序 言 (권두언) / 5
이 책은… / 10
제 1편 총 론
1. 역사(史)의 정의와 조선역사의 범위/ 24
2. 역사의 삼대 원소(元素)와 조선 구사(舊史)의 결점/ 29
3. 구사(舊史)의 종류와 그 득실(得失)의 간략한 평가/ 34
4. 사료의 수집과 선택에 관한 참고/ 47
5. 역사서의 개조에 대한 소견(所見)/ 68
제 2편 수두 시대
제 1장 조선 고대 총론
1. 조선민족의 구별/ 88
2. 조선족의 동래(東來)/ 88
3. 조선족이 분포해 있었던「아리라」/ 89
4. 조선의 최초를 개척한 부여(扶餘)/ 90
제 2장 대단군(大壇君) 왕검(王儉)의 건국
1. 조선 최초의 일반 신앙인 단군/ 92
2. 대단군(大壇君) 왕검(王儉)이 창작한 신설(神說)/ 93
3. 신수두의 삼경(三京) 오부(五部) 제도/ 96
제 3장 수두의 홍포(弘布)와 문화의 발달
1. 부루(夫婁)의 서행(西行)/ 99
2. 기자(箕子)의 동래(東來)/ 101
3. 흉노(匈奴)의 휴도(休屠)/ 103
4. 한자(漢字)의 수입(輸入)과 이두문(吏讀文)의 창작/ 104
5. 신지(神誌)의 역사/ 107
6. 조선의 전성시대/ 109
7. 조선의 쇠약(衰弱)/ 111
8. 단군 연대(年代)의 고증(考證)/ 112
제 3편 삼조선(三朝鮮)의 분립 시대
제 1장 삼조선(三朝鮮) 총론
1. 삼조선(三朝鮮)이란 명칭의 유래/ 116
2. 삼조선(三朝鮮)의 위치와 범위/ 117
3. 기록상 삼조선(三朝鮮)의 구별 조건/ 119
4. 삼조선(三朝鮮) 분립의 시작/ 121
제 2장 삼조선(三朝鮮) 분립 후의「신朝鮮」
1. 신朝鮮의 서침(西侵)과
연(燕).조(趙). 진(秦)의 장성(長城)/ 125
2. 창해역사(滄海力士)의 철추(鐵椎)와 진시황의 만리장성/ 127
3. 흉노 모돈(冒頓)의 동침(東侵)과 신조선의 위축/ 129
제 3장 삼조선(三朝鮮) 분립 후의「불朝鮮」
1.「불朝鮮」의 서북 변경 피탈(被奪)/ 132
2.「불朝鮮」의 진(秦). 한(漢)과의 관계/ 133
3. 위만(衛滿)의 반란과「불朝鮮」의 남천(南遷)/ 135
제 4장 삼조선 분립 후의「말朝鮮」
1.「말朝鮮」의 천도와 마한(馬韓)으로의 국호 변경/ 137
2. 낙랑(樂浪)과 남삼한(南三韓)의 대치/ 139
3. 낙랑(樂浪) 25개국과 남삼한(南三韓) 70여국/ 141
제 5장 삼조선(三朝鮮) 붕괴의 원인과 결과
1. 삼신설(三神說)의 파탄/ 145
2. 열국(列國)의 분립/ 146
제 4편 열국 쟁웅(爭雄) 시대(대(對) 한족(漢族) 격전시대)
제 1장 열국(列國) 총론(總論)
1. 열국 연대(年代)의 정오(正誤)/ 152
2. 열국의 강역(疆域)/ 154
제 2장 열국의 분립
1. 동부여(東扶餘)의 분립/ 157
2. 고구려의 발흥(勃興)/ 164
3. 백제의 건국과 마한(馬韓)의 멸망/ 175
제 3장 한 무제(漢武帝)의 침입
1. 한나라 군대가 고구려에 패퇴한 사실
(고구려의 9년 전쟁)/ 181
2. 한 무제, 위씨(衛氏)를 쳐서 멸망시킴(위씨조선의 멸망)/ 188
3. 한사군(漢四郡)의 위치와 고구려의 대(對) 한(漢) 관계/ 192
제 4장 계립령(鷄立嶺) 이남의 두 신국(新國)
1. 계립령(鷄立嶺) 이남의 별천지(別天地)/ 200
2. 가라 6국(國)의 건설/ 201
3. 신라(新羅)의 건국/ 204
제 5편(一) 고구려의 전성시대
제 1장 기원 1세기 초 고구려의 국력 발전과 그 원인
1. 대주류왕(大朱留王) 이후의 고구려/ 212
2. 고구려의 대(對) 중국 관계/ 212
3. 선비(鮮卑) 대(對) 고구려의 관계/ 221
제 2장 태조(太祖) . 차(次) 양 대왕의 문치(文治)
1. 태조(太祖) . 차(次) 양 대왕의 세계(世系)의 오류/ 226
2. 태조(太祖)대왕과 차대왕(次大王) 시대의「선배」제도/ 229
3. 태조대왕과 차대왕 시대의 제도/ 232
제 3장 태조(太祖) . 차(次) 양 대왕의 한족(漢族) 축출과 옛 강토 회복
1. 한(漢)의 국력과 동침(東侵)의 배경/ 236
2. 왕자 수성(遂成)의 요동 회복/ 237
제 4장 차대왕(次大王)의 왕위 찬탈
1. 태조(太祖)의 가정불화(家庭不和)/ 241
2. 수성의 음모와 태조의 선위(禪位)/ 243
제 5장 차대왕의 피살과 명림답부의 전권(專權)
1. 차대왕의 20년 전제(專制)/ 247
2. 명림답부의 전권(專權)과 외정(外政)/ 252
제 6장 을파소(乙巴素)의 업적
1. 왕후의 정치 간여와 좌가려(左可慮)의 난(亂)/ 256
2. 을파소(乙巴素)의 등용/ 257
제 5편(二) 고구려의 중쇠(中衰)와 북부여의 멸망
제 1장 고구려의 대(對) 중국과의 전쟁에서의 패배
1. 발기(發岐)의 반란과 제1 환도 - 현 개평(蓋平)의 잔파/ 262
2. 동천왕의 제1 환도성 회복과 오(吳). 위(魏)와의 외교/ 264
3. 공손연(公孫淵)의 멸망과 고(高). 위(魏) 양국의 충돌/ 267
4. 관구검의 침입과 제2의 환도(지금의 안고성) 함락/ 269
5. 제2 환도성의 파괴 후 평양(平壤)으로의 천도/ 273
제 2장 고구려 대(對) 선비(鮮卑) 전쟁
1. 선비 모용씨(慕容氏)의 강성/ 274
2. 북부여의 파괴와 의려왕(依慮王)의 자살/ 275
3. 고구려의 예란(濊亂) 토평(討平)과 명장 달가(達賈)의 참사/ 277
4. 모용외의 패퇴와 봉상왕(烽上王)의 교만과 포학/ 278
5. 봉상왕의 폐출과 미천왕(美川王)의 즉위/ 280
6. 미천왕(美川王)의 요동(遼東) 전승과 선비(鮮卑) 몰아냄/ 282
7. 제3 환도 - 지금의 집안현 홍석정자산(紅石頂子山)의 함락/ 286
제 6편 고구려. 백제 양국의 충돌
제 1장 고구려. 백제 양국 관계의 유래
1. 남낙랑. 동부여의 존망(存亡)과 고구려. 백제 양국의 관계/ 292
제 2장 근구수왕(近仇首王)의 영무(英武)와 고구려의 퇴축(退縮)
(附: 백제의 해외 정벌)
1. 백제의「대방(帶方)」 병탄(倂呑)과 반걸양(半乞壤) 전쟁/ 296
2. 고국원왕의 전사와 백제의 재령(載寧) 천도/ 297
3. 근구수왕(近仇首王) 즉위 후의 해외경영/ 300
제 3장 광개태왕(廣開太王)의 북진정책과 선비 정복
1. 광개태왕의 북토(北討) 남정(南征)의 시작/ 304
2. 광개태왕(廣開太王)의 과려족(顆麗族) 원정/ 306
3. 광개태왕, 왜구(倭寇)를 몰아냄(附: 백제의 천도)/ 307
4. 광개태왕의「환도(丸都)」천도와 선비 정복/ 309
제 4장 장수태왕(長壽太王)의 남진정책과 백제의 천도
1. 장수태왕의 역대 정책의 변경/ 320
2. 위기승(圍碁僧)의 음모와 백제의 피폐/ 322
3. 고구려 군사의 침입과 근개루왕의 순국(殉國)/ 324
제 7편 남방 제국의 대(對) 고구려 공수동맹
제 1장 4국 연합군의 합전(合戰)과 고구려의 퇴각
1. 신라(新羅).백제(百濟) 양국의 관계와 비밀동맹의 성립/ 328
2. 신라. 백제. 임나(任那). 아라(阿羅) 4국의 대 고구려동맹/ 330
3. 40년 계속된 4국 동맹/ 332
제 2장 백제의 위(魏) 침입 격퇴와 해외식민지 획득
1. 동성대왕 이후 다시 강성해진 백제/ 333
2. 장수태왕의 음모와 위병(魏兵)의 침입/ 334
3. 위병(魏兵)의 두 차례 침입과 두 번의 패배/ 335
4. 동성대왕의 해외 경략과 중도에 궂김/ 338
제 8편 삼국 혈전(血戰)의 시작
제 1장 신라의 발흥(勃興)
1. 진흥대왕의 화랑(花郞) 설치/ 342
2. 여섯 가라(加羅)의 멸망/ 351
제 2장 조령과 죽령 이북의 10개 군 쟁탈 문제
1. 무령왕(武寧王)의 북진(北進)과 궁지에 몰린 고구려/ 356
2. 안장왕(安藏王)의 연애(戀愛) 전쟁과 백제의 패퇴/ 357
3. 이사부(異斯夫). 거칠부(居柒夫) 등의 집권과
신라(新羅). 백제(百濟) 양국의 연맹/ 362
4. 신라의 10개 군(郡) 습취(襲取)와 신라 . 백제 동맹의 파열/ 364
5. 백제 성왕(聖王)의 전사(戰死)와 신라의 개척지 확대/ 367
6. 고구려의 대 신라 침략과 바보 온달(溫達)의 전사(戰死)/ 370
제 3장 동서전쟁
1. 백제 왕손 서동(薯童)과 신라 공주 선화(善花)의 결혼/ 378
2. 결혼 후 약 10년간의 양국 동맹/ 381
3. 동서전쟁: 김용춘의 총애 다툼과 무왕의 항전/ 383
4. 동서전쟁의 희생자/ 386
제 9편 고구려의 대(對) 수(隋) 전쟁
제 1장 임유관 전쟁
1. 고(高). 수(隋) 전쟁의 원인/ 392
2. 수 문제의 모욕적인 언사의 국서(國書)와 강이식(姜以式)의 북벌 주장/ 395
3. 임유관 전쟁/ 398
제 2장 살수(薩水) 전쟁
1. 고(高). 수(隋) 제2차 전쟁의 원인과 동기/ 400
2. 수 양제(煬帝)의 침입과 그 전략/ 402
3. 고구려의 방어와 그 작전계획/ 406
4. 고구려군의 패강(浿江) 승전/ 407
5. 고구려군의 살수(薩水) 전승/ 409
6. 고구려의 오열홀(烏列忽) 대첩/ 411
제 3장 오열홀 . 회원진에서의 전쟁과 수(隋)의 멸망
1. 수 양제의 재침(再侵)과 오열홀 성주(城主)의 방어/ 414
2. 수 양제의 세 번째 침략과 노수(弩手)의 저격/ 416
제 10편 고구려의 대(對) 당(唐) 전쟁
제 1장 연개소문의 서유(西遊)와 그 혁명
1. 연개소문의 출생과 소년시절의 서유(西遊)/ 422
2. 연개소문 귀국 후의 내외 정황/ 433
3. 연개소문의 혁명과 대도살(大屠殺)/ 437
4. 연개소문의 대당(對唐) 정책/ 443
제 2장 요수(遼水) 전쟁/ 446
제 3장 안시성(安市城) 전투
1. 안시성 전투 전 피차간의 교섭과 충돌/ 448
2. 당 태종의 전략과 침입 노선(路線)/ 453
3. 연개소문의 방어 및 진공(進攻) 전략/ 456
4. 상곡(上谷)의 횃불과 당 태종의 패주(敗走)/ 457
5. 화살 독으로 인한 당 태종의 사망과 연개소문의 당 정벌/ 466
6. 연개소문의 사적(事蹟)에 관한 거짓 기록들/ 472
7. 연개소문의 사망 연도에 관한 착오 10년/ 478
8. 연개소문의 공적(功績)에 대한 간략한 평가/ 484
제 11편 백제의 강성과 신라의 음모
제 1장 부여성충의 뛰어난 전략과 백제의 영토 개척
1. 부여성충(扶餘成忠)이 계책(計策)을 건의함/ 488
2. 대야성(大耶城)의 함락과 김품석(金品釋)의 참사/ 491
3. 고구려(高). 백제(百) 동맹의 성립/ 494
4. 안시성(安市城) 전투 때의 성충(成忠)의 건의/ 498
제 2장 김춘추(金春秋)의 외교와 김유신의 음모
1. 김춘추의 복수(復讐) 운동/ 501
2. 김유신의 등용(登用)/ 504
3. 거짓이 많은 김유신의 전공(戰功)/ 506
4. 김유신 특장(特長)의 음모(陰謀)/ 510
제 3장 부여성충(扶餘成忠)의 자살
1. 금화(錦花)와 임자(任子)의 참소와 이간질/ 513
2. 성충의 자살과 그를 따르던 무리들의 축출/ 515
제 4장 신(新). 당(唐) 양국군의 침입과 붙잡힌 백제 의자왕
1. 신라와 당의 연합 침입/ 517
2. 계백(階伯)과 의직(義直)의 전사/ 518
3. 의자왕의 포로됨과 백제의 두 서울 함락/ 523
제 5장 백제 의병의 봉기(群起)
1. 의자왕이 포로가 된 후 각지에서 일어난 의병/ 528
2. 패망한 중 . 남 양부 의병과 굳게 지킨 서부 의병/ 529
3. 싸울 때마다 대승한 부여복신/ 531
제 6장 고구려의 당병(唐兵) 격퇴, 백제 의병의 전성
1. 연개소문 사후 고구려의 내정(內政)/ 534
2. 평양의 당병(唐兵)과 웅진(熊津) 신라병의 대패/ 537
제 7장 부여복신의 죽음과 고구려의 내란
1. 적과 내통하다 붙잡혀서 참수당한 자진(自進)/ 541
2. 피살당한 부여복신/ 542
3. 복신 사후 풍왕의 망함/ 545
<부록 1>: 가신 님 丹齋(단재)의 靈前(영전)에 - 미망인/ 549
<부록 2>: 내가 만나본 단재 신채호/ 552
(신영우(申榮雨), 이광수(李光洙), 심 훈(沈熏),
정인보(鄭寅普), 원세훈(元世勳), 이극로(李克魯),
이윤재(李允宰), 변영만(卞榮晩), 신석우(申錫雨))
<부록 3>: 단재(丹齋) 신채호(申采浩) 연보/ 58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