장바구니 담기 close

장바구니에 상품을 담았습니다.

산학협력의 내일, 그 길을 말하다

산학협력의 내일, 그 길을 말하다

  • 고혁진 , 김선우, 남궁문, 박철우, 서종현
  • |
  • 공감
  • |
  • 2015-10-30 출간
  • |
  • 388페이지
  • |
  • ISBN 9788994719078
★★★★★ 평점(10/10) | 리뷰(1)
판매가

20,000원

즉시할인가

18,000

배송비

무료배송

(제주/도서산간 배송 추가비용:3,000원)

수량
+ -
총주문금액
18,000

이 상품은 품절된 상품입니다

※ 스프링제본 상품은 반품/교환/환불이 불가능하므로 신중하게 선택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목차

제1장 산학협력이란? 산학협력에 대한 이해
박철우(한국산업기술대학교)

1. 국가경제와 트리플 헬릭스(Triple Helix)
2. 일자리 문제를 푸는 열쇠, 산학협력
3. 산학협력의 역사
4. 산학협력의 개념과 이해
5. 산학협력에서 산학융합으로
6. 기업관점 산학협력
7. 산학협력의 방향과 과제


제2장 산학협력 구성 체계와 주요활동
고혁진(한국산업기술대학교)

1. 산학협력 구성 체계
산학협력 중심대학은 산학협력만 하는 대학?
산학협력의 고객은 기업이다.
기업관점의 산학협력 구성 체계
2. 산학협력기반 인력양성 및 향상 교육
실무인재양성 교육
재직자 직무능력향상 교육
3. 산학협력 기반 지식ㆍ기술의 창출 및 활용
지식ㆍ기술의 창출: 연구개발
지식ㆍ기술의 자산화: 지식재산권
지식ㆍ기술의 활용: 기술사업화
4. 산학협력 인프라
조직: 산학협력단
인력: 산학협력중점교원
네트워크: 가족회사
연구시설ㆍ공용장비


제3장 산학협력 현황
고혁진(한국산업기술대학교)

1. 인력양성 영역 현황
현장실습
캡스톤디자인
학교기업
창업교육
계약학과
재직자 특별전형
2. 지식ㆍ기술의 창출 및 활용 영역
연구개발
지식재산권
기술이전
기술출자(기술지주회사)
창업
3. 산학협력 인프라 영역
산학협력단
산학협력 교원
연구시설ㆍ공용장비
가족회사


제4장 해외의 산학협력 우수사례
김선우(과학기술정책연구원)

1. 인력양성 우수사례
캐나다 워털루 대학의 코업(Co-op) 프로그램
독일 아헨공대의 현장실습 의무제
덴마크 코펜하겐 대학교의 학생교류 프로그램
미국 텍사스 A&M대학의 ‘캡스톤디자인’
올린공대의 SCOPE 프로그램
미국 코넬대학 학교기업
미국의 속진, 모듈, 주말대학 과정
일본의 사회인 특별 입학자 선발 제도(社?人特別入?者選?制度)
2. 지식ㆍ기술의 창출 및 활용 영역
이론검증부터 사업화까지 ‘데쉬판데 기술혁신센터’
독일 ‘산업연구협회연합회’(AiF)
스웨덴, 대학 연구자의 지적재산권(IP) 인정
이스라엘 히브리대학의 이숨(YISSUM)
독일 슈타인바이스재단의 ‘슈타인바이스 기업’
산학교류가 활발한 ‘UCSD CONNECT’
스웨덴 예테보리 대학의 GU Holdings
시카고 대학의 ARCH
시장중심 공공기술 사업화 사례: 미국 SRI International
독일 엑지스트(EXIST) 프로그램
3. 산학협력 인프라 영역
일리노이 어바나 샴페인 대학(UIUC) 산학협력단
중국의 실리콘밸리 ‘중관촌’
기업·대학 간 물리적 융합의 공간, 클러스터


제5장 국내 산학협력 우수사례
고혁진(한국산업기술대학교)

1. 산학협력 인력양성 영역
인문사회계 장기현장실습 TRL-LINC 모델
지속가능한 현장실습을 위한 기업지원금 확대
ICIP(Internship and Capstone design Integrated Program)
캡스톤디자인 옥션
4UP 프로그램
창업교육: K- 엔턴십 & K-GEB
성균관대학교 “반도체 시스템 공학과”
출연(연) 기반의 계약학과 운영 및 기업맞춤형 연구인력 양성
건국대학교 “신산업융합과”
2. 지식ㆍ기술의 창출 및 활용
IT기반 서남권 중형 조선산업지역 혁신센터
연구성과 활용을 통한 R&D 선순환체계 구축
대학기술을 통한 중소기업ㆍ대기업ㆍ대학의 상생협력 모델
연세대 기술지주회사
기술사업화(기술출자)를 통한 산학 연계모델
호남제주권 대학생 연합 창업아이템 옥션
3. 산학협력 인프라 영역
산학협력중점교수를 활용한 체계적 현장실습 지원?관리
공동장비 활용체제 구축을 통한 공동장비 운영수익 증대
대학-가족회사간 쌍방향 협력모델 창출


제6장 정부의 산학협력 지원사업
남궁문(원광대학교)ㆍ김선우(과학기술정책연구원)

1. 개요
2. 종합패키지형 지원 사업
지방대학혁신역량강화사업
산학협력중심대학 육성사업
광역경제권 선도산업 인력양성사업
산학협력선도대학사업
3. 세부영역별 지원사업
인력양성 영역
지식·기술의 창출 및 활용 영역
산학협력 인프라 영역


제7장 기업관점의 산학협력과 산학협력 우수대학
서종현(한국산업기술대학교)

1. 기업이 생각하는 산학협력과 대학이 생각하는 산학협력
기업관점 및 대학관점의 산학협력 설문조사 개요
기업관점 및 대학관점의 산학협력 설문조사 주요 결과
2. 기업관점의 산학협력 우수대학
개요
2015 기업관점의 산학협력 우수대학 평가 결과
영역별 최우수대학 비교
2014 결과와의 비교분석
3. 기업관점의 산학협력 우수대학과 취업률
기업관점의 산학협력 우수대학 취업률
타 기관 대학평가지표와의 비교


제8장 앞으로의 산학협력 “산학협력 3.0”
고혁진(한국산업기술대학교)

1. 개요
2. 인력양성 영역의 산학협력 3.0
3.

도서소개

『산학협력의 내일, 그 길을 말하다』은 지금까지의 산학협력 성과를 바탕으로, 앞으로의 산학협력에 대하여 애기하고자 한다. 본서에서는 앞으로의 산학협력을 “산학협력 3.0”이라고 부르기로 하고, 산학협력 기초인프라가 구축되는 등 대학과 기업의 “산학협력에 대한 인식의 확산”을 산학협력 1.0(2003년~2008년)으로, 지역산업의 개념이 산학협력에 들어오고, 산학협력 친화적 제도개선 및 현장실습, 캡스톤디자인 등 “다양한 산학협력 활동의 양적인 확산”을 산학협력 2.0(2009년~2015년)으로 정의하고자 한다.
모든 교수가 그렇겠지만 대학에 있으면서 가장 보람 있을 때는 가르친 학생이 ‘교수님이 잘 지도해 주셔서 취업했다’고 연락 올 때이다. 반면 졸업한 학생이 한참을 지나도 취업이 안 될 때는 정말 곤혹스럽다. 초반에는 전화도 하면서 서로 ‘파이팅 하자’고 애기도 나누지만, 시간이 흐르면 전화하기도 어렵고, 전화를 해도 잘 받지 않게 된다. 그럴 때면 답답한 마음에 동료 교수들과 소주한잔 하러 가기도 한다. 학생들은 좋은 일자리가 없다고 하고, 기업은 좋은 학생들이 없다고 하고... 마음이 참 답답하다.

일자리 미스매치 문제, 그 답은 산학협력에서 찾을 수 있다. 상대적으로 취업을 수월하게 했던 학생들의 공통점을 찾아보니, 대학시절에 현장실습에 참여했거나, 기업의 과제에 같이 참여하는 등, 어떠한 형태든 기업들과 교류를 했던 경험, 즉 산학협력 활동에 참여했다는 점이다. 산학협력의 중요성은 더 이상 언급할 필요가 없다. 대학은 인력과 기술의 공급자이기 때문에 수요자인 기업의 관점에서 교육과 연구를 수행해야 하는 것은 너무도 당연하기 때문이다.

많은 대학에서도 산학협력에 기반한 교육과 연구의 중요성을 인식하고, 산학협력 친화적 조직과 제도를 개편하고 다양한 산학협력 활동을 수행하고 있다. 정부에서도 산학협력의 중요성을 인식하고, 다양한 재정지원사업을 통하여 대학의 산학협력 활동을 지원하고 있다. 이러한 노력의 결과 산학협력 활동은 양적으로는 분명히 늘어났지만, 질적으로 성장했는가에 대해서는 다소 의문이다. 단순히 현장실습을 몇 명 이수했느냐가 중요한 것이 아니라, 현장실습을 통해서 학생이 취업과 연계된 것이 중요한 것이기 때문이다.

본서에서는 지금까지의 산학협력 성과를 바탕으로, 앞으로의 산학협력에 대하여 애기하고자 한다. 본서에서는 앞으로의 산학협력을 “산학협력 3.0”이라고 부르기로 하고, 산학협력 기초인프라가 구축되는 등 대학과 기업의 “산학협력에 대한 인식의 확산”을 산학협력 1.0(2003년~2008년)으로, 지역산업의 개념이 산학협력에 들어오고, 산학협력 친화적 제도개선 및 현장실습, 캡스톤디자인 등 “다양한 산학협력 활동의 양적인 확산”을 산학협력 2.0(2009년~2015년)으로 정의하고자 한다.

본서를 출간하게 된 또 하나의 목적은 산학협력과 관련된 전반적인 내용을 한권의 책에 담고 싶었기 때문이다. 저자도 산학협력에 대해 공부하고 싶어 서점에 가서 책을 찾아도 관련서적이 전무해서 산학협력을 이해하는데 어려웠기 때문이다. 아직까지도 마찬가지이다. 본서는 산학협력의 개념과 역사, 산학협력의 구성체계를 비롯하여 다양한 산학협력 활동의 현황, 국내외 우수사례, 정부의 산학협력 지원사업, 활성화 방안 등을 소개하여 산학협력 전반에 대한 이해를 돕고자 노력하였다. 물론 산학협력의 구성체계와 활성화 방안에 대해서는 다양한 의견이 존재하기 때문에 본서에서 제시한 내용이 반드시 옳다고 말할 수는 없다. 단지 산학협력에 대해 고민한 저자들의 개인적인 의견임을 밝히고, 본서를 통해 보다 다양한 논의가 활발해 질 수 있는 계기가 되기를 바란다.

교환 및 환불안내

도서교환 및 환불
  • ㆍ배송기간은 평일 기준 1~3일 정도 소요됩니다.(스프링 분철은 1일 정도 시간이 더 소요됩니다.)
  • ㆍ상품불량 및 오배송등의 이유로 반품하실 경우, 반품배송비는 무료입니다.
  • ㆍ고객님의 변심에 의한 반품,환불,교환시 택배비는 본인 부담입니다.
  • ㆍ상담원과의 상담없이 교환 및 반품으로 반송된 물품은 책임지지 않습니다.
  • ㆍ이미 발송된 상품의 취소 및 반품, 교환요청시 배송비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 ㆍ반품신청시 반송된 상품의 수령후 환불처리됩니다.(카드사 사정에 따라 카드취소는 시일이 3~5일이 소요될 수 있습니다.)
  • ㆍ주문하신 상품의 반품,교환은 상품수령일로 부터 7일이내에 신청하실 수 있습니다.
  • ㆍ상품이 훼손된 경우 반품 및 교환,환불이 불가능합니다.
  • ㆍ반품/교환시 고객님 귀책사유로 인해 수거가 지연될 경우에는 반품이 제한될 수 있습니다.
  • ㆍ스프링제본 상품은 교환 및 환불이 불가능 합니다.
  • ㆍ군부대(사서함) 및 해외배송은 불가능합니다.
  • ㆍ오후 3시 이후 상담원과 통화되지 않은 취소건에 대해서는 고객 반품비용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반품안내
  • 마이페이지 > 나의상담 > 1 : 1 문의하기 게시판 또는 고객센터 1800-7327
교환/반품주소
  • 경기도 파주시 문발로 211 1층 / (주)북채널 / 전화 : 1800-7327
  • 택배안내 : CJ대한통운(1588-1255)
  • 고객님 변심으로 인한 교환 또는 반품시 왕복 배송비 5,000원을 부담하셔야 하며, 제품 불량 또는 오 배송시에는 전액을 당사에서부담 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