머리말_최고의 시림 이야기, 조선왕실 이야기
제1장 약한 아버지와 강한 아들, 500년 조선의 첫 시작을 열다
양가감정, 공격성, 승화-태조, 정종, 태종
태조의 조선 건국 이야기/ 태조는 조선을 꿈꾸었나?/ 일관되지 못한 태조의 행동/
태종의 왕위 계승 이야기/ 추진력 강한 태종/ 늘 아들의 승리/ 약한 아버지와 강한 아들
제2장 왕으로 산다는 것, 패륜아와 영웅 사이에서
투사적 동일시-세종, 문종, 단종, 세조
수양대군, 세조가 되다/ 세조를 바라보는 또 다른 시각/ 관점의 차이/ 감정이입의 영향력/
해석의 차이/ 누가 가해자이고 누가 피해자 인가/ 단종과 세조의 대상관계/ 아쉽기는 하지만 욕할 정도는 아닌
제3장 고부갈등이 희대의 폭군을 낳다
반동형성, 경계선 성격-예종, 성종, 연산군
파워게임의 승자/ 소혜왕후의 기구한 운명/ 겉과 속이 다를 수밖에 없는.../ 불행의 씨앗이 싹트다/
며느리의 입장/ 시어머니의 입장/ 받은 대로 갚아 준다/ 따뜻한 품을 찾다
제4장 강한 어머니와 약한 아들이 초래한 비극
편집성, 자기충족적 예언-중종, 인종, 명종
준비되지 못한 왕, 중종/ 9개월의 왕, 인종/ 인종은 왜 죽었는가?/ 여왕 문정왕후 윤씨/
아무도 믿을 수 없는/ 아들을 괴롭히는 어머니/ 강한 어머니와 약한 아들
제5장 근본적인 열등감의 대물림 그리고 임진왜란
열등감, 우월성의 추구-선조, 광해군
후궁의 아들 왕이 되다/ 방계승통이 지속되다/ 아들에게 열등감을 느끼는 아버지/
열등감을 대하는 태도/ 동생에게 열등감을 느끼는 형/ 열등감의 결과/ 비운의 왕으로 남다
제6장 의심이 병자호란을 일으키고 아들을 죽이다
집단극화, 인지협착, 확증편향-인조, 효종
굴욕을 당하다/ 집단의 결정이 초래한 굴욕/ 볼모로 잡혀간 두 아들/ 몸의 긴장과 마음의 긴장/
믿는 도끼에 발등 찍히다/ 믿었던 도끼를 버리다/ 같은 경험, 다른 입장
제7장 절대군주, 마음이 공허한 나르시시스트
자기애성 성격-현종, 숙종
적통 숙종, 14세에 친정을 하다/ 절대군주의 전능감/ 환국의 연속/ 마음이 공허한 나르시시스트/
최고의 나르시시스트 숙종/ 공부하고 일하는 왕이었던 숙종/ 자신의 적은 바로 자신/
죽음 앞에서도 변하지 않는 성격
제8장 억울함이 아버지와 아들 사이에 그림자를 드리우다
억울함, 그림자-경종, 영조, 사도세자, 정조
탕평책과 경종 독살설/ 억울함의 심리/ 단 하나뿐인 아들 사도세자의 정신병리/
아버지와 아들의 그림자/ 나는 사도세자의 아들이다
제9장 시아버지와 며느리의 투쟁, 500년 조선의 막을 내리다
의존적 성격-순조, 헌종, 철종, 고종, 순종
고종이 왕이 되기까지/ 겉과 다른 속, 속과 다른 겉/ 며느리가 숙적이 되다/
민비는 왜 흥선대원군을 미워하게 되었나/ 자리가 사람을 만든다/ 조선의 왕, 황제가 되다/
의존적 성격에서의 탈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