들어가면서1|발굴로 보는 우리 역사 답사기ㆍ6
들어가면서2|미래를 위해 과거의 흔적을 찾아가는 행복한 여정ㆍ9
제1부 충청|하늘이 내려준 고대사의 흔적
1장_마한의 비밀을 간직한 공주 장선리 유적ㆍ14
2장_무령왕릉 이후 최대 발굴, 공주 수촌리 고분ㆍ24
3장_철강 강국 백제의 위용을 보여 준 청주 신봉동 유적ㆍ42
4장_나·당 국제회담이 열린 철옹성, 보은 삼년산성ㆍ60
5장_발 끝에 걸려 머리를 내민 단양 적성비ㆍ72
6장_어느 향토사학회가 발견한, 중원 고구려비ㆍ82
7장_위덕왕의 뼈저린 반성이 담긴 부여 왕흥사ㆍ96
제2부 호남·제주|고고학, 동북아의 중심에서 역사를 만나다
8장_서동과 선화의 파란만장한 사랑이야기가 깃든 익산 미륵사지ㆍ118
9장_고대사의 블랙박스가 열린 나주 복암리 유적ㆍ138
10장_고철에서 국보로 운명이 뒤바뀐 화순 대곡리 청동예기ㆍ164
11장_2,000년 전의 무역항, 해남 군곡리 유적ㆍ174
12장_또 다른 역사, 탐라의 흔적을 간직한 제주 고산리 유적ㆍ184
제3부 영남|역사가 바뀐 곳, 역사가 이루어진 곳
13장 _ 한국 고고학의 출발지가 된 영도 동삼동 패총ㆍ202
14장 _ 임나일본부설을 폐기해 버린 동래 복천동 고분군ㆍ218
15장 _ 전쟁고고학의 성과를 담아낸 동래읍성ㆍ234
16장 _ 주인을 따라 순장된 창녕 송현동 소녀ㆍ250
17장 _ 태풍을 타고 떠오른 8,000년 전의 배, 창녕 비봉리 유적ㆍ274
18장 _ 구국의 일념이 절절이 배인 경주 사천왕사터ㆍ290
19장 _ 농부가 찾아낸 신라 최고 고비, 포항 중성리비ㆍ306
20장 _ 일연선사의 체취가 묻은 군위 인각사ㆍ324
21장 _ 세계를 눈물로 적신 사랑이야기, 안동 원이 엄마의 편지ㆍ348
22장 _ 고구려와 신라가 지하에서 만나는 영풍 읍내리 벽화고분ㆍ362
제4부 강원|문명을 낳은 땅, 국난을 이기다
23장 _ 국난의 아픔을 온몸으로 껴안은 원주 법천사ㆍ380
24장 _ 전설과 역사가 어우러진 정선 아우라지 청동기 마을ㆍ392
25장 _ 신석기인들의 도시, 강릉 초당동 유적ㆍ404
26장 _ 3,000년 전의 청동기 마을, 화천 용암리·위라리 유적ㆍ416
제5부 서울·경기|학문과 거래, 일상이 담긴 곳
27장 _ 한성백제인들의 논어책이 나온 인천 계양산성ㆍ428
28장 _ ‘조선의 부활’을 알린 서울 청진동 유적ㆍ436
29장 _ 출산 직전에 사망한 산모, 파주 파평 윤씨 미라ㆍ446
30장 _ 2,000년 전 백제의 대장간 마을, 연천 삼곶리 유적ㆍ474
참고문헌ㆍ500
찾아보기ㆍ52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