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구성상의 특징
수험서로서 학습의 최대효율을 고려하였습니다.
첫째, 한국사는 단순 암기가 아닌, 사실의 인과관계를 통해 역사의 흐름을 이해해야만 전체 맥락을 알고 그 맥락 안에 세부 내용을 채워나갈 수 있으며 그렇게 할 때 머릿속에 남는 학습이 가능해집니다. 따라서 본 교재는 한국사의 흐름에 맞게 단원을 구성하고 각 단원명, 소단원명, 하위 내용들의 소제목명들만 보아도 각 단원 및 전체의 맥락을 파악할 수 있도록 하였습니다.
둘째, 각 단원의 주요내용을 빠짐없이 최대한 좌 · 우 페이지에 정리하여 한눈에 들어올 수 있도록 구성하였습니다. 내용이 여러 페이지에 걸쳐 나열되어 있는 경우, 스스로 공부하면서 전체적인 내용을 요약하고 종합 정리를 통해 내용을 조직화 · 체계화하여 구조적으로 기억하기 위한 시간을 들이고 노력을 해야겠지만 본 교재의 경우 효율적 구성을 통해 그러한 수험생들의 수고를 덜어주고자 했습니다. 뿐만아니라 해당 주제에 대한 전체 내용을 좌 · 우 한 장으로 정리했기에 고사장에도 들고 들어가는 최종마무리 수험서로까지 사용할 수 있도록 하였습니다.
■ 내용상의 특징
수험서로서 필요한 내용을 빠짐없이 담았습니다.
첫째, 최근 공무원 시험 문제의 출제 경향을 분석해보면 한국사 관련 시험을 주관하는 공신력 있는 기관들이 출제한 문제들에 대한 검토가 요구되는 실정입니다. 따라서 2007~2017년 모든 공무원 기출 문제는 물론이고 2006년~2017년 국사편찬위원회가 실시한 한국사능력검정시험 문제, 2004년~2014년 한국교육과정평가원이 출제한 문제들을 모두 분석, 검토하여 공무원 시험에서도 충분히 출제 가능한 개념과 자료들을 빠짐없이 수록하고 그에 대한 분석과 정리도 꼼꼼히 해 두었습니다.
둘째, 기존 유형에 더불어 다수 출제되고 있는 새로운 자료제시형 문제에 대비하는 데에도 부족함이 없도록 하였습니다.
셋째, 한국사는 개념에 있어서 변화되는 내용이 없다고 생각하기 쉽지만, 교육과정이 개정됨에 따라 학습해야 하는 내용도 변화하게 됩니다. 따라서 기존 공무원 시험 문제에 출제된 개념들을 총망라했을 뿐만 아니라 개정 교육에서 변화된 내용까지 다루어 출제 가능성이 있는 부분은 놓치지 않고 정리하였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