수 분화의 세계관’에서 성수 3, 9, 81의 상징적 의미
1. ‘변화의 계기수’ 3
2. ‘변화의 완성수’ 9
3. ‘우주적 완성수’ 81
1) ‘구구九九’ 와 ‘구십구九十九’는 다르다
2) ‘구구九九’ 개념에 대한 오류
3) 성수 ×의 사례
제2부 ‘3수 분화의 세계관’의 기원과 확산
제6장 ‘3수 분화의 세계관’의 기원과 환일幻日현상
1. 사진 한 장에서 풀린 의문들
2. ‘환일幻日’과 세 개의 태양
3. 동양의 사서史書에 기록된 환일현상
1) 『삼국사기三國史記』와 『삼국유사三國遺事』에 기록된 2개의 태양
2) 『고려사高麗史』에 기록된 2개의 태양
3) 『조선왕조실록朝鮮王朝實錄』에 기록된 2개의 태양
4) 중국 25사 중 『진서晉書』에 기록된 2개의 태양
4. 북방 민족의 신화와 설화에 보이는 환일현상
5. 세 가닥으로 꼬인 탯줄
제7장 홍산문화와 ‘3수 분화의 세계관’의 체계화
1. 요하문명에 대한 간략한 소개
2. 요하문명의 주도 세력은 누구인가
3. 홍산문화 유적·유물과 ‘수 분화의 세계관’의 흔적들
1) ‘하나이면서 셋이고 셋이면서 하나’인 ·신神
2) 홍산문화의 삼공기三孔器와 세 개의 태양
3) 삼계관三界觀, 천지인 삼재관三才觀, 원·방·각 관념
4) 홍산문화와 성수 ‘3’
5) 홍산문화와 성수 ‘9’와 ‘81’
제8장 북방 샤머니즘과 ‘3수 분화의 세계관’
1. 북방 샤머니즘의 삼계구천설三界九天說과 우주수宇宙樹
2. 북방 샤머니즘과 3·1신神인 삼신三神
3. 북방 샤머니즘의 삼혼신앙三魂信仰, 삼혼일체설三魂一體說
1) 유교의 음양혼백론陰陽魂魄論
2) 북방 샤머니즘의 삼혼신앙三魂信仰, 삼혼일체설三魂一體說
(1) 명혼命魂=생명혼生命魂=주혼主魂
(2) 부혼浮魂=사상혼思想魂=유혼游魂
(3) 진혼眞魂=전생혼轉生魂=전세혼轉世婚
4. 북방 샤머니즘과 성수 3, 9, 81
1) 브리야트족 샤먼 입무入巫 의식 차나르
2) 북방 샤먼의 복식·기물·전설과 성수
제9장 ‘3수 분화의 세계관’의 확산 가설: 동북아 모태문화에서 북방 유라시아 모태문화로
1. ‘3수 분화의 세계관’의 확산 가설
2. 북유럽 신화와 ‘3수 분화의 세계관’
3. 글을 마치며
참고문헌
찾아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