장바구니 담기 close

장바구니에 상품을 담았습니다.

봉하일기

봉하일기

  • 노무현
  • |
  • 부키
  • |
  • 2012-01-12 출간
  • |
  • 320페이지
  • |
  • 147 X 205 X 30 mm /517g
  • |
  • ISBN 9788960511927
판매가

14,800원

즉시할인가

13,320

배송비

2,300원

(제주/도서산간 배송 추가비용:3,000원)

수량
+ -
총주문금액
13,320

※ 스프링제본 상품은 반품/교환/환불이 불가능하므로 신중하게 선택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출판사서평

노무현 전 대통령이 봉하마을에 귀향한 이후 모습을 담았다. 비서진이 작성한 노무현 전 대통령의 일상을 담은 일기와 함께 노 대통령이 직접 쓴 글, 방문객들과 나눈 인사말 등 32편의 글을 통해, 짧지만 강한 인상을 남긴 전직 대통령의 이야기를 담고 있다.
이 책에는 ‘자연인 노무현’의 모습이 오롯이 담겨 있다. 봉하마을을 찾은 방문객들을 위해 많게는 하루에 열한 번이나 나와서 인사하던 마음 약한 노무현, 자전거 뒤에 수레를 달아 손녀를 태우고 유유히 휘파람 불며 산책을 다니던 할아버지 노무현, 쓰레기로 망가진 고향을 보다 못해 목장갑 끼고 장화 신고 잡동사니들을 손수 치우던 일꾼 노무현, 오리 농법이 힘들어 못하겠다는 마을 주민에게 “내가 다 해 주겠다.”며 설득해 기어이 봉하 들판을 친환경 농업 단지로 만들어 낸 농부 노무현…
그렇다고 『봉하일기』가 추억을 되새기는 회고록은 아니다. 이 책은 슬픔이 아니라 희망을, 미래를 이야기한다. 노무현 대통령은 갔지만 그의 뜻을 잇는 사람들이 여전히 많기 때문이다. 대통령의 뜻을 이루고자 팔을 걷어붙인 비서진, 굳건하게 친환경 농법을 이어 가는 봉하 마을 주민들, 그리고 시민민주주의라는 노무현의 꿈을 지키는 수많은 시민들. 그래서 이 책은 따뜻하고 정겨우며 보는 이들을 흐뭇하게 만든다.

대통령에게 봉하는 퇴임 후 다시 찾은 봄날이었다
그곳에 가면 따뜻하고 정겨운 전직 대통령을 볼 수 있었다


저는 요즈음 하루에도 몇 번씩 대문 앞에 나가 손님들에게 인사를 합니다. 힘들지만 반갑고 즐겁습니다. 그런데 참 안타깝습니다. 손님들은 봉하마을에 와서 저의 생가 보고, 우리 집 보고, 그리고 “나오세요.” 소리치고, 어떤 때는 저를 한 번 보기도 하고, 어떤 때는 보지 못하고 돌아가십니다. 참 신기하다는 생각이 듭니다. 아무리 생각해 보아도 참 재미없겠다 싶은데 그래도 손님은 계속 오십니다.
-노무현 ㆍ 2008년 3월 6일 <사람사는 세상> 홈페이지 글에서

학생들 앞에 선 대통령은 1959년 35회 졸업생이라며 인사말을 건넵니다. “적어라. 종이 없으면 손바닥에 적어라.” 농담까지 섞어 가며 말을 이어 가자 여기저기서 웃음과 환성, 박수가 터져 나옵니다. 초등학생답게 별의별 질문이 다 나오네요. “어린이회장 해 보셨나요?” “어떤 운동을 잘하세요?” “영부인은 어떻게 만나셨나요?” 등등. 압권은 이 대목입니다. “저희 고모부 아세요? 박 아무개라고요.” “잘 알지. 그저께 나랑 장군차 심었는데.”
-안영배 ㆍ <달라진 것과 달라지지 않은 것> 중에서

대통령은 담배를 피우셨다. 끊으려고 해 보기도 하고 줄이려고도 해서 대통령이 갖고 있지 않고 비서들에게 맡겨 놨다. 비서실 문을 벌컥 열고 들어오면서 “담배 한 대 주게.” 그러면 재떨이와 담배 한 개, 라이터를 드렸다. 서거하고도 꽤 오랫동안 환청 같은 게 들렸다. 대통령이 문을 열고 들어오거나 인터폰으로 “경수 씨, 담배 한 대 주게.”라고 하는 목소리가 계속 들렸다. 돌아보면 아무도 없었다.
-김경수 ㆍ <봉하 그 후> 중에서

밀짚모자가 잘 어울리던 전직 대통령

2008년 2월 25일 노무현 전 대통령은 후임 대통령 취임식 참석 후 곧장 서울역에서 KTX에 몸을 싣고 고향 경남 김해시 진영읍 봉하마을로 향했다. 봉하마을에는 역대 처음으로 고향에 둥지를 마련하는 전직 대통령을 환영하는 1만여 인파가 종일 북적거렸다. 이를 지켜보는 국민들의 시선은 따뜻했다.
이렇게 고향에 내려온 전직 대통령의 일상과 퇴임 후 꿈꾸었던 일들이 한 권의 책으로 묶였다. 『봉하일기』는 노무현 전 대통령이 쓴 글과 마을을 찾은 방문객들에게 전한 인사말, 비서진들이 작성한 일기 등 32편의 글을 담아 밀짚모자가 유난히 잘 어울리던 전직 대통령이 봉하에서 보낸 나날을 오롯이 독자들에게 전한다.

봉하는 ‘다시 찾은 봄날’이었다

이 책은 짧지만 따뜻했던 봄날에 관한 이야기이다. 노무현 전 대통령 서거 이후 그를 추모하고 회고하는 책은 많이 나왔다. 그러나 『봉하일기』는 때로 비감하거나 안타까운 정을 담은 여러 책들과는 결이 조금 다르다. 이 안에는 따스하고 정겨운, 보는 이들을 흐뭇하게 만드는 추억이 풍부하다.
전직 대통령에게도, 청와대에서 함께 일했던 비서진들에게도 귀향한 대통령을 찾는 방문객들의 발길은 예상 밖의 일이었다. 매일 수천 명의 인파가 봉하를 찾았다. 막 완공한 대통령 사저는 아직 손볼 곳이 많았고 채 짐도 풀지 못한 상태였는데 전국에서 모여든 방문객들은 손나팔을 만들어 “대통령님 나와 주세요!”를 외쳤다. 방문객들의 외침은 아침 일찍부터 저녁 늦게까지 계속됐다. 노무현 전 대통령은 그 소리에 놀라 현관에 나가 한 번씩 손을 흔들기도 했고, 많은 사람이 모여 있으면 사저 밖으로 나가 인사를 하고 들어왔다. 언제 나오시느냐는 문의가 많아 사저 앞에 별도 공지문까지 붙였다. 결국 며칠 지나지 않아 방문객 인사가 전직 대통령의 주요 일정이 되었다.
비서관들은 이런 모습을 주제나 소재별로 정리해서 알릴 필요가 있겠다 싶었다. 역사적 기록으로도 의미가 있다고 보았다. 이것이 1~2주일에 한 번씩 전직 비서진들이 작성하는 봉하일기의 시작이었다. 이후 봉하일기는 인터넷 공간에서 봉하 소식을 알리면서 퇴임한 대통령과 시민들의 소통 공간으로 자리 잡았다.
비서진들이 전하는 전직 대통령의 귀향 일성은 “야~ 정말 기분 좋~다”였다. 오리를 풀어 자연 농법을 실험하는 소박한 농군이자, 손녀딸을 자전거에 태우고 화포천 둑길을 달리는 자상한 할아버지, 태어나고 자란 고향을 살기 좋은 생태 마을로 가꿀 꿈에 부푼 자연인 노무현에게 봉하는 그 어느 때보다 행복한 시간을 선사했다.
노무현 전 대통령은 퇴임을 준비하면서 가졌던 여러 구상을 비서진과 논의하면서 봉하에서 생활을 의욕적으로 시작했다. 마을을 아름답게 가꾸기 위해 자원봉사자들과 마을 청소를 하고, 주민들과 친환경 농사를 어떻게 지을지 상의했다. 여러 가지 아이디어도 내놓았다.
10월 20일 노무현 전 대통령은 직접 콤바인을 몰아 ‘오리쌀’ 수확에 나서기도 했다. 전직 대통령의 시운전 모습을 본 주민들은 ‘농군 한 사람 직업 잃게 생겼다’며 웃었고, 가마솥 두 개를 걸어 밥을 짓고 국을 끓여 추수 잔치를 즐겼다.

찍사와 농군으로 변신한 비서관들

『봉하일기』는 가장 가까운 곳에서 인간 노무현을 지켜본 이들의 추억담이기도 하다. 마지막 순간까지 전직 대통령 곁을 지킨 비서진들의 일기가 내용의 절반을 차지한다.
귀향 3주 만에 방문자 수가 7만 명을 넘을 정도이니 봉하 사저의 비서관들만으로는 일손이 모자랐다. 전직 비서관들을 비롯한 여러 사람들이 자원봉사를 하러 봉하로 달려갔다. 봉하에 내려온 지 채 두 달이 되지 않아 비서실 식구들은 완전히 ‘촌사람’이 다 됐다. 김정호 비서관은 마을 주변의 식물은 물론이고 지역 역사와 생태까지 모르는 게 없는 마을 사람이 되어 갔고, 이호철 전 민정수석은 부인으로부터 영락없는 농사꾼이지 전직 수석다운 모습은 어디 있느냐는 핀잔까지 들었다. 그런가 하면 문용욱 전 비서관은 전직 대통령의 동정을 열심히 사진에 담는 ‘찍사’로 변신했다. 한때 ‘노간지’라는 별칭까지 낳았던 여러 사진들이 그의 손끝에서 탄생했다. 신미희 전 청와대 홍보수석실 행정관은 7월 3일 기록한 일기에서 오리 농법을 자세히 소개한다.

다시 봉하일기를 쓰는 사람들

그러나 전직 대통령의 행복한 봄날은 그리 오래가지 않았다. 2,640마리의 오리 농군들과 함께 일군 봉하 오리쌀 수확 소식을 전한 열여섯 번째 일기를 끝으로 봉하일기는 긴 겨울잠에 들어가야 했다. 하지만 노무현이 심은 꿈마저 멈춘 것은 아니었다.
서거 이후 대통령도 없는데 비서관들이 봉하에 남아 있을지, 갓 시작한 친환경 농사를 지속할 수 있을지 걱정하는 마을 사람들을 봐서라도 가만히 있을 수는 없었다. 묘역 조성과 복원된 생가를 관리하기 위한 봉하재단과 기념사업을 총괄할 노무현재단이 만들어졌으며 봉하 오리쌀을 도정할 방앗간도 완공했다. 방앗간을 운영할 영농법인에는 마을 주민들과 비서진들이 함께 주주로 참여했고, 그동안 친환경 농사를 담당해 온 김정호 비서관이 영농법인 대표를 맡았다. 친환경 농사가 3년차로 접어들면서 시스템이 안착되었다.
노무현 전 대통령 서거 이후 고인의 뜻을 기리기 위한 각종 사업도 시민들의 참여 속에 진행되고 있다. 그런 면에서 봉하일기는 기록 주체가 일반 시민들로 바뀌었을 뿐 지금 이 순간에도 진행 중인 일기인 셈이다.

<추천사>

대통령에게 봉하는 퇴임 후 다시 찾은 봄날이었다. 그곳에 가면 따뜻하고 정겨운 전직 대통령을 볼 수 있었다. 항상 따뜻한 시선으로 세상을 보려고 했던 그분의 시선을 그곳에서만큼은 있는 그대로 온전히 느낄 수 있었다. (…) 봉하는 이제 우리에게 아련한 추억으로 남은 것이 아니라 미래를 향해 나아가고 있다. 그런 점에서 노 대통령의 귀향 후 기록인 ‘봉하일기’는 너무나 소중한 내용이다. 노무현 대통령이 왜 봉하로 귀향을 했으며, 그분이 무슨 꿈을 꾸었는지 생생하게 다가설 수 있게 해 준다.
- 문재인(노무현재단 이사장), 추천사 ‘바보 노무현의 뒤를 잇는 사람들’ 중에서

<책속으로 추가>

제발 오늘 쌀 사가지 마세요. 왜냐하면 쌀이 좀 남아야 저도 연고 판매를 할 수 있잖습니까, 그죠?(사람들 웃음) 그런데 오늘 인사 나오는데 저 사람들이 저보고 여러분한테 쌀 좀 사 가라 하라고.(사람들 웃음) 우리가 정한 방침이 현장에서 30퍼센트를 소화한다는 거거든요. 팔긴 팔아야 됩니다. 그죠? 그러니까 저 사람들은 여기서 팔아야 된다는 거지요. 근데 저는 친구가 많으니까 되도록이면 공평하게 기회를 드렸다는 명분은 살리고 아는 사람들한테 생색내 가면서 팔면 좋지 않겠습니까, 그죠? 저 사람들은 현장에서 파는 게 원칙이다, 저는 생색내면서 팔아 묵자. 자, 어느 쪽으로 갈까요?(사람들 웃음)
어느 쪽이 좋을지 판단이 안 서지요? 세상엔 판단이 잘 안 서는 일이 참 많습니다. 공정하게 팔고 나면 “아는 사람한테 좀 갈라 팔아야지 그걸 거기서 다 팔았느냐?”고 삿대질 하는 사람이 나오고, 만일에 아는 사람들한테 다 갈라 주고 나면 “공평하게 계획한 대로 팔아야지 그걸 남겨 가지고 뒤로 빼돌렸다.”고…. 국정감사 할 때 늘 그러잖습니까?(웃음) 그래서 세상이 힘들기도 하고 재밌기도 하고 그런 거지요.
하여튼 저는 “사 가지 마십시오!”, 저 사람들은 “많이 사 가십시오!” 이렇습니다. 여러분은 어쩔 겁니까? 여러분은 마, 알아서 하십시오.(사람들 웃음) - 본문 287쪽 ‘노짱의 편지 - 오늘 쌀 사가지 마세요!’

목차

추천사ㆍ‘바보 노무현’의 뒤를 잇는 사람들ㆍ문재인 14
서문ㆍ봉하일기를 펴내며ㆍ김경수 18

● 노짱의 편지 안녕하세요 노무현입니다26
● 봉하일기 1봉하마을에 전입신고 드립니다 | 김경수 28

● 노짱의 편지 봉하에서 띄우는 두 번째 편지 42
● 봉하일기 2그곳에 가면 그가 있다 | 양정철 46

● 노짱의 편지 이제 민주주의 2.0으로 갑니다 58
● 봉하일기 3퇴임 한 달, 달라진 것과 달라지지 않은 것 | 안영배 62

● 노짱의 편지 장군차를 심는 까닭80
● 봉하일기 4장군차 흰 꽃 필 때 다시 오세요 | 이창섭82

● 노짱의 편지 봉하마을 명물을 소개합니다 92
● 봉하일기 5 변화를 향해 천천히 뚜벅뚜벅 | 김상철 96

● 노짱의 편지 흙길 걷고 꽃 보고 새소리 듣는 게 ‘복지’ 108
● 봉하일기 6 봉하마을의 봄맞이 | 정구철 112

● 노짱의 편지 약자 지키는 학이 용보다 낫습니다 124
● 봉하일기 7 희망을 꿈꾸는 늪, 화포천을 아시나요 | 백승권 128

● 노짱의 편지 땅강아지도 사는 논을 만들어 보려 합니다 144
● 봉하일기 8 ‘노무현표 오리쌀’ 기대하세요 | 신미희 146

● 노짱의 편지 출세한 사람 성공한 사람 160
● 봉하일기 9 시민으로 농민으로 다시 맞은 봄날 | 윤태영 164

● 노짱의 편지 시민의 힘을 믿습니다 176
● 봉하일기 10 왜 아직도 ‘민주주의’인가 | 김종민 178

● 노짱의 편지 땅이 살아야 사람도 산다 194
● 봉하일기 11 자연인, 자연으로 돌아오다 | 조기숙 198

● 노짱의 편지 왜 오리쌀인가 210
● 봉하일기 12 ‘오리 농군’ 덕에 풍년 들것네 | 신미희 214

● 노짱의 편지 이명박 대통령께 드리는 편지 230
● 봉하일기 13 또다시 ‘바보 노무현’ | 양정철 234

● 노짱의 편지 결국은 ‘사람’입니다 246
● 봉하일기 14 5년 만의 여름휴가 | 윤태영 250

● 노짱의 편지 세금 깎으면 경제성장? 새빨간 거짓말입니다 262
● 봉하일기 15 그의 열정은 어디에서 오는가 | 안영배 270

● 노짱의 편지 오늘 쌀 사 가지 마세요! 286
● 봉하일기 16 봉하 오리쌀 ‘꿀맛’입니다 | 신미희 288

봉하 그 후ㆍ끝나지 않은 노무현의 꿈ㆍ김경수 302
노무현 대통령 봉하 일지 316

저자소개

대한민국 제16대 대통령

교환 및 환불안내

도서교환 및 환불
  • ㆍ배송기간은 평일 기준 1~3일 정도 소요됩니다.(스프링 분철은 1일 정도 시간이 더 소요됩니다.)
  • ㆍ상품불량 및 오배송등의 이유로 반품하실 경우, 반품배송비는 무료입니다.
  • ㆍ고객님의 변심에 의한 반품,환불,교환시 택배비는 본인 부담입니다.
  • ㆍ상담원과의 상담없이 교환 및 반품으로 반송된 물품은 책임지지 않습니다.
  • ㆍ이미 발송된 상품의 취소 및 반품, 교환요청시 배송비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 ㆍ반품신청시 반송된 상품의 수령후 환불처리됩니다.(카드사 사정에 따라 카드취소는 시일이 3~5일이 소요될 수 있습니다.)
  • ㆍ주문하신 상품의 반품,교환은 상품수령일로 부터 7일이내에 신청하실 수 있습니다.
  • ㆍ상품이 훼손된 경우 반품 및 교환,환불이 불가능합니다.
  • ㆍ반품/교환시 고객님 귀책사유로 인해 수거가 지연될 경우에는 반품이 제한될 수 있습니다.
  • ㆍ스프링제본 상품은 교환 및 환불이 불가능 합니다.
  • ㆍ군부대(사서함) 및 해외배송은 불가능합니다.
  • ㆍ오후 3시 이후 상담원과 통화되지 않은 취소건에 대해서는 고객 반품비용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반품안내
  • 마이페이지 > 나의상담 > 1 : 1 문의하기 게시판 또는 고객센터 1800-7327
교환/반품주소
  • 경기도 파주시 문발로 211 1층 / (주)북채널 / 전화 : 1800-7327
  • 택배안내 : CJ대한통운(1588-1255)
  • 고객님 변심으로 인한 교환 또는 반품시 왕복 배송비 5,000원을 부담하셔야 하며, 제품 불량 또는 오 배송시에는 전액을 당사에서부담 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