장바구니 담기 close

장바구니에 상품을 담았습니다.

미술과 교재 연구 및 교수법

미술과 교재 연구 및 교수법

  • 류재만
  • |
  • 교육과학사
  • |
  • 2017-07-25 출간
  • |
  • 420페이지
  • |
  • 188 X 257 mm
  • |
  • ISBN 9788925411835
판매가

19,000원

즉시할인가

18,050

배송비

2,300원

(제주/도서산간 배송 추가비용:3,000원)

수량
+ -
총주문금액
18,050

이 상품은 품절된 상품입니다

※ 스프링제본 상품은 반품/교환/환불이 불가능하므로 신중하게 선택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출판사서평

제4차 산업의 새로운 물결에서 우리는 새로운 교육의 방향을 설정해야 한다. 기존의 교육 체계의 문제점에서 벗어나 새로운 패러다임을 구축해야 할 시점이다. 지식을 암기하고 주입하는 교육이 아니라 사고력, 창의력, 문제 해결력을 기르는 쪽으로 교육의 방향을 과감하게 혁신해야 한다. 급속한 사회의 변화에서 미래를 예측하기 힘든 시대에 교육에서 길러야 할 인간상은 창의적이고 인성을 갖춘 창의 융합 인재일 것이다.
미술교육은 창의 융합 인재를 기르기 위한 교육 혁신이 요구되는 시점에 새로운 방향을 제시할 수 있다. 미술수업을 통해 학습자의 관심과 흥미를 높이고, 실생활과 연계한 소재나 주제를 융합적으로 사고하도록 하며, 다양한 영역과 교과를 넘나들며 지식을 창조할 수 있을 것이다.
본서는 교사가 가르칠 미술 교과 내용에 대한 지식, 기능, 태도 등을 선정하여 목표를 세우도록 하고, 학생들에 대한 이해를 기초로 교수학습 방법을 계획하고, 학습자 중심의 교육을 실천하며 평가할 수 있도록 도와줄 것이며 미술과 교육과정을 실천하기 위해 최근의 교육 동향과 미술과의 중요한 내용 지식 및 교육과정에 대한 지식과 수업 운영에 필요한 기능과 전략 등으로 내용을 구성하여 미술교육자의 교재 연구 및 교수법 개발에 기초가 될 것이다.

목차

머리말 3

Chapter_ 1 미술교육의 목적과 목표 15
1. 미술교육의 목적 15
1) 미적 안목 육성ㆍ15 / 2) 창의성 계발ㆍ16
3) 시지각의 계발ㆍ17 / 4) 시각적 문해력 육성ㆍ19
5) 감성의 함양ㆍ20
2. 미술교육의 목표 21
1) 미술교육자들의 견해ㆍ21 / 2) 구성주의 학자들의 견해ㆍ22
3) 창의ㆍ인성과 융합인재 교육적 견해ㆍ25 / 4) 미술과 교육 목표ㆍ29

Chapter_ 2 미술교육사조의 변천 39
1. 표현기능 중심 미술교육 39
1) 중세와 르네상스 시기의 미술교육ㆍ39
2) 산업혁명 시기의 미술교육ㆍ41 / 3) 바우하우스ㆍ42
2. 창의성 중심 미술교육 45
3. 학문 중심 미술교육 47
4. 포스트모던 미술교육 51
1) 포스트모더니즘의 의미ㆍ51 / 2) 포스트모더니즘과 미술ㆍ53
3) 포스트모더니즘과 미술교육ㆍ54
5. 다문화 미술교육 56
1) 다문화 교육ㆍ56 / 2) 다문화 미술교육ㆍ59

Chapter_ 3 어린이 미술의 이해 67
1. 어린이 미술의 특징 67
1) 인지발달 관점ㆍ68 / 2) 지각발달 관점ㆍ71
3) 정신분석적(psychoanalytic) 관점ㆍ76 / 4) 사회문화적 관점ㆍ79
2. 미술표현 발달 단계 84
1) 로웬펠드의 단계ㆍ84 / 2) 허위츠와 데이의 단계ㆍ93

Chapter_ 4 미술과 교육과정 101
1. 교육과정의 개념과 유형 101
1) 교육과정의 개념ㆍ101 / 2) 교육과정의 분류ㆍ103
3) 교육과정의 유형ㆍ107
2. 우리나라 미술과 교육과정의 변천 110
1) 미술과 교육과정의 변천ㆍ111 / 2) 2015 개정 미술과 교육과정ㆍ121

Chapter_ 5 미술과 교수-학습 모형 131
1. 미술 교수-학습의 특성 131
2. 미술 학습의 원리와 발상 전략 132
1) 미술 학습의 원리ㆍ132 / 2) 창의적 발상 전략ㆍ138
3. 미술과 교수-학습의 모형 143
1) 귀납적 사고법ㆍ143 / 2) 직접 교수법ㆍ145 / 3) 창의적 문제 해결법ㆍ146
4) 반응중심 학습법ㆍ147 / 5) 펠드만의 비평 모형ㆍ149
6) 프로젝트 학습 모형ㆍ150

Chapter_ 6 미술과 교수-학습 설계 161
1. 학습 목표의 의미 161
2. 학습 목표의 진술 162
3. 미술과 학습 목표의 설정과 진술 165
1) 미술과 행동적 진술 용어ㆍ165
2) 학습 목표와 학습문제의 진술의 예ㆍ167
4. 학습 요소, 교수-학습 방법 및 유의 사항 169
1) 체험ㆍ169 / 2) 표현ㆍ169 / 3) 감상ㆍ170
5. 미술과 교수-학습의 설계 171
1) 교수-학습 설계의 필요성과 고려 사항ㆍ171
2) 교수-학습 과정안의 예ㆍ172

Chapter_ 7 미적 체험교육 187
1. 미학과 미술교육 187
1) 미학의 개념과 미술교육에서 의미ㆍ187 / 2) 예술론ㆍ190
2. 미적 체험의 미술교육적 함의 197
1) 미적 체험에서 미적 태도ㆍ197 / 2) 듀이의 미적 체험ㆍ199
3. 교육과정에서 미적 체험교육 202
1) 미술과 교육과정에서 미적 체험교육ㆍ202
2) 미적 지각을 통한 사고력 교육ㆍ204

Chapter_ 8 회화ㆍ조소 교육 215
1. 조형 요소와 원리 215
1) 조형 요소ㆍ215 / 2) 조형 원리ㆍ219
2. 드로잉 교육 222
1) 드로잉 교육의 의의ㆍ222 / 2) 드로잉 교육의 종류ㆍ223
3) 드로잉 교육의 내용ㆍ224
3. 회화 교육 225
1) 회화 교육의 의의ㆍ225 / 2) 회화 교육의 종류ㆍ226
3) 회화 교육의 내용ㆍ229
4. 한국화 교육 231
1) 한국화 교육의 의의ㆍ231 / 2) 한국화 교육의 종류ㆍ232
3) 한국화 교육의 내용ㆍ235
5. 판화(printmaking) 교육 240
1) 판화 교육의 의의ㆍ240 / 2) 판화 교육의 종류ㆍ241
3) 판화 교육의 내용ㆍ243
6. 조소 교육 244
1) 조소 교육의 의의ㆍ245 / 2) 조소 교육의 종류ㆍ245
3) 조소 교육의 내용ㆍ247

Chapter_ 9 디자인 공예, 서예, 영상 미술교육 253
1. 디자인 교육 253
1) 디자인 교육의 의의ㆍ253 / 2) 디자인의 종류ㆍ254
3) 디자인 교육의 내용ㆍ255
2. 공예 교육 257
1) 공예 교육의 의의ㆍ257 / 2) 공예의 종류ㆍ257
3) 공예 교육의 내용ㆍ259
3. 서예 교육 261
1) 서예 교육의 의의ㆍ261 / 2) 서체와 서예도구ㆍ263
3) 서예 교육의 내용ㆍ263
4. 영상 미술교육 265
1) 영상 미술교육의 의의ㆍ265 / 2) 영상 미술의 종류ㆍ266
3) 영상미술교육의 지도 내용ㆍ266

Chapter_ 10 미술사 교육 273
1. 미술사 교육의 의의 273
2. 교육과정에서 미술사 교육 274
1) 2009 개정 교육과정ㆍ274 / 2) 2015 개정 교육과정ㆍ277
3. 한국 미술사 279
1) 선사 시대 미술ㆍ279 / 2) 삼국 시대 미술ㆍ280
3) 통일 신라 시대 미술ㆍ281 / 4) 고려 시대 미술ㆍ281
5) 조선 시대 미술ㆍ282 / 6) 근대 미술ㆍ283
7) 현대 미술ㆍ283
4. 서양 미술사 284
1) 선사 시대 미술ㆍ284 / 2) 고대 미술ㆍ284
3) 중세 미술ㆍ285 / 4) 르네상스 미술ㆍ286
5) 바로크ㆍ로코코 미술ㆍ287 / 6) 근대 미술(19세기 미술)ㆍ288
7) 현대 미술ㆍ291

Chapter_ 11 미술 감상학습에서 발문 301
1. 미술 감상의 관점 302
1) 기호학적 측면ㆍ302 / 2) 미학적 측면ㆍ305
3) 사회ㆍ문화적 측면ㆍ308
2. 미술 감상 학습에서 발문의 관점과 발문 309
1) 발문의 목적ㆍ309 / 2) 발문의 기술ㆍ310
3) 감상 학습에서 발문의 관점ㆍ311 / 4) 발문의 실례ㆍ316

Chapter_ 12 미술관과 교육 327
1. 미술관의 역사 327
1) 미술관의 의미ㆍ327 / 2) 미술관의 역사ㆍ328
2. 미술관 교육의 역사와 의의 331
1) 미술관 교육의 유래ㆍ331 / 2) 미술관 교육의 유형ㆍ332
3) 미술관 교육의 의의ㆍ333
3. 미술관 학습 방안 335
1) 사전 학습ㆍ335 / 2) 현장 학습ㆍ337
3) 사후 학습ㆍ339
4. 미술관 교육 방향 343

Chapter_ 13 미술교육의 평가 349
1. 미술교육에서 평가의 개념과 특성 349
1) 평가의 개념ㆍ349 / 2) 미술과 평가의 특성ㆍ351
2. 미술교육에서 평가의 목표와 내용 354
1) 평가의 목표ㆍ354 / 2) 평가의 내용ㆍ356
3. 교육과정과 평가 365
1) 국가 교육과정에서 성취기준ㆍ365 / 2) 미술과 교육과정과 평가ㆍ367
4. 미술과 수행평가의 개념과 방법 370
1) 미술과 수행평가의 개념ㆍ370 / 2) 미술과 수행평가의 방법ㆍ374

Chapter_ 14 미술과 교수법 및 교재 개발의 과제와 방향 385
1. 미술과 교수법 및 교재 개발의 과제 385
1) 미술과에 대한 편견의 극복ㆍ385 / 2) 다양한 미술 교수 방법의 개발ㆍ388
2. 미술과 교수법 및 교재 개발의 방향 390

부록 미술과 교육과정 397
찾아보기 413

저자소개

저자 류재만은 현재 서울교육대학교 미술교육과 및 박물관미술관교육전공 주임교수로 홍익대학교에서 교육학 박사 학위를 받았다. 서울시내 초등학교에서 교사로 19년 10개월을 근무하면서 초등학교 현장경험을 쌓았고 미술교육 관련 제 문제를 연구하고 있다. 그동안 초등 미술 국정 교과서, 검인정 초등 미술 교과서, 중학교 미술 교과서를 집필했다. 『미술교육학』, 『미술교육이론의 탐색』, 『초등미술과 교수법』, 『미술영재교육의 이론과 실제』, 『재미있는 미술감상 수업』, 『생각을 여는 미술활동』, 『어린이를 위한 디자인수업』 등을 출간하였다. 한국조형교육학회 부회장을 역임했으며, 현재 서울교육대학교 박물관미술관교육연구소 소장, 한국미술교육학회 부회장, 한국초등미술교육학회 부회장으로 활동하고 있다.

도서소개

『미술과 교재 연구 및 교수법』은 교사가 가르칠 미술 교과 내용에 대한 지식, 기능, 태도 등을 선정하여 목표를 세우도록 하고, 학생들에 대한 이해를 기초로 교수학습 방법을 계획하고, 학습자 중심의 교육을 실천하며 평가할 수 있도록 도와줄 것이며 미술과 교육과정을 실천하기 위해 최근의 교육 동향과 미술과의 중요한 내용 지식 및 교육과정에 대한 지식과 수업 운영에 필요한 기능과 전략 등으로 내용을 구성하여 미술교육자의 교재 연구 및 교수법 개발에 기초가 될 것이다.

교환 및 환불안내

도서교환 및 환불
  • ㆍ배송기간은 평일 기준 1~3일 정도 소요됩니다.(스프링 분철은 1일 정도 시간이 더 소요됩니다.)
  • ㆍ상품불량 및 오배송등의 이유로 반품하실 경우, 반품배송비는 무료입니다.
  • ㆍ고객님의 변심에 의한 반품,환불,교환시 택배비는 본인 부담입니다.
  • ㆍ상담원과의 상담없이 교환 및 반품으로 반송된 물품은 책임지지 않습니다.
  • ㆍ이미 발송된 상품의 취소 및 반품, 교환요청시 배송비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 ㆍ반품신청시 반송된 상품의 수령후 환불처리됩니다.(카드사 사정에 따라 카드취소는 시일이 3~5일이 소요될 수 있습니다.)
  • ㆍ주문하신 상품의 반품,교환은 상품수령일로 부터 7일이내에 신청하실 수 있습니다.
  • ㆍ상품이 훼손된 경우 반품 및 교환,환불이 불가능합니다.
  • ㆍ반품/교환시 고객님 귀책사유로 인해 수거가 지연될 경우에는 반품이 제한될 수 있습니다.
  • ㆍ스프링제본 상품은 교환 및 환불이 불가능 합니다.
  • ㆍ군부대(사서함) 및 해외배송은 불가능합니다.
  • ㆍ오후 3시 이후 상담원과 통화되지 않은 취소건에 대해서는 고객 반품비용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반품안내
  • 마이페이지 > 나의상담 > 1 : 1 문의하기 게시판 또는 고객센터 1800-7327
교환/반품주소
  • 경기도 파주시 문발로 211 1층 / (주)북채널 / 전화 : 1800-7327
  • 택배안내 : CJ대한통운(1588-1255)
  • 고객님 변심으로 인한 교환 또는 반품시 왕복 배송비 5,000원을 부담하셔야 하며, 제품 불량 또는 오 배송시에는 전액을 당사에서부담 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