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CT는 오늘날 우리의 일상적인 삶뿐만 아니라 기업·개인의 경제 활동, 더 나아가 의사결정에도 영향을 미치는 기술로 진화를 거듭하고 있다. 최근 알파고가 우리사회에 큰 충격을 준 것에서도 알 수 있듯이, ICT는 인간의 지적 활동의 일부까지도 대신하기 시작했다. 일단 데이터를 통하여 학습을 하고나면 인공지능이 프로그램이 연결된 네트워크를 통하여 수많은 기기에서 우리를 돕는 시대에 진입하고 있다. 빅데이터, 클라우드, 사물인터넷, 모바일, 그리고 인공지능과 같은 ICT 혁신기술들은 서로 간에 의존하고 영향을 주고받으며 나날이 발전하고 있다.
그 과정에서 수많은 제품 및 서비스가 그 성격이 변모하고 있다. 자동차는 네트워크로 연결되어 다양한 엔포테인먼트를 향유할 수 있고 심지어 미래에는 인간의 도움이 없이 주행이 가능한 존재로 진화할 전망이다. 그리고 이런 자율차를 생산하는 공장 시스템도 생산설비들이 서로 연결되고 스스로 자체 문제를 발견해 수리하고 생산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스마트한 시스템으로 변모하고 있다. 전통적으로 전문직만이 제공할 수 있다고 여겨지단 의료, 법률, 교육, 금융 서비스에서도 알고리즘의 영향력이 점차 커지고 있다.
본 연구는 이러한 ICT 혁신의 추세에 대한 미래 전망의 근거를 ICT 선도국인 미국 벤처 부문의 투자 현황과 ICT 기업들의 M&A 등 다양한 자료에서 찾고자 함으로써 기존 연구와 차별성을 보여준다. 그리고 자료 분석의 결과로 정부가 최근 역점을 두고 육성하고자 하는 지능정보기술 분야가 미래 ICT 혁신의 핵심임을 보여준다. 지능정보 기술의 각 산업에서의 활용은 다양한 제품 및 서비스 부문에서 플랫폼이 형성·발전하게 됨을 의미한다. 생산 현장에서부터 제품·서비스에 이르기까지 네트워크로 연결된 컴퓨팅이 중요한 위치를 차지하면서, 수많은 기업이 플랫폼에 참여하면서 지능정보기술에 기반 하는 응용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기 때문이다.
연구의 후반부에서 제조업, 금융, 의료, 콘텐츠 등 다양한 산업에서 ICT혁신의 영향을 살펴보고, 이어 ICT 혁신 시대의 바람직한 정책방향이 제시되고 있다. 아무쪼록 본 연구가 ICT 혁신에 관한 정보의 홍수 속에서 ICT 정책의 올바른 방향정립에 기여하기를 기대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