장바구니 담기 close

장바구니에 상품을 담았습니다.

병법 노자

병법 노자

  • 임건순
  • |
  • 서해문집
  • |
  • 2017-07-31 출간
  • |
  • 367페이지
  • |
  • 150 X 211 X 22 mm /596g
  • |
  • ISBN 9788974838676
판매가

16,000원

즉시할인가

14,400

배송비

무료배송

(제주/도서산간 배송 추가비용:3,000원)

수량
+ -
총주문금액
14,400

※ 스프링제본 상품은 반품/교환/환불이 불가능하므로 신중하게 선택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출판사서평

반문명주의자? 자연주의자? 그동안 우리가 알던 ‘노자’는 잊어라!
《노자》는 생존과 승리를 위한 제왕학 책이자 병법서다!

젊은 동양철학자 임건순의 쾌도난마 《노자》 강의!

흔히 ‘노자(老子)’라고 하면 도(道), 무위자연(無爲自然), 도가(道家) 등을 떠올린다. 그래서 문명 이전의 소박한 삶을 추구하거나 기존의 문명 질서에 얽매이지 말라고 주장하는 반문명주의자 혹은 자연주의자로 많이 읽혀왔고, 나아가 유가적 국가 질서를 해체하고자 하는 자유방임주의자나 무정부주의자로 일컬어지기도 했다.
하지만 이 책 《생존과 승리의 제왕학, 병법 노자》는 이제까지 우리가 알던 ‘노자’의 모습을 잊으라고 말한다. 원시적 공동체, 목가적 공동체를 노래하고 무정부주의적 정치사상을 담은 철학이 아니라, 전쟁이 일상처럼 벌어지던 시기에 전장에서 생존하고 나아가 승리를 꾀하고자 하는 병법서로서 읽어야 한다는 것이다. 물론 그 생존과 승리의 주체는 왕과 장수들이다. 한마디로 《노자》는 왕을 위한 제왕학서이자 장수를 위한 병법서라는 것이 저자의 주장이다.
그래서 저자는 이 책을 통해 병법서로서 《노자》 읽기를 시도한다. 그래야만 《노자》의 진짜 목소리와 색깔, 《노자》의 진면목, 《노자》 텍스트에 일관된 문제의식과 치열함에 대해 제대로 알 수 있다는 것. 그만큼 《노자》는 투지가 넘치는 책이고, 어떻게든 최강자가 되려는 치열함이 엿보이는 책이며, 실리와 성공, 명철보신(明哲保身)의 지혜를 주문하는 책이라는 것을 저자는 이 책 《생존과 승리의 제왕학, 병법 노자》를 통해 치밀하게 증명해 보이고 있다.

전쟁의 시기, 살아남고자 하는 부단한 노력

저돌적인 젊은 동양철학자로서 제자백가 사상의 진수를 대중에게 소개하는 데 탁월한 솜씨를 발휘해온 저자 임건순이 《동양의 첫 번째 철학, 손자병법》에 이어 두 번째 선보이는 병법 해설서. (‘제자백가 아카이브’ 시리즈의 3번재 책이기도 하다). 그런데 놀랍게도 그 대상이 되는 텍스트가 흔히 《도덕경》이라고도 불리는 《노자》라니!
저자는 그간 한국의 학계에서는 《노자》를 제자백가의 다른 텍스트와 연결 지어 해석해보려는 시도조차 하지 않고 단순히 도가(道家)라는 한 학파의 틀로만 읽고 해석해왔음을 비판한다. 그러나 《노자》 안에 담긴 뜻을 온전히 파악하려면 《노자》를 외딴 섬으로 놓고 읽지 말고 《관자》, 《손자병법》, 《삼략》, 《여씨춘추》, 《한비자》, 《순자》 등 다른 텍스트와 함께 읽어야 한다고 저자는 말한다. 이 텍스트들의 공통점은 대부분 병가(兵家) 또는 그와 밀접하게 관련된 책인데, 특히 노자는 손자에게서 강한 영향을 받았다는 것이 저자의 주장이다.

“노자는 손자에게서 많이 배웠습니다. 손자의 지혜를 빌려 궁중 사회와 전쟁터에서 살아남는 데 필요한 덕목과 자세, 전술을 말했습니다. 예를 들어, 손자의 영향을 진하게 받아서인지 불태(不殆)를 말했고, 함부로 몸을 움직이거나 싸움을 걸지 말라고 하며 부쟁(不爭)을 말했습니다. 손자가 그리도 강조한 무(無)도 강조했고, 손자가 찬양한 물도 찬양했지요. 상선약수(上善若水), 다들 아시죠? 사실 노자 이전에 손자가 먼저 한 말입니다.” - 본문 22~23쪽

《노자》의 시대적 배경은 전쟁이 밥 먹듯 일어나던 전국시대(戰國時代)였다. 노자 역시 한 나라가 삽시간에 멸망하고 수십만의 군대가 생매장당하던 그 살벌하던 시대의 한가운데를 살아가는 한 사람으로서, 주나라 왕실 도서관장이라는 직분을 이용해 여러 병법서와 역사서에 담긴 교훈, 경험, 지혜의 정수를 모아 운문으로 표현한 것이 바로 《노자》라는 것이다.

“한국을 제외한 일본과 중국, 서양에서는 《노자》를 병가 사상과 연관지어 설명하는 분이 적지 않죠. 그분들 생각은 그렇습니다. 전쟁이 일상화된 시기에 전쟁터에서 배운 교훈과 경험, 지혜가 《노자》라는 책이 만들어지는 데 결정적인 영향을 주었다고 말입니다. 《노자》 텍스트가 만들어진 전쟁의 시대는 단순히 말하면 그냥 병법의 시대일 것입니다. 춘추전국시대, 특히 전국시대에는 무수히 많은 병법서가 등장했지요. (중략) 《노자》도 그 병법의 시대에 만들어진 텍스트입니다. 병법서와 같은 시대적 환경을 뒤로 하고 있다는 것이죠. 그래서인지 병법서답게 《노자》는 단순히 생에 대한 집착만이 아니라 승리에 대한 집착, 최강을 추구하는 의식도 강하게 드러내고 있습니다. 또 승리를 추구하는 의식만 보이는 게 아니라 승리를 위한 수단과 방법도 제시하는데, 정말 전형적인 전국시대적인 텍스트지요.” - 본문 33~34쪽

전국시대라는 약육강식의 시대를 살아가다 보니 노자는 《노자》 5장에서 천지불인(天地不仁), 즉 천지는 어질지 않고 만물을 그저 짚으로 만든 강아지 인형처럼 여긴다고 말한다. 저자는 이를 동정심과 연민 따위는 없는 자연(自然)을 닮으라고 한 것으로 해석하며, 전쟁의 시기에 부질없는 도덕과 윤리에 집착하지 말고 본원적 생명력, 과거 태초에 인간이 지니고 있었던 공포로부터 벗어나려고 하는 본능적인 촉과 감각, 직관력을 가지고 전쟁터에서 살아남고 이겨야 한다는 말로 해석한다. 그런 지점에서 노자가 말한 도(道)는 도덕과 윤리를 강조한 유가의 것과 상당히 다르다.

“노자의 도(道)는 그의 성인(聖人) 개념, 덕(德) 개념과 마찬가지로 윤리나 도덕과 상관없습니다. 노자가 말하는 도는 경쟁에서 이기게 해주는 것이며, 조직과 국가를 살아남게 해주는 것입니다. 실용적인 것이며 실리와 직결되는 것으로, 옳으니까 따르고 추구해야 할 대상이 아닙니다. 따르는 사람에게 단기적이든 장기적이든 이익을 주는 것이니 따라야 하는 것이죠. 오기와 손빈이 말했던 도도 그런 실리적이고 공리적인 것이었죠. 전쟁에서 이기게 해주고 전략을 달성하게 해주는 것이었습니다. 병가 사상가인 그들에게 도는 도덕적 질서와 거리가 먼 것이었는데, 노자도 마찬가지죠. 노자에게 도는 자신이 원하는 목표와 목적을 추구하는 데 도움을 주는 실용적 수단입니다.” - 본문 180쪽

손자의 제자 노자, 《노자》는 분명 병법서다!

병법서로서 《노자》를 다시 읽다 보면 많은 부분이 새롭게 보인다. 《노자》 47장에서 노자는 “문을 나서지 않고도 천하를 알고 창문으로 내다보지 않아도 천도를 안다.”라고 했는데, 이는 전장의 작전 회의실에서 승부를 결정짓고자 치밀하게 준비할 것을 주문한 것으로 해석할 수 있다.

“문을 나서지 않고도 천하를 안다는 것은 작전 회의실 안에서 전쟁 현장의 정보와 조건을 꿰고 있어야 한다는 말입니다. 그리고 창문으로 내다보지 않아도 천도를 안다는 것은 파악한 정보와 조건을 바탕으로 작전 회의실 안에서 필승의 계책을 만들어내야 한다는 것이죠. 이른바 전쟁터와 떨어진 그 공간에서 승산을 만들 수 있어야 한다는 뜻입니다. 작전 회의실에서 전쟁터 상황을 꿰고 최적의 전략과 전술을 생각해낼 수 있어야 한다는 것이 《노자》 47장의 요지입니다. 노자도 손자처럼 계(計)와 지(知)를 강조한 것이죠.” - 본문 98~99쪽

《노자》 1장의 첫 구절 도가도 비상도(道可道 非恒道), 즉 “도라고 말할 수 있다면 도라 할 수 없고, 이름으로 불릴 수 있다면 영원한 이름이 될 수 없다.”고 한 말 역시 다르게 해석된다.

“노자는 도(道)라고 한다면 도가 될 수 없다고 했습니다. 그런데 이 도라는 것은 유형화하거나 공식화하거나 이렇다고 한정지을 수 있는 게 아니며, 그러면 도라고 할 수 없답니다. 무엇 하나를 딱 집어 도라고 절대화해서는 안 된다, 하나의 방식과 원칙은 도가 될 수 없다는 말이죠. 하나의 방식과 전술을 공식처럼 따르거나 집착하면 안 된다는 말입니다. 그 하나에 집착하면, 그 원칙은 절대로 승리로 인도하는 전술, 방법이 될 수 없다는 것이죠. 어쩌면 단순한 말이고 상식적인 말입니다. 하나의 방식을 승리의 방정식이라고 생각해 집착하지 마라, 하나의 전술을 공식으로 생각한 나머지 그것에 나를 고정시키지 말라는 것이지요. 바꾸어 말하면, 항상 변하거나 새로운 전술로 싸울 준비를 하라는 말입니다. 공식처럼 언제나 통하는 작전과 전술이란 것은 존재하지 않는다고요.” - 본문 178~179쪽

중국인의 삶에 녹아 있는 실용주의 정신, 《노자》의 병법

노자는 불태(不殆), 즉 지지 않을 것을 주창한 손자의 계승자답게 전쟁은 신중해야 하며, 늘 앞일을 대비해 준비하고, 승리하고 나서는 교만하지 말 것이며, 이름을 날리지 않고 조용히 처신할 것 등 다양한 병법의 기초를 주문하고 있다. 그리고 저자는 적이 약점을 드러낼 때까지 기다려 승리한 당태종 이세민, 미방의 배신에 대처하지 않은 관우, 왕놀이 하다가 토사구팽당한 한신, 숱한 패배에도 지지 않고 끝까지 버텨낸 유비?사마의?마오쩌둥의 고사 등을 예로 들며, 과거 중국인들의 삶에서 《노자》의 병법이 어떻게 적용되어 왔고 이것이 중국인의 행동 양식에 얼마나 깊은 영향을 끼쳤는지를 이야기한다.

“바람이 불어오면 어찌해야 합니까? 우선 앞으로 나가면 안 됩니다. 바람 앞에 서지 말아야 합니다. 자신의 몸을 숨겨야 합니다. 그리고 이게 어떤 일의 전조일지 읽어야 하지요. 바람의 머리에 자신을 마주하면 안 됩니다. 열린 환경에 자신을 노출하지 말고 나를 꽁꽁 숨긴 뒤에 다가올 변화의 흐름과 양상을 읽어야 합니다. 무슨 일이 벌어질까, 어떤 흐름이 전개될까 감지하고, 또 어떻게 처신하고 몸을 두어 사건의 흐름과 전개를 자신에게 유리하게 할지 따져야 하지요. 그래야 손자가 중시한 그 세(勢)를 만들고 장악할 수 있겠습니다. 함부로 바람의 머리 앞에 서려 한다면 자신에게 유리한 환경과 조건을 만들 수 없습니다. 사실 앞서 불여수중(不如守中)이라고 노자의 중용, 중국인의 중용을 말할 때 한 이야기지요.” - 본문 316쪽

예부터 중국과 떼려야 뗄 수 없는 관계인 우리에게 병법서로서의 《노자》 읽기는 중국과 중국인에 대한 새로운 시각을 형성하게 해준다. 저자는 이 《노자》를 제대로 이해해야 중국인의 노회함과 그들의 실리주의를 꿸 수 있기에 이 책을 썼다고 말한다. 병법서로서의 《노자》 읽기는 비단 중국에만 관련된 것이 아니다. 회사, 지역, 국가, 세계 어느 곳에서나 전쟁과 다를 바 없는 경쟁이 벌어지는 현대 사회에서 늘 자신의 의도와 패를 철저히 숨기고, 보이지 않는 곳에서 암중모색하며 승리를 위한 조건을 만들어가라고 하는 《노자》의 고요한 외침은 우리 모두에게도 동일하게 적용될 것이다.

목차

프롤로그
1강 금옥만당(金玉滿堂) ― 가득 차면 지키기 힘드니 쌓아놓지 말라
2강 천장지구(天長地久) ― 병법의 묘처를 알면 장생할 수 있다
3강 장생구시(長生久視) ― 강한 자가 오래가는 게 아니라 오래가는 자가 가장 강한 자다
4강 지지불태(知止不殆) ― 족함을 알고 멈출 줄 알아야 오래간다
5강 새옹지마(塞翁之馬) ― 모든 것은 변화하니 늘 반대쪽도 보라
6강 공성불거(功成不居) ― 공을 세웠으면 떠나라
7강 운주유악(運籌?幄) ― 장막 안에서 천리 바깥의 적을 꺾는다
8강 부쟁지덕(不爭之德) ― 싸워놓고 이기는 게 아니라 이겨놓고 싸운다
9강 천하신기(天下神器) ― 전쟁에서 이기면 상례로써 뒤처리를 한다
10강 이천위본(以賤爲本) ― 굴욕도 감수하며 후사를 도모한다
11강 이퇴위진(以退爲進) ― 나아가려면 물러날 줄 알아야 한다
12강 지피지기(知彼知己) ― 나의 약점을 마주하고 허점을 살핀다
13강 전승불복(戰勝不復) ― 어제의 길을 버리고 새로운 길을 찾는다
14강 승불가일(勝不可一) ― 단 하나의 승리 방정식은 없다
15강 소국과민(小國寡民) ― 모든 힘을 유기적으로 뽑아내 조직화한다
16강 절성기지(?聖棄智) ― 사사로움을 적게 하고 욕심을 없앤다
17강 천지불인(天地不仁) ― 사사로운 정에 휘말리지 말고 늘 냉정하라
18강 미언불신(美言不信) ― 무조건 속여야 이길 수 있다
19강 다언삭궁(多言數窮) ― 감추고 또 감추어라
20강 도항무명(道恒無名) ― 나의 모든 것을 남이 모르게 한다
21강 피갈회옥(被褐懷玉) ― 어두움 속에서 힘을 기른다
22강 화광동진(和光同塵) ― 상대를 속이고 나를 보여주지 않는다
23강 이무치유(以無治有) ― 보이지 않는 곳에서 일을 꾸미고 움직인다
24강 상선약수(上善若水) ― 상황에 맞게 유연하게 나를 변화시켜라
25강 유약승강(柔弱勝强) ― 손해를 최소화하는 계책을 세우고 움직인다
26강 천라지망(天羅地網) ― 약점과 갈등이 드러나기 전에 늘 살펴보라
에필로그 / 참고문헌

저자소개

저자 임건순은 충남 보령 태생, 반농반어촌에서 나고 자란 멸종 위기의 젊은 동양철학자. 철학은 문체혁명만이 살길이고 철학은 우리 모두의 철학이 되어야 한다는 신념 하에, 학력을 불문하고 모두가 읽을 수 있는 가독성 있는 글쓰기, 쉬운 우리말로 철학을 이야기하기에 주력하고 있다.
단순히 교양서를 만드는 사람이 아니라, 동양철학이라는 창으로 고단한 우리 민중의 삶과 현재를 들여다보면서 우리 사회의 미래를 준비해가려고 한다. 언젠가 등장하길 바라는 소년ㆍ소녀 동양철학자의 탄생을 위해 부지런히 축적해가는 중이다. 유가 철학과 경전만이 아니라 한비자, 손자, 오기, 법가와 병가, 묵가 등 제자백가 텍스트 전반을 연구하면서, 커다란 의미의 그물망, 철학적ㆍ사상적 인드라망으로서 제자백가 사상과 고전들을 사람들에게 보여주는 것을 목표로 하고 있다.
《묵자, 공자를 딛고 일어선 천민사상가》를 시작으로 《제자백가, 공동체를 말하다》 《오기, 전국시대 신화가 된 군신 이야기》 《순자, 절름발이 자라가 천 리를 간다》 등을 세상에 선보였으며, ‘안자’, ‘세, 동양을 관통하는 큰 줄기에 대하여’를 연이어 출간할 예정이다. 중국에 이런 말이 있다. 북에는 진래(북경)가 있고 남에는 양국영(상해)이 있다고. 언젠가는 이렇게 말할 수 있을 것이라 자신하고 있다. 동에는 임건순이 있다고.

도서소개

생존과 승리의 제왕학 『병법 노자』는 이제까지 우리가 알던 ‘노자’의 모습을 잊으라고 말한다. 원시적 공동체, 목가적 공동체를 노래하고 무정부주의적 정치사상을 담은 철학이 아니라, 전쟁이 일상처럼 벌어지던 시기에 전장에서 생존하고 나아가 승리를 꾀하고자 하는 병법서로서 읽어야 한다는 것이다. 물론 그 생존과 승리의 주체는 왕과 장수들이다. 한마디로 《노자》는 왕을 위한 제왕학서이자 장수를 위한 병법서라는 것이 저자의 주장이다.

그래서 저자는 이 책을 통해 병법서로서 《노자》 읽기를 시도한다. 그래야만 《노자》의 진짜 목소리와 색깔, 《노자》의 진면목, 《노자》 텍스트에 일관된 문제의식과 치열함에 대해 제대로 알 수 있다는 것. 그만큼 《노자》는 투지가 넘치는 책이고, 어떻게든 최강자가 되려는 치열함이 엿보이는 책이며, 실리와 성공, 명철보신(明哲保身)의 지혜를 주문하는 책이라는 것을 저자는 이 책을 통해 치밀하게 증명해 보이고 있다.

교환 및 환불안내

도서교환 및 환불
  • ㆍ배송기간은 평일 기준 1~3일 정도 소요됩니다.(스프링 분철은 1일 정도 시간이 더 소요됩니다.)
  • ㆍ상품불량 및 오배송등의 이유로 반품하실 경우, 반품배송비는 무료입니다.
  • ㆍ고객님의 변심에 의한 반품,환불,교환시 택배비는 본인 부담입니다.
  • ㆍ상담원과의 상담없이 교환 및 반품으로 반송된 물품은 책임지지 않습니다.
  • ㆍ이미 발송된 상품의 취소 및 반품, 교환요청시 배송비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 ㆍ반품신청시 반송된 상품의 수령후 환불처리됩니다.(카드사 사정에 따라 카드취소는 시일이 3~5일이 소요될 수 있습니다.)
  • ㆍ주문하신 상품의 반품,교환은 상품수령일로 부터 7일이내에 신청하실 수 있습니다.
  • ㆍ상품이 훼손된 경우 반품 및 교환,환불이 불가능합니다.
  • ㆍ반품/교환시 고객님 귀책사유로 인해 수거가 지연될 경우에는 반품이 제한될 수 있습니다.
  • ㆍ스프링제본 상품은 교환 및 환불이 불가능 합니다.
  • ㆍ군부대(사서함) 및 해외배송은 불가능합니다.
  • ㆍ오후 3시 이후 상담원과 통화되지 않은 취소건에 대해서는 고객 반품비용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반품안내
  • 마이페이지 > 나의상담 > 1 : 1 문의하기 게시판 또는 고객센터 1800-7327
교환/반품주소
  • 경기도 파주시 문발로 211 1층 / (주)북채널 / 전화 : 1800-7327
  • 택배안내 : CJ대한통운(1588-1255)
  • 고객님 변심으로 인한 교환 또는 반품시 왕복 배송비 5,000원을 부담하셔야 하며, 제품 불량 또는 오 배송시에는 전액을 당사에서부담 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