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머리에 : 예술인간의 시공간 10
1부 현대 사회의 변형과 예술의 운명 23
1. 신자유주의, 비물질노동, 그리고 예술의 운명 24
머리말 24
경제인간 26
예술인간 38
역사적 배경 : 예술의 일상화와 아방가르드 48
신자유주의 전략 : 노동의 인지화와 예술의 노동화 57
예술종말 상황에서 예술진화의 가능성 : 미래 예술에서 자기배려의 테크놀로지 65
2. 예술의 비물질화와 이미지노동 71
질병으로서의 이원론과 이미지 일원론 71
노동의 인지화와 이미지노동 75
화폐의 비물질화와 채무사회 78
예술의 비물질화 경향 81
추상화와 이미지화에 대해 82
2부 인지자본주의 시대 감성혁명과 예술의 진화 85
3. 예술종말인가 예술진화인가 86
예술종말론 86
예술진화론 89
저항예술론과 소수예술론 90
서술계획 91
4. 근대의 예술종말론과 예술적대성론 93
헤겔의 예술종말론 93
자본주의와 예술의 적대성에 관한 맑스의 고찰 99
헤겔의 예술종말론과 맑스의 예술적대성론에 대한 루카치의 종합과 변용 105
5. 현대의 예술종말론들 115
가라타니 고진의 근대문학 종언론 119
아서 단토의 예술종말론과 다원주의 미학 125
잭 번햄의 예술종말론과 시스템미학 130
잔니 바티모의 ‘예술의 죽음’과 ‘몰락을 통한 극복’ 135
바디우의 예술도식론과 랑시에르의 예술체제론 142
예술종말론은 예술진화론을 예비한다 146
6. 예술종말론에서 예술진화론으로의 전환 147
발터 벤야민의 예술진화론적 관점 147
푸코의 삶의 미학 156
가타리의 새로운 미학적 패러다임 158
마우리찌오 랏자라또의 ‘노동의 예술화와 미적 생산’론 163
비포의 미래주의 종말론과 시 이론 169
7. 예술진화에서 상황창조와 관계구축의 문제 178
상황주의자 미학 179
니꼴라 부리요의 관계미학 195
보론 1 우리 시대 도시형성의 조건과 예술가 210
도시를 보는 관점들 210
인지자본주의에서 도시의 변형 214
개혁, 탈주, 혁명 : 운동하는 도시의 이미지 217
8. 네그리의 예술진화론과 삶정치적 다중예술론 221
네그리의 예술진화론 221
삶정치적 예술론과 미술관으로서의 메트로폴리스 227
9. 들뢰즈의 예술진화론과 이미지장치로서의 예술 236
해석, 배치, 그리고 이미지장치 236
감각의 기념비로서의 예술 242
들뢰즈의 영화론과 다중예술의 문제 246
다중의 삶정치적 장치로서의 영화정치 258
10. 아감벤 미학에서 삶과 예술의 일치 문제 271
스펙타클의 사회와 소통가능성의 소외 271
게니우스 276
몸짓 279
저자와 독자, 그리고 주체 281
장치로서의 글쓰기와 생명체 진화의 역설 285
세속화할 수 없는 것의 세속화 286
스페키에스와 이미지 존재론 290
구원의 장치로서의 마술과 사진 294
스페키에스적 존재의 증언자로서의 조수들 296
패러디와 곁존재론 298
도래하는 예술 301
보론 2 아감벤의 역량론 및 공동체론의 정치미학적 가능성과 한계 303
머리말 303
임의성의 존재와 탈자의 경험, 그리고 아이스테시스 307
스펙타클 : 셰키나의 고립과 소통가능성의 소외 313
‘차라리’의 역량과 도래하는 공동체 316
두 얼굴의 아감벤 320
맺음말 329
3부 예술가-다중, 삶미학, 그리고 리얼리즘 335
11. 다중 : 예술가보다 더 예술가적인 336
예술가에 대한 관점 변화 338
오늘날의 예술가와 국가 341
누구나가 예술가인 시대 343
다중예술가 350
12. 삶미학과 리얼리즘 : 리얼리즘의 대안근대적 재구축 353
머리말 353
현실 리얼리즘론의 미적 체제 355
리얼리즘 대 모더니즘 논쟁의 역사적 성격 359
재현실재에서 시뮬라크르 실재로 362
시뮬라크르에 대항하는 시뮬라크르 365
시뮬라크르와 사실, 그리고 재현 367
내재성의 리얼리티 혹은 어떤 리얼리즘인가라는 문제 370
다중과 내재성의 리얼리티 : 생명되기로서의 예술 376
후기 : 정치시학으로의 길 379
후주 392
참고문헌 412
인명 찾아보기 417
용어 찾아보기 42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