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6년 앙굴렘 국제 만화 페스티벌 최우수 작품상
여기, 방 하나가 있다. 표지를 열면, 거기에 방이 하나 있다. 창문과 벽난로 외에는 아무것도 없는 방이다. [여기]는 어디일까? 첫 페이지를 펼치자, 앞과 같은 방 안에 소파만 덩그러니 놓여 있고 왼쪽 위에는 [2014]라는 숫자가 표시되어 있다. 다음 페이지에도 [2014]. 다만, 소파는 흔적을 감추고 벽에는 새로운 책장과 이제 막 꽂힌 듯한 책들, 그 근처에는 책을 담아 두었던 종이 박스가 열려 있다. 누군가가 이제 막 이사를 왔는지도 모른다. 그런데 다음 페이지를 열면, 방은 그대로이지만 시간은 반세기 이전인 [1957]년을 가리킨다.
살림살이와 벽지는 2014년에는 없었던 것들이다. 방 한가운데에 놓인 아기 침대와 소파 위의 분유통이 한 아이의 탄생을 알린다. 다음 페이지로 넘어 가니 이번엔 [1942]년이다. 벽지가 다르다. 창문이 열린 방 안에는 사다리 하나뿐. 그다음 페이지인 [2007]년에는 펼쳐 놓은 소파베드가 보이고, 열어 둔 창문으로 [여기]에 바람이 들어오고 있다. 계속해서 다음 페이지를 보면, 다시 [1957]년으로 돌아온다. 드디어 사람이 등장해서 이 방 안에 왜 들어왔는지 생각나지 않는다며 첫 대사를 한다. 동시에 [1999]라고 표시된 작은 컷이 같은 화면의 오른쪽 페이지 아래에 보이고, 컷 안에는 고양이 한 마리가 걷고 있다. 두 개의 시대가 두 개의 창을 통해서 두 페이지에 걸쳐서 그려진 셈이다. 또 페이지를 넘기면 [1623]년이고, 400년 전인 [여기]에서는 아직 방이 존재하지 않는다. 그러나 1957년의 방 일부분과 1999년 방 한구석이 역시 시간을 넘어서 공존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