머리말
제 1 부 | 과학혁명의 역사
1. 퀀텀 점프
코페르니쿠스적 전환
엔트로피, 그리고 새로운 세계관
디지털 코드로 구성되는 생명
퀀텀 점프
과학혁명의 구조
2. 세상 만물은 어디에서 왔을까
나는 어떻게 우주 안에 존재하게 된 것일까?
물질의 본질은 무엇일까?
힘의 정체는 무엇인가?
생명은 어떻게 생겨난 것일까?
제 2 부 | 지구, 30년 후의 모습은?
1. 원자력 에너지, 필요악인가
위험한 동거
우리 식탁 위의 방사성물질
북한 핵무기가 서울에 투하된다면?
원자력 에너지, 피할 수 없는 선택인가?
2. 뜨거워지는 지구를 멈출 수 있을까
뜨거워지고 있는 지구
지구온난화, 10문 10답
지구별과 싸우는 지구 자본주의
3. 에너지의 정치경제학
문명을 구동하는 힘, 에너지
에너지 패권과 세계 질서
팽창주의 경제와 에너지 딜레마
새로운 도전
4. 적정기술과 대중 생산
인간이 필요로 하는 기술
작은 것이 아름답다
인간이 주도하는 기술
신자유주의와 과잉 기술
21세기의 시대정신, 적정기술
제 3 부 | 생명을 설계하다
1. 내 몸의 설계도
내 몸을 만든 설계도를 읽어 내다
생명 복제, 어떻게 바라볼 것인가?
인간 부품 공장
2. 생각을 읽고 쓸 수 있을까
생각한다는 것은 무엇인가?
뇌와 관련된 이슈들
생각을 훔칠 수 있을까?
생각을 심을 수 있을까?
3. 우리집 밥상의 GMO
우리 식탁을 점령한 GMO
GMO와 관련된 이슈들
글로벌 푸드 vs. 로컬 푸드
제 4 부 | 제2의 기계혁명
1. 기계와 함께 걸어가는 방법
비트가 만들어 낸 새로운 세상
새로운 기계문명 이슈들
기계 시대, 인간의 전략
2. 인공지능과 세상의 미래
기계화된 지능은 존재할 수 있는가?
인공지능 알파고
인공지능 기술의 미래는?
인공지능 시대, 인간의 역할은 무엇인가?
3. 네크워크와 경험 경제
네트워크의 시대
유비쿼터스 세상
접속의 시대
경험 경제의 시대
제 5 부 | 우리에게 과학은 무엇인가?
1. 누구를 위한 기술인가
확장되는 공동체
과학기술과 윤리
과학의 가치중립성
과학기술 포퓰리즘
2. 왜 한국에는 노벨 과학상이 없을까
성장주의와 권위주의
정답을 강요하는 사회
노벨상을 위한 토양
3. 인문학과 과학기술
결국 지향점은 인간이다
인문학은 왜 중요한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