장바구니 담기 close

장바구니에 상품을 담았습니다.

산해경(2/3)

산해경(2/3)

  • 곽박
  • |
  • 동서문화사
  • |
  • 2011-12-12 출간
  • |
  • 512페이지
  • |
  • 153 X 224 X 35 mm /752g
  • |
  • ISBN 9788949706993
판매가

15,000원

즉시할인가

13,500

배송비

2,300원

(제주/도서산간 배송 추가비용:3,000원)

수량
+ -
총주문금액
13,500

※ 스프링제본 상품은 반품/교환/환불이 불가능하므로 신중하게 선택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출판사서평

선진시대 출현한 이채 무비의 경서
현실과 시공을 뛰어넘는 먼 미지의 세계
오방위의 명산대천과 천지만물이 다가온다!

「산경」과 「해경」 총 18권 3만 1천 자의 대기록

≪산해경≫은 중국 고대 전적 중 가장 이채로운 경서라 할 수 있다. ‘산경 ’은 무축巫祝들이 고대 이래 전해오던 무사巫事를 기록한 일종의 무서이며,‘해경’은 상상력과 전문傳聞을 바탕으로 고대 신화와 혼합하여 기술한 내용이다. 우리의 고대민족 형성과정까지, 나아가 일본, 몽고, 인도를 거쳐 멀리 중앙아시아와 남방 이민족의 신기한 원시 습속까지 담고 있다.

≪산해경≫에 대하여

≪산해경山海經≫은 중국 고대 전적 중 가장 이채로운 경서라 할 수 있다. 어느 한 시대, 한 사람의 손에서 이루어진 것이 아니라 전국 초기부터 한나라 초기까지 남방 초楚나라와 파촉巴蜀 지역 사람들의 손을 거쳐 전해져 오다가 서한 말 유흠劉歆이 정리한 것으로 보고 있다. 선진先秦 시대에 출현한 책으로 18권, 총 3만 1천여 자로 구성되어 있다. 크게 ‘산경山經’과 ‘해경海經’으로 나누는데, ‘산경’과 ‘해경’은 그 기록 시기가 각기 다르다.
‘산경’은 무축巫祝들이 고대 이래 전해오던 무사巫事를 기록한 일종의 무서巫書로서 그들의 세계관과 무업巫業 수행을 위한 오방위의 명산대천과 동식물, 그곳을 주관하고 있는 신에 대한 제사, 동식물과 광물, 약재와 치료, 금기와 축사逐邪 등을 초보적으로 기록한 것이다. 전국시대 초기, 혹은 중기에 이루어진 것이며 이 시기에 어느 정도 모습을 갖춘 기록물로 존재했을 것으로 보인다. 이 ‘산경’은 비교적 순서와 기술이 일관된 형식을 갖추고 있으며 남, 서, 북, 동 네 방위에 다시 중앙을 넣어 소위 오방五方으로 축을 이루고 있는 것 때문에 이를 흔히 ‘오장산경五藏山經’이라 한다.
‘해경’은 방사方士들이 구성한 것이며 해내외의 특수지역, 혹은 나라와 종족에 대한 상상력과 전문傳聞을 바탕으로 이를 고대 신화와 혼합하여 기술한 것이다. 시기는 대체적으로 진대秦代부터 서한西漢 초기에 이루어진 것으로 보고 있다.

고대민족 형성과정과 신기무비의 원시습속

그리고 뒷부분인 ‘대황경’과 ‘해내경’ 5권은 원래 ‘해경’의 일부였으나 서한 말 유수가 정리할 때 없애버려 폐기하다시피 한 것이다. 그러나 이것이 없어지지 않고 전해내려 오다가 진晉나라 때 이르러 곽박郭璞이 주를 달면서 다시 본 책과 합쳐져 독립적 편목으로 뒤쪽에 이어져 14권부터 18권까지 자리를 잡게 되었다. 그 때문에 ≪한서漢書≫ 예문지藝文志에는 「≪산해경≫ 13편」으로 기록된 것이다.
내용은 주로 지리, 물산, 신화, 지질, 천문, 기상, 동물, 식물, 의약, 무속, 종교, 민족, 역사, 이적異跡, 금기, 민속, 고고, 인류학, 해양학, 과학사 등 이루 헤아릴 수 없이 많은 정보를 담고 있어 백과사전이라고 할 만하다. 그러나 설명이 지나치게 단편적이어서 지금 우리가 원하는 형식을 갖춘 지식전달의 책은 아니지만, 상상력의 한계가 어디까지인가를 보여주는 흥미롭고 이해할 수 없는 형상들을 천연스럽게 거론하고 있다. 그야말로 불가사의한 몽상으로 가득 차 있는 기록이다.
이 ≪산해경≫은 이러한 원시 기록으로 그들의 산천과 자연신에 대한 숭배와 제사, 풍속과 금기, 고통과 질병 치료, 무격巫覡들의 역할과 기도 등, 인류가 비로소 미개에서 초보적 문명으로 넘어가는 과정의 변화를 우리에게 알려주고 있다. 게다가 이웃나라인 우리의 고대 민족 형성 과정과, 나아가 일본, 몽고, 인도를 거쳐 널리 중앙아시아와 남방 이민족의 신기한 원시 습속까지 그대로 담고 있다.

중국신화의 보고, 역사적 자료

≪산해경≫이 다루고 있는 범위와 내용은 매우 넓고 다양하다. 이는 고대 중국인들의 일상생활에서 실제 상상력을 발휘하기도 하고, 질병으로부터의 구제, 하늘과의 소통을 염원한 내용들로써 그 중에는 원시적인 신화, 종교, 미신, 전설, 무속 등을 담고 있다. 따라서 문학연구가들은 이 ≪산해경≫을 중국 신화의 보고寶庫로 여기고 있다. 천지창조와 보수의 여와女? 신화, 동해바다를 끝없이 메우고 있는 정위精衛의 안타까운 이야기, 서왕모西王母, 치우蚩尤와 황제黃帝의 전투, 은殷민족과 주周민족의 시조신화, 삼황오제三皇五帝의 이름과 발명품들, 도끼를 들고 춤을 추고 있는 형천刑天의 모습 등과 삼청조三靑鳥, 삼수三首, 기굉奇肱, 우민羽民, 흑치黑齒, 초요焦僥 등 이루 헤아릴 수 없는 기이한 종족과 그 생김새의 이야기는 풍부한 당시 사람들의 염원과 상상을 엿볼 수 있는 귀중한 자료이다. 더구나 역사적으로도 이미 널리 알려진 대우大禹의 치수, 공공共工과 계啓에 대한 기록 등은 일부 고대사의 실질적 기록임이 분명하다고 보기도 한다.

목차

卷五 中山經

5-1. 中山經

269(5-1-1) 감조산甘棗山
270(5-1-2) 역아산歷兒山
271(5-1-3) 거저산渠?山
272(5-1-4) 총롱산蔥聾山
273(5-1-5) 왜산?山
274(5-1-6) 탈호산脫扈山
275(5-1-7) 금성산金星山
276(5-1-8) 태위산泰威山
277(5-1-9) 강곡산?谷山
278(5-1-10) 오림산吳林山
279(5-1-11) 우수산牛首山
280(5-1-12) 곽산?山
281(5-1-13) 합곡산合谷山
282(5-1-14) 음산陰山
283(5-1-15) 고등산鼓?山
284(5-1-16) 박산薄山 산계

5-2. 中次二經

285(5-2-1) 휘제산煇諸山
286(5-2-2) 발시산發視山
287(5-2-3) 호산豪山
288(5-2-4) 선산鮮山
289(5-2-5) 양산陽山
290(5-2-6) 곤오산昆吾山
291(5-2-7) 간산?山
292(5-2-8) 독소산獨蘇山
293(5-2-9) 만거산蔓渠山
294(5-2-10) 제산濟山 산계

5-3. 中次三經

295(5-3-1) 오안산敖岸山
296(5-3-2) 청요산靑要山
297(5-3-3) 외산?山
298(5-3-4) 의소산宜蘇山
299(5-3-5) 화산和山
300(5-3-6) 배산?山 산계

5-4. 中次四經

301(5-4-1) 녹제산鹿蹄山
302(5-4-2) 부저산扶?山
303(5-4-3) 이산釐山
304(5-4-4) 기미산箕尾山
305(5-4-5) 병산柄山
306(5-4-6) 백변산白邊山
307(5-4-7) 웅이산熊耳山
308(5-4-8) 모산牡山
309(5-4-9) 환거산?擧山
310(5-4-10) 이산釐山 산계

5-5. 中次五經

311(5-5-1) 구상산苟牀山
312(5-5-2) 수산首山
313(5-5-3) 현작산縣?山
314(5-5-4) 총롱산蔥聾山
315(5-5-5) 조곡산條谷山
316(5-5-6) 초산超山
317(5-5-7) 성후산成侯山
318(5-5-8) 조가산朝歌山
319(5-5-9) 괴산槐山
320(5-5-10) 역산歷山
321(5-5-11) 시산尸山
322(5-5-12) 양여산良餘山
323(5-5-13) 고미산蠱尾山
324(5-5-14) 승산升山
325(5-5-15) 양허산陽虛山
326(5-5-16) 박산薄山 산계

5-6. 中次六經

327(5-6-1) 평봉산平逢山
328(5-6-2) 호저산縞?山
329(5-6-3) 괴산?山
330(5-6-4) 첨제산瞻諸山
331(5-6-5) 누탁산婁?山
332(5-6-6) 백석산白石山
333(5-6-7) 곡산穀山
334(5-6-8) 밀산密山
335(5-6-9) 장석산長石山
336(5-6-10) 부산傅山
337(5-6-11) 탁산?山
338(5-6-12) 상증산常烝山
339(5-6-13) 과보산?父山
340(5-6-14) 양화산陽華山
341(5-6-15) 호저산縞?山 산계

5-7. 中次七經

342(5-7-1) 휴여산休與山
343(5-7-2) 고종산鼓鍾山
344(5-7-3) 고요산姑?山
345(5-7-4) 고산苦山
346(5-7-5) 도산堵山
347(5-7-6) 방고산放皐山
348(5-7-7) 대고산
349(5-7-8) 반석산半石山
350(5-7-9) 소실산少室山
351(5-7-10) 태실산泰室山
352(5-7-11) 강산講山
353(5-7-12) 영량산?梁山
354(5-7-13) 부희산浮?山
355(5-7-14) 소형산少?山
356(5-7-15) 태산太山
357(5-7-16) 말산末山
358(5-7-17) 역산役山
359(5-7-18) 민산敏山
360(5-7-19) 대외산大?山
361(5-7-20) 고산苦山 산계

5-8. 中次八經

362(5-8-1) 경산景山
363(5-8-2) 형산荊山
364(5-8-3) 교산驕山
365(5-8-4) 여궤산女?山
366(5-8-5) 의제산宜諸山
367(5-8-6) 윤산綸山
368(5-8-7) 육궤산陸?山
369(5-8-8) 광산光山
370(5-8-9) 기산岐山
371(5-8-10) 동산銅山
372(5-8-11) 미산美山
373(5-8-12) 대요산大堯山
374(5-8-13) 영산靈山
375(5-8-14) 용산龍山
376(5-8-15) 형산衡山
377(5-8-16) 석산石山
378(5-8-17) 약산若山
379(5-8-18) 체산?山
380(5-8-19) 옥산玉山
381(5-8-20) 환산?山
382(5-8-21) 인거산仁擧山
383(5-8-22) 사매산師每山
384(5-8-23) 금고산琴鼓山
385(5-8-24) 형산荊山 산계

5-9. 中次九經

386(5-9-1) 여궤산女?山
387(5-9-2) 민산岷山
388(5-9-3) 내산崍山
389(5-9-4) 거산?山
390(5-9-5) 고량산高梁山
391(5-9-6) 사산蛇山
392(5-9-7) 격산?山
393(5-9-8) 우양산隅陽山
394(5-9-9) 기산岐山
395(5-9-10) 구미산勾?山
396(5-9-11) 풍우산風雨山
397(5-9-12) 옥산玉山
398(5-9-13) 웅산熊山
399(5-9-14) 외산?山
400(5-9-15) 갈산葛山
401(5-9-16) 가초산賈超山
402(5-9-17) 민산岷山 산계

5-10. 中次十經

403(5-10-1) 수양산首陽山
404(5-10-2) 호미산虎尾山
405(5-10-3) 번궤산繁?山
406(5-10-4) 용석산勇石山
407(5-10-5) 부주산復州山
408(5-10-6) 저산楮山
409(5-10-7) 우원산又原山
410(5-10-8) 탁산?山
411(5-10-9) 병산丙山
412(5-10-10) 수양산首陽山 산계

5-11. 中次十一經

413(5-11-1) 익망산翼望山
414(5-11-2) 조가산朝歌山
415(5-11-3) 제균산帝?山
416(5-11-4) 시산視山
417(5-11-5) 전산前山
418(5-11-6) 풍산?山
419(5-11-7) 면상산免牀山
420(5-11-8) 피산皮山
421(5-11-9) 요벽산瑤碧山
422(5-11-10) 지리산支離山
423(5-11-11) 질조산
424(5-11-12) 근리산?理山
425(5-11-13) 의고산依?山
426(5-11-14) 즉곡산卽谷山
427(5-11-15) 계산?山
428(5-11-16) 고전산高前山
429(5-11-17) 유희산游?山
430(5-11-18) 종산從山
431(5-11-19) 영진산??山 인연
432(5-11-20) 필산畢山
433(5-11-21) 낙마산樂馬山
434(5-11-22) 함산?山
435(5-11-23) 영산?山
436(5-11-24) 호수산虎首山
437(5-11-25) 영후산?侯山
438(5-11-26) 대숙산大孰山
439(5-11-27) 비산卑山
440(5-11-28) 의제산倚帝山
441(5-11-29) 예산?山
442(5-11-30) 아산雅山
443(5-11-31) 선산宣山
444(5-11-32) 형산衡山
445(5-11-33) 풍산?山
446(5-11-34) 구산?山
447(5-11-35) 선산鮮山
448(5-11-36) 장산章山
449(5-11-37) 대지산大支山
450(5-11-38) 구오산區吳山
451(5-11-39) 성흉산聲匈山
452(5-11-40) 대외산大?山
453(5-11-41) 종구산踵臼山
454(5-11-42) 역석산歷石山
455(5-11-43) 구산求山
456(5-11-44) 축양산丑陽山
457(5-11-45) 오산奧山
458(5-11-46) 복산服山
459(5-11-47) 묘산杳山
460(5-11-48) 궤산?山
461(5-11-49) 형산荊山 산계

5-12. 中次十二經

462(5-12-1) 편우산篇遇山
463(5-12-2) 운산雲山
464(5-12-3) 구산龜山
465(5-12-4) 내산內山
466(5-12-5) 풍백산風伯山
467(5-12-6) 부부산夫夫山
468(5-12-7) 동정산洞庭山
469(5-12-8) 폭산暴山
470(5-12-9) 즉공산卽公山
471(5-12-10) 요산堯山
472(5-12-11) 강부산江浮山
473(5-12-12) 진릉산眞陵山
474(5-12-13) 양제산陽帝山
475(5-12-14) 시상산柴桑山
476(5-12-15) 영여산榮余山
477(5-12-16) 동정산洞庭山 산계
478(5-12-17) 중앙을 경유하는 산들
479(5-12-18) 천하의 명산
480(5-12-19) 오장五臧
481(5-12-20) 오장산경五臧山經

<海經>

卷六 海外南經


482(6-1) 육합六合과 사해四海
483(6-2) 해외남경
484(6-3) 결흉국結匈國
485(6-4) 남산南山
486(6-5) 비익조比翼鳥
487(6-6) 우민국羽民國
488(6-7) 신인神人
489(6-8) 필방조畢方鳥
490(6-9) 환두국?頭國
491(6-10) 염화국厭火國
492(6-11) 삼주수三株樹
493(6-12) 삼묘국三苗國
494(6-13) 질국?國
495(6-14) 관흉국貫匈國
496(6-15) 교경국交脛國
497(6-16) 불사민不死民
498(6-17) 반설국反舌國
499(6-18) 곤륜허昆侖虛
500(6-19) 예?와 착치鑿齒
501(6-20) 삼수국三首國
502(6-21) 주요국周饒國
503(6-22) 장비국長臂國
504(6-23) 적산狄山
505(6-24) 축융祝融

卷七 <海外西經>


506(7-1) 해외 서쪽
507(7-2) 멸몽조滅蒙鳥
508(7-3) 대운산大運山
509(7-4) 대악지야大樂之野
510(7-5) 삼신국三身國
511(7-6) 일비국一臂國
512(7-7) 기굉국奇肱國
513(7-8) 형천形天
514(7-9) 여제女祭와 여척女戚
515(7-10) 차조?鳥와 첨조
516(7-11) 장부국丈夫國
517(7-12) 여축시女丑尸
518(7-13) 무함국巫咸國
519(7-14) 병봉幷封
520(7-15) 여자국女子國
521(7-16) 헌원국軒轅國
522(7-17) 궁산窮山
523(7-18) 제옥諸夭
524(7-19) 용어龍魚
525(7-20) 백민국白民國
526(7-21) 숙신국肅愼國
527(7-22) 장고국長股國
528(7-23) 욕수?收

卷八 <海外北經>


529(8-1) 해외 북쪽
530(8-2) 무계국無?國
531(8-3) 촉음燭陰
532(8-4) 일목국一目國
533(8-5) 유리국柔利國
534(8-6) 상류씨相柳氏
535(8-7) 심목국深目國
536(8-8) 무장국無腸國
537(8-9) 섭이국?耳國
538(8-10) 과보?父
539(8-11) 박보국博父國
540(8-12) 우소적석산禹所積石山
541(8-13) 구영국拘?國
542(8-14) 심목尋木
543(8-15) 기종국?踵國
544(8-16) 구사歐絲
545(8-17) 삼상三桑
546(8-18) 범림范林
547(8-19) 무우산務隅山
548(8-20) 평구平丘
549(8-21) 도도??
550(8-22) 우강?彊

卷九 <海外東經>


551(9-1) 해외 동쪽
552(9-2) 차구
553(9-3) 대인국大人國
554(9-4) 사비시奢比尸
555(9-5) 군자국君子國
556(9-6) 홍홍
557(9-7) 천오天吳
558(9-8) 청구국靑丘國
559(9-9) 수해?亥
560(9-10) 흑치국黑齒國
561(9-11) 부상扶桑
562(9-12) 우사첩국雨師妾國
563(9-13) 현고국玄股國
564(9-14) 모민국毛民國
565(9-15) 노민국勞民國
566(9-16) 구망句芒
567(9-17) 건평建平 원년元年

卷十 <海內南經>


568(10-1) 바다 안 남쪽
569(10-2) 구?와 민?
570(10-3) 삼천자장산三天子?山
571(10-4) 계림桂林
572(10-5) 울수鬱水 남쪽의 나라들
573(10-6) 효양국梟陽國
574(10-7) 시?
575(10-8) 창오산蒼梧山
576(10-9) 범림氾林
577(10-10) 성성??
578(10-11) 서우犀牛
579(10-12) 맹도孟?
580(10-13) 알유??
581(10-14) 건목建木
582(10-15) 저인국?人國
583(10-16) 파사巴蛇
584(10-17) 모마?馬
585(10-18) 흉노匈奴

도서소개

한국중국언어학회, 중국어문학연구회, 한국중어중문학회 회장을 역임한 임동석의 「임동석중국사상100」 제111권 『산해경』 제2/3권. 중국 고대 전적 중 가장 이채로운 경서 <산해경>을 번역했다. 직역을 중심으로 삼았으나 뜻을 쉽게 전달하기 위해 의역도 활용했다. 번역문은 물론, 원문도 실었다. 주석을 덧붙여 읽기, 대조, 연구에 편리하다.

교환 및 환불안내

도서교환 및 환불
  • ㆍ배송기간은 평일 기준 1~3일 정도 소요됩니다.(스프링 분철은 1일 정도 시간이 더 소요됩니다.)
  • ㆍ상품불량 및 오배송등의 이유로 반품하실 경우, 반품배송비는 무료입니다.
  • ㆍ고객님의 변심에 의한 반품,환불,교환시 택배비는 본인 부담입니다.
  • ㆍ상담원과의 상담없이 교환 및 반품으로 반송된 물품은 책임지지 않습니다.
  • ㆍ이미 발송된 상품의 취소 및 반품, 교환요청시 배송비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 ㆍ반품신청시 반송된 상품의 수령후 환불처리됩니다.(카드사 사정에 따라 카드취소는 시일이 3~5일이 소요될 수 있습니다.)
  • ㆍ주문하신 상품의 반품,교환은 상품수령일로 부터 7일이내에 신청하실 수 있습니다.
  • ㆍ상품이 훼손된 경우 반품 및 교환,환불이 불가능합니다.
  • ㆍ반품/교환시 고객님 귀책사유로 인해 수거가 지연될 경우에는 반품이 제한될 수 있습니다.
  • ㆍ스프링제본 상품은 교환 및 환불이 불가능 합니다.
  • ㆍ군부대(사서함) 및 해외배송은 불가능합니다.
  • ㆍ오후 3시 이후 상담원과 통화되지 않은 취소건에 대해서는 고객 반품비용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반품안내
  • 마이페이지 > 나의상담 > 1 : 1 문의하기 게시판 또는 고객센터 1800-7327
교환/반품주소
  • 경기도 파주시 문발로 211 1층 / (주)북채널 / 전화 : 1800-7327
  • 택배안내 : CJ대한통운(1588-1255)
  • 고객님 변심으로 인한 교환 또는 반품시 왕복 배송비 5,000원을 부담하셔야 하며, 제품 불량 또는 오 배송시에는 전액을 당사에서부담 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