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연구는 초연결사회로의 전환에 대한 우리 사회의 준비사항 및 예상되는 부작용을 사전에 진단함으로써 지속가능한 커뮤니케이션 환경을 제안하였고, 특히 정보사회의 고도화를 넘어 초연결사회 단계로 접어든 한국 사회가 간과하고 있는 문화적, 사회적, 법적 문제점들을 살펴보고 그에 대한 정책적 시사점을 도출하였다.
먼저, 사물, 사물-사물 및 사물-인간 사이의 관계, 나아가 인간의 지위가 어떻게 변화하고 있고 어떻게 변화해 나갈 것인가에 대하여 철학적 관점에서 객체지향존재론, 행위자 네트워크 이론, 신유물론을 비롯해 소프트웨어 연구, 미디어 고고학 등 사물과 인간에 대한 관점을 이른바 ‘사물 철학(philosophy of things)’ 개념을 제시하고, 이것의 여덟 가지 명제들을 중심으로 논의하였다. 둘째, 초연결 사회의 특성을 고려한 정보보안 및 프라이버시 보호 대책을 제시하고, 사이버 보안문화의 개념을 제시하는 한편 여러 기관들이 제시한 최선행동들을 행위의 주체별로 분류 및 정리하며 이를 실천에 옮길 수 있도록 하는 사회문화적 조건들을 논의하였다. 셋째, 초연결 사회 문화영역에서의 바람직한 발전 방향으로서 네트워크를 통한 창의적 협력과 탈경계의 문화 확산에 경쟁력을 갖추기 위한 조건을 살펴보았다. 넷째, 초연결사회가 직명한 공통적 법?제도 이슈인 ‘데이터 보호 및 활용’에 관하여 현행 개인정보보호법제상의 문제점 및 개선방안을 도출하고, 정보통신융합등 기술, 서비스 및 제품의 신속한 시장출시를 지원하고 실질적인 규제완화 효과를 나타내기 위한 현행 진흥법제 상 제도들의 활성화 방안을 제시하는 한편, 비즈니스 모델을 중심으로 현행 개별법상 진입 및 행위규제의 문제점 및 개선방안을 도출하였다.
마지막으로, 빅데이터와 인공지능 등 신기술의 발전으로 컴퓨팅 기술을 기반으로 한 자동화가 급속히 확산됨에 따라 초연결시대의 기술이 직업과 일자리에 끼치는 영향을 분석하고, 직업별로 기술이 일자리의 증가와 감소, 고용의 질과 양성평등 등 삶의 질에 미치는 미시적 변화를 분석하여 초연결사회의 사회, 경제적 변화를 대비하기 위한 사회 정책적 방안을 제시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