진화론을 옹호하고 지적 설계론을 비판하다
리처드 도킨스의 『눈먼 시계공』
핵심 개념 프리뷰: 인간은 진화한다 vs 지적 설계자가 존재한다
자연선택과 성선택 | “인간처럼 복잡한 존재는 우연히 발생할 수 없다”
하리하라의 고전 탐험: 생물을 계획한 의도 따위는 없다
당신은 진화론을 정말 아는가? | ‘논리적 힘’을 지닌 진화론
콘텍스트를 확장하라: 성공적인 복제자? 밈
개체 변이가 어떻게 진화로 이어지는가? | 새로운 복제자, 밈
생각해볼 문제
더 읽어봅시다: 『이기적 유전자』
섹스에 대한 오해를 파헤치다
린 마굴리스 외의 『섹스란 무엇인가』
핵심 개념 프리뷰: 섹스에는 특별한 공식이 있다!
1+1의 값은? | 섹스는 다양하고 종을 뛰어넘는다 | 남성과 여성의 결합, 유성생식
하리하라의 고전 탐험: 진화는 냉혹하지 않다
진화의 원동력-적자생존인가 공생공존인가 | “박테리아의 소화불량에서 공생이 시작됐다” | 남녀의 교합, 섹스 | 죽음의 키스: 성과 죽음의 관계 | 성의 미래는?
콘텍스트를 확장하라: 세포의 생生과 소멸
세포의 자살 행위- 아포토시스 | 헤이플릭 한계는 왜 나타나는가? | 죽지 않는 세포
생각해볼 문제
더 읽어봅시다 『생명이란 무엇인가』 『휴머니즘의 동물학』
“SALE ON ALL BODY PARTS”
도로시 넬킨 외의 『인체 시장』
핵심 개념 프리뷰: 인간의 몸을 향한 시대의 시선
한갓 ‘대상’으로 전락한 인간 신체 | 인간의 몸, 거래되다
하리하라의 고전 탐험: 인간, 걸어다디는 생산 공장
신체, 탐나는 고가의 자원 | 누가 그들을 착취하는가? | 인체 정보에 대한 특허권, 그 심각한 부작용 | 유전자 검사의 빛과 그림자 | 사람의 몸은 시장에서 격리되어야 한다
콘텍스트를 확장하라: 인체의 상품화와 비극의 탄생
생각해볼 문제
더 읽어봅시다 『질병판매학』
인간의 지성은 어떻게 탄생했나?
칼 세이건의 『에덴의 용』
핵심 개념 프리뷰: 에덴의 용, 인간을 탄생시키다
하리하라의 고전 탐험: 지성은 어떻게 탄생했나?
아직 완성되지 않은 존재 | 지성은 인간만의 전유물인가? | 인간의 뇌가 뇌의 미래를 결정한다
콘텍스트를 확장하라:
생각해볼 문제
더 읽어봅시다 『마음은 어떻게 작동하는가』
“모든 것은 절대적이지 않다”
하이젠베르크의 『부분과 전체』
핵심 개념 프리뷰: 왜 ‘부분과 전체’인가?
하리하라의 고전 탐험: “모든 것은 절대적이지 않다”
물리학에 있어서 ‘이해’의 문제 | 위대함은 ‘결단’에 있다 | 불확정성의 원리: 절대적인 것은 없다 | 전체를 바라보는 부분의 삶
콘텍스트를 확장하라: 양자역학, 원자의 비밀을 밝히다
아톰으로 이루어진 세상 | 원자핵은 어떻게 구성되나 | 양자역학의 구성
생각해볼 문제
더 읽어봅시다
“인간은 특별하지 않다”
브루스 매즐리시의 『네번째 불연속』
핵심 개념 프리뷰: 인간의 특권을 없애다
인간 존재에 상처 입힌 세 사람 | 네번째 불연속이 깨진다
하리하라의 고전 탐험: 인간은 진화하는 실체
첫번째 논제: 인간과 기계의 불연속의 붕괴 | 두번째 논제: 진화하는 인간의 본성
콘텍스트를 확장하라: 인간의 의식은 진화했다
기억된 현재-1차적 의식 | 언어 없이 인간도 없다-고차원적 의식
생각해볼 문제
더 읽어봅시다 『진화의 역사』
지식의 경계를 허물어라
에드워드 윌슨의 『통섭』
핵심 개념 프리뷰: 통섭-지식을 통일하라
지식의 큰 줄기를 잡다 | 통섭을 이해하기 위한 전제: 계몽사상
하리하라의 고전 탐험: 인간을 둘러싼 모든 현상은 물리 법칙으로 환원된다
인문학과 자연과학의 만남: 유전자에서 문화까지 | 탐구되지 못한 실재, 통섭으로 밝히다
콘텍스트를 확장하라: 비버의 꼬리와 이빨은 합쳐질 필요가 있나?
사회적 행동은 생물학적 욕구에서 발로한다 | 도킨스의 밈인가, 윌슨의 모방자인가? | 통섭에 반기를 들다
생각해볼 문제
더 읽어봅시다 『지식의 통섭』 『과학의 최전선에서 인문학을 만나다』
시간과 공간, 그 근원을 찾아 떠나다
브라이언 그린의 『우주의 구조』
핵심 개념 프리뷰: 공간과 시공간의 실체
공간은 과연 실존하는 것인가? | 물체는 시공간에서 운동한다
하리하라의 고전 탐험: 우주의 비밀을 밝히려는 이론적 시도들
“우주는 견고한 절대적 실체” | “공간은 시간축을 따라 쉬지 않고 흘러간다” | 양자적 실체: 결정된 것은 아무것도 없다 | 아직 해결되지 않은 통일장 이론
콘텍스트를 확장하라: 만물은 초끈 이론으로 통일된다?
끈의 진동에 따라 입자 모습이 달라진다
생각해볼 문제
더 읽어봅시다 『사이먼 싱의 빅뱅』 『양자나라의 앨리스』
때론 작은 아이디어가 세상을 발견한다
제임스 왓슨의 『이중나선』
핵심 개념 프리뷰: DNA의 유전물질 가능성을 제시하다
핵산을 발견하다 | 순한 R형이 표독스럽게 바뀐 이유는? | 유전물질을 둘러싼 공방전 | 누가 DNA의 구조를 밝혀낼 것인가?
하리하라의 고전 탐험: 단순한 아이디어가 DNA의 비밀을 밝히다
젊고 미숙했던 두 과학자 | 폴링: 나선 구조의 시초를 밝히다 | X선 사진 한 장이 운명을 바꾸다 | 블록놀이에서 아이디어를 착안하다
콘텍스트를 확장하라: DNA 구조가 왜 중요한가
DNA의 복제 방법 | 사라진 여성 과학자, 프랭클린
생각해볼 문제
더 읽어봅시다 『DNA: 생명의 비밀』
60억 인구가 6단계 만에 모두 연결될 수 있는 비밀은?
알버트 바라바시의 『링크: 21세기를 지배하는 네트워크 과학』
핵심 개념 프리뷰: 네트워크 이론을 이해하기 위한 준비들
환원주의 과학을 무너뜨리다
하리하라의 고전 탐험: 네트워크는 진화한다!
모든 사람은 무작위로 연결된다 | 6단계로 이어지는 세상 | 핵심은 커넥터들이다 | 파레토의 20:80 법칙과 멱함수 법칙 | 바라바시가 바라본 네트워크 세상
콘텍스트를 확장하라: 왜 네트워크 과학인가?
“연결 시스템은 고립된 실체보다 견고하다” | 카오스 이론과 나비효과
생각해볼 문제
더 읽어봅시다 『숨겨진 질서: 복잡계는 어떻게 진화하는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