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늘날 국내 보험사업은 어려운 사업 여건에 직면해 있습니다. 성장은 둔화하고, 시장경쟁, 수익성은 악화하는 가운데 소비자 권익 보호에 대한 인식은 강화되고, 국제 규범이 도입되면서 보험사업에 대한 규제가 강화되고 있으며, 저성장의 장기화로 자금운용을 통한 수익달성도 어려워진 상황이다. 우체국보험도 한·미 FTA의 발효 이후 규제 강화 및 사업 운영의 자율성이 축소되었고 저금리 환경에서 다른 민영 생명보험사와 마찬가지로 안정적 수익률 확보가 불확실한 상황이다. 우체국보험 사업의 영역과 많이 중첩되는 농협보험의 출범은 우체국보험의 영업환경을 더욱 어렵게 하고 있다. 이러한 가운데 사회적으로 우체국보험은 국영보험으로서 갖는 사회 안전망의 역할, 농어촌·서민 위주의 서비스 제공에 충실할 것을 요구받고 있다. 그러나 우체국보험이 이러한 목적을 실현하려면 안정적으로 운영 가능한 수준의 수익을 지속적으로 창출해야 한다.
이에 본 연구는 우체국보험의 안정적이고 지속적인 수익창출 방안을 모색하기 위해 우체국보험의 수익구조를 분석하고, 영향요인을 살펴보며, 일본 생명보험사 사례 등을 분석하여 손익 관리 방안을 도출하였다. 먼저 보험 수익구조 및 분석방법을 이해하기 위해 관련 문헌을 탐색하였고, 우체국보험의 경영성과를 주요 민영 생명보험사와 비교·분석하였으며, 다음으로 우체국보험의 3이원 수익 자료로 특성과 영향요인을 분석하였다. 또한 국내 보험과 유사한 사업구조이면서 여러 대외 환경 변화를 우리보다 먼저 경험한 일본 보험사를 중심으로 수익구조 분석 및 수익개선 전략을 살펴보았다. 이러한 분석을 토대로 우체국보험의 손익관리 방안으로서 신계약률 향상으로 성장성 도모, 언더라이팅 강화 및 체계적인 지급심사를 통한 손해율 개선, 판매채널 최적화 및 다각화, 수익성 개선을 위한 상품구성 및 신상품 개발, 자산운용 전문가 확보 및 효율성 제고 등 다섯 가지 방안을 제시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