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문
서우曙宇 전병훈
프롤로그
일러두기
제1부 정신철학의 탄생
제1장 정신철학의 이론적 기초
1. 우주의 그늘에서 문명진화의 화살을 쏘다
2. 기화론의 정신학, 그 사상사의 계보
3. 정신학의 기원, 시원과 근원의 신화
4. 정신철학의 시간관
5. ‘철학’으로 가는 길: 옛것을 익히며 새롭게 혁신하기(溫故維新)
6. 버려야 할 신선학의 폐단
7. 정신철학의 목표
8. 욕망으로 욕망을 제어하기(因欲制欲)
제2장 일원一元의 ‘정신’
1. ‘정신’의 재발견
2. 우주의 정신
3. 서양의 창조신과 동양의 원신元神
4. 사람의 정신
5. 정신과 성명, 그리고 플라톤의 세계영혼
6. 기화와 형화, 그리고 진화론
7. 창조적 오해
제3장 정신의 운용
1. 정신 운용의 철리
2. 심역心易
3. 선천과 후천의 정신
4. 현관玄關
5. 연기축기煉己築基: 도심道心과 과욕寡慾
6. 기를 모아 현관을 통하다(聚氣通關): 현관비결타좌식
7. 진화채약進火採藥
8. 주천화후周天火候
9. 성단成丹, 양신陽神
10. 온양溫養, 출태出胎
11. 술사와 진인
12. 정신학의 진화
13. 정신의 신체성: 정신학과 뇌과학
제2부 심리ㆍ도덕ㆍ정치 철학
제4장 심리철학 309
1. 정신이 곧 심리다
2. 사람이 천지의 마음이다
3. 마음의 고양: 원천심리학原天心理學
4. 유교 심학의 전개
5. 뇌 안의 정신에너지(腦中元神), 몸뚱이의 의식에너지(肉團識神)
6. 마음의 신체성과 정신에너지의 작용
7. 불교의 성품공부
8. 서양 심리철학
9. 소결: ‘원천심리학’과 마음의 통합이론
제5장 도덕철학 495
1. 도덕의 개화
2. 도덕의 진화
3. 도가(도교)의 도덕
4. 한국의 도덕
5. 서양의 도덕철학
6. 소결: 도덕의 효용과 통합이론
제6장 정치철학 753
1. 땅(地)의 정치학
2. 요순 삼대의 민주와 공화
3. 유교의 정치철학
4. 도가(도교)의 정치철학
5. 한국의 정치철학
6. 서구의 정치철학
7. ‘정치철학’ 총결
제3부 민족에서 세계로
제7장 『천부경』과 단군의 재발견
1. 『천부경』과 전병훈
2. 『천부경』 독법
3. 『천부경』(전병훈 주해)
제8장 민족의 포월, 하나 되는 세계
1. 『천부경』과 민족의 포월包越
2. 코즈모폴리터니즘, 오주동포五洲同胞
3. 세계통일공화정부
제4부 전병훈의 생애와 저작
제9장 우주의 새벽빛, 서우의 시대
1. 서세동점과 동아시아 근대의 격동, 문명진화의 시간
2. 용야일로鎔冶一爐: 동서양 철학과 신구 과학의 조제調劑
제10장 디아스포라 전병훈, 이주와 지평융합의 인생역정
1. 조선 거주기(1857~1907): 쇠락한 나라의 고단한 선비
2. 중국 망명기(1908~1927): 건곤乾坤 밖 우주 사이를 떠돌다
제11장 전병훈의 연구 자료와 저작
1. 전병훈 연구의 자료들
2. 전병훈의 저작
후기: 지금 왜 전병훈인가
찾아보기 1_인명
찾아보기 2_사항
찾아보기 3_문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