장바구니 담기 close

장바구니에 상품을 담았습니다.

무역대금결제론

무역대금결제론

  • 박복재
  • |
  • 전남대학교출판부
  • |
  • 2015-03-30 출간
  • |
  • 236페이지
  • |
  • 182 X 255 mm
  • |
  • ISBN 9788968492068
판매가

13,000원

즉시할인가

12,610

배송비

2,300원

(제주/도서산간 배송 추가비용:3,000원)

수량
+ -
총주문금액
12,610

※ 스프링제본 상품은 반품/교환/환불이 불가능하므로 신중하게 선택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출판사서평

본서는 국제무역의 대금결제방식과 국제상업회의소(ICC)의 ‘화환신용장통일규칙 및 관례(UCP 600)’에 관한 내용을 담고 있다.
제1장에서는 무역대금결제의 기초부분으로서 송금, 무신용장(추심결제방법; D/P, D/A), 신용장, 국제팩토링(Factoring) 결제, 포페이팅(Forfaiting) 등을 설명하고 있다. 제2장에서는 중요한 결제수단인 신용장, 제3장에서는 신용장 관련선적서류, 제4장에서는 수입대금결제와 선적서류 인도에 관하여 다루고 있다. 제5장에서는 ICC의 2007년 개정 UCP600을 이해할 수 있도록 번역ㆍ설명하고 있다.
국제무역의 전문가가 되고자 한다면 무역실무에 대한 이해는 물론이고 특히 무역대금결제에 대한 이해가 매우 중요하다. 본서를 통해서 무역대금결제에 대한 심도 깊은 이해를 바탕으로 무역실무 거래의 전문적 능력을 길러서 국제무역의 현장에서 중추적인 역할을 할 수 있기를 진심으로 기원한다.

[머리말]
국제무역(International Trade)이 국민생활에 가장 중요한 경제활동이라는 것은 두말 할 나위가 없다. 특히 우리나라처럼 원료나 자원이 부족한 국가로서는 외국으로부터 원료를 사들여 이것을 가공한 제품을 해외에 판매하여 국부의 창출과 국민의 후생증진에 기여하여야 한다. 그러나 국제무역은 국내거래와는 달리 거래의 당사자인 수출입업자가 서로 다른 국가에서 영업하고 있기 때문에 물품인도와 인수 및 대금결제 간에 시차가 발생한다. 이로 인해 발생할 수 있는 많은 위험과 문제가 있다.
일반적으로 무역거래에서 수출업자는 대금회수불능의 위험에 처할 수 있고, 반면 수입업자는 원하는 계약물품을 적기에 공급받을 수 있느냐 하는 상품입수불능의 위험에 직면할 수 있다. 이와 같은 불안을 신용위험(credit risk)라고 부른다. 국내의 매매에서도 같은 위험이 있지만 무역의 경우에는 그 위험이 크고 예측하기 힘들며 복잡하다. 무역대금결제에서는 이 신용위험에 어떻게 대처할 것인가 하는 점이 매우 중요한 과제이다.
최근 전통적인 무역대금 결제방식인 신용장(L/C)과 추심(D/P, D/A) 거래방식이 송금거래방식으로 바뀌는 등, 수출입 결제방식의 패러다임이 변화되고 있다. 이는 정보기술(IT) 산업과 인터넷의 발달로 L/C나 D/A 보다 송금방식이 높아지고 있기 때문이다. 국제무역 시장에서 신용위험을 회피하기 위하여 신용장이나 추심결제 방식이 필요한 것은 사실이지만 무역대금결제 방식이 외상거래로 바뀌고 있어 앞으로 이들 거래방식의 비중은 점점 축소될 것으로 보인다.
본서는 국제무역의 대금결제방식과 국제상업회의소(ICC)의 ‘화환신용장통일규칙 및 관례(UCP 600)’에 관한 내용을 담고 있다.
제1장에서는 무역대금결제의 기초부분으로서 송금, 무신용장(추심결제방법; D/P, D/A), 신용장, 국제팩토링(Factoring) 결제, 포페이팅(Forfaiting) 등을 설명하고 있다. 제2장에서는 중요한 결제수단인 신용장, 제3장에서는 신용장 관련선적서류, 제4장에서는 수입대금결제와 선적서류 인도에 관하여 다루고 있다. 제5장에서는 ICC의 2007년 개정 UCP600을 이해할 수 있도록 번역ㆍ설명하고 있다.
본서의 독자로서는 대학교에서 무역상무론, 대금결제론, 무역운송론, 국제물류론 등을 공부하고 있는 연구자ㆍ학생, 은행, 보험회사, 선박회사, 항만 및 세관관계자 등 무역업무 실제 관련자, 중소기업의 무역업무 담당자 등을 염두에 두고 있다. 국제무역의 전문가가 되고자 한다면 무역실무에 대한 이해는 물론이고 특히 무역대금결제에 대한 이해가 매우 중요하다.
저자는 본서를 통해서 독자들이 무역대금결제에 대한 심도 깊은 이해를 바탕으로 무역실무 거래의 전문적 능력을 길러서 국제무역의 현장에서 중추적인 역할을 할 수 있기를 진심으로 기원한다.
본서를 집필하는데 전남대학교 문화사회과학대학의 선배ㆍ동료 교수님들의 따뜻한 격려는 큰 밑거름이 되었다. 그리고 본서의 출판에 각별한 정성을 보여주신 전남대학교 출판부 관계자분들께 깊은 감사를 드린다. 끝으로 본서를 발간하는데 정신적 도움을 준 가족들 그리고 모든 제자들에게도 사랑의 마음을 전한다.

2015년 立春
白雪이 덮인 無等山을 바라보며
저자

[책속으로 추가]
3. 송금에 의한 결제

송금에 의한 결제에는 대금의 지급인인 수입자가 은행(송금은행)에 의뢰하여 수출자에게 수입대금을 송금하는 방법이다. 송금은 신용장(L/C)결제나 대금추심(D/A, D/P)결제와는 달리 절차가 간단하고 수수료도 적게 들지만 과연 수입자가 계약대로 송금해 주는가는 전적으로 수입자인 송금자의 의사에 달려 있다는 위험이 있다. 따라서 매매당사자간에 신뢰관계가 있는 경우에 사용된다. 송금방식에는 ① 송금수표(D/D; Demand Draft) ② 우편송금(M/T; Mail Transfer) ③ 전신송금(T/T; Telegraphic Transfer) 세 가지가 있다.

가. 송금방식
1) 송금수표(D/D ; Demand Draft)
송금은행은 수입자로부터 송금수표의 의뢰를 받으면 환거래은행(Corres- pondent)인 지급은행(송금수표에 표시된 은행) 앞으로 된 송금수표를 작성하고 송금의뢰자인 수입자에게 교부한다. 수입자는 그 수표를 직접 수취인인 수출자에게 우송하고 수출자(수취인)는 송금수표상에 표시된 지급은행에 제시하고 송금대금을 지급하도록 요청한다. 지급은행은 송금은행(송금수표 발행은행)으로부터 우송되어온 송금수표 발행통지서와 대조한 다음 수출자(수취인)에게 대금을 지급한다.
D/D(Demand Draft)는 본래는 일람출급어음을 가리킨다. 오히려 송금에 환어음이 사용되고 있기 때문에 이 명칭을 사용하고 있는데 오늘날에는 일반적으로 송금수표의 뜻으로 사용되고 있다. Money Order나 Cashier’s Check도 송금수표로 불린다.
해외바이어들은 은행수표(D/D, Banker’s Check)와 개인수표(Personal Check) 두 가지를 이용하고 있다. 은행수표(D/D)는 송금의뢰자인 수입자가 통상 수표대금을 은행에 지급한 후 송금은행이 수표를 작성해서 송금의뢰자에게 수표를 교부하므로 부도(dishonor)가 발생할 위험이 없다. 그러나 개인수표는 부도가 발생할 위험이 있다. 개인수표(Personal Check)는 자신의 계좌를 보유하고 있는 은행으로부터 수표책을 받아 누구나 발행할 수 있으므로 잔고부족으로 부도가 발생할 우려가 있다. 추심기간도 1~2개월 정도가 걸린다.
개인수표의 경우 추심 후 수표대금이 자기계좌로 입금된 후에 선적해야 한다. 단골거래처 이외에 신규거래처하고는 개인수표를 이용하지 않는 것이 안전하다.

2) 우편송금(M/T; Mail Transfer)
수입자(송금의뢰인)가 송금해야 될 금액을 송금을 의뢰하는 은행(송금은행)에 지급한다. 송금은행은 지급은행(해외환거래은행, 자기은행 해외지점)에 대하여 소정의 금액을 지급하도록 지급지시서(Payment Order)를 우편으로 송달한다. 지급은행은 그 지급지시서에 의하여 수출자(수취인)의 예금계정에 송금대금을 입금시키고 수취인에게 지급받도록 통지한다.
우편송금환을 이용하려는 경우 지급은행에 수출자(수취인)의 예금계정이 개설되어 있어야 한다. 소액송금이나 급하지 않은 송금에 주로 이용된다.

3) 전신송금(T/T; Telegraphic Transfer)
송금인(수입자)의 의뢰에 따라 수입지의 은행(송금은행)이 수출지의 지급은행에 지급지시서(Payment Order)를 우편이 아닌 전신(Telegraphic)으로 송달한다는 점에서 우편송금(M/T)과 구별된다. T/T는 M/T보다 송금속도가 빠르다. 은행이 전신환(T/T) 송금대금을 매입할 때 전신환 매입율이 적용된다. T/T의 전신료는 송금자가 부담한다.
전신(Telegraphic)방식은 종전에는 telex방식을 주로 이용하였는데 최근에는 SWIFT 방식을 주로 이용하고 있다. SWIFT(Society for Worldwide Interbank Financial Telecommunication)는 국제은행간 자금결제 통신망을 말한다. SWIFT도 T/T처럼 결제수단의 한 방법이고 송금, 추심, 신용장개설 등을 신속하고 저렴하게 처리할 수 있다.
T/T 방식으로 수출대금을 영수하려는 경우 해외수입자에게 자사의 은행계좌와 SWIFT Code를 알려주어야 한다. SWIFT Code를 알면 SWIFT 가맹은행 사이에 송금할 때 송금업무를 간단하고 신속하게 처리할 수 있다. 최근에는 수출입대금결제에서 신용장방식보다 T/T방식이 더 많이 사용되고 있다.

나. 상품인도시기별 송금방식
송금방식에 의한 결제는 수입자가 언제 송금하는가에 따라 (1) 상품을 인도받기 전에 송금하는 방식 (2) 상품을 인도받은 후에 송금하는 방식 (3) 상품의 인도와 동시에 송금하는 방식 세 가지가 있다. 즉, (1) 사전송금방식(Advance payment) (2) 서류인도(상환)결제방식(CAD ; Cash Against Documents) (3) 상품인도 후(동시)결제방식(COD ; Cash on Delivery) (4) 사후송금(선적통지결제)방식(O/A ; Open Account)이 있다.

1) 사전송금방식(Advance Payment)
수출계약과 동시에 수출자는 수출대금을 수입자로부터 T/T 또는 수표 등으로 송금받고 선적하는 결제방법이다. 즉 수입자가 선적전에 먼저 수출대금의 전액을 T/T 또는 수표 등으로 수출자에게 미리 송금하여 지급하고 수출자는 무역계약서에 명시된 선적기간내에 제품을 제조하여 선적하는 방식이다.
무역계약서의 지급조건(Payment Terms)에는 “Remittance in advance by SWIFT to seller’s account No.87677 with Korea Exchange Bank, Samilro Branch 등으로 기재된다.
사전송금방식은 수출자가 수출대금을 미리 받으므로 수출자에게 유리한 대금결제방식이다. 이 방식은 소액수출입거래에서 주로 이용되고 있다. 수출자는 품질과 가격면에 경쟁력이 있는 수출상품을 수출하는 경우 해외바이어는 사전송금방식의 거래도 거절하지 않을 것이다. 그러나 수입자의 입장에서는 상품을 인도받기 전에 먼저 대금을 지급하므로 상품이 과연 계약대로 도착될 수 있는지가 염려가 된다. 따라서 수입자는 수출자와 오랫동안 거래를 해온 경우나 수출자를 신뢰할 수 있는 경우에만 사전송금방식에 의한 거래를 해야 한다.

2) 서류인도(상환)결제방식(CAD ; Cash against Documents)
수출자는 선적을 한 후 선적서류를 직접 수입자에게 인도하거나 수입자의 대리점이나 거래은행에 제시하여 서류와 상환으로 수출대금을 지급받는다. 수출자가 수입자에게 은행을 경유하여 선적서류를 인도할 경우 수입자가 상품대금을 지급한 후 수입자에게 선적서류를 인도하도록 은행에 지시해야 한다. 수출자가 선적서류를 우편으로 수입자에게 보내는 경우 수입자가 대금을 지급하지 않을 위험이 있다. 수출지에 수입자의 대리점이 있는 경우 수출자가 직접 그 대리점에 선적서류를 인도하면서 대금을 결제받는다. 이러한 경우 수입자의 대리인이 상품이 계약내용과 일치하는가를 점검하고 아울러 수입자에게 보내는 선적서류의 내용을 점검한 다음 이 선적서류를 수입자에게 보내면 수입자는 선적서류와 상환으로 수출자에게 대금을 지급한다.
수입자의 신용상태가 좋다면 수출자에게 유리한 대금결제방식이다. 수입자를 신뢰할 수 있고 수출지에 수입자의 대리점이 없는 경우 다음과 같은 절차로 거래가 이루어진다.

목차

제1장 국제무역의 대금결제방식 17
제2장 신용장 71
제3장 신용장 관련선적서류 99
제4장 수입대금 결제와 선적서류 인도 135
제5장 신용장 통일규칙(UCP 600) 153

참고문헌 228
찾아보기 230

저자소개

저자 박복재(朴福在)는

전남대학교 대학원 무역학과(경영학석사, 박사)
일본와세다(早稻田)대학 상학연구과 연구원
University of Colorado at Boulder 객원교수
한국국제상학회 부회장
한국통상정보학회 부회장
한국무역학회 이사
전남대학교 문화사회과학대학 학장
현, 전남대학교 경상학부 국제통상학전공 교수

저서 및 논문
무역상무론(전남대학교출판부, 2014)
무역영어(전남대학교출판부, 2013)
무역학개론(공저, 무역경영사, 2012)
도시브랜드마케팅(공저, 전남대학교출판부, 2011)
“메가이벤트 전후 개최지역에 미치는 효과에 관한 동태적 분석”, 통상정보연구, 2015.
“우리나라 환경산업의 무역구조와 국제경쟁력에 관한 연구”, 통상정보연구, 2013.
“디지털 콘텐츠 교역의 확산이 조세수입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국가 간 비교 연구”, 전자무역연구, 2012.
“미국ㆍEU시장에서 아시아 경쟁국가와의 디지털재화 경쟁구조 분석”, 국제상학, 2011.
“주요 FTA 상대국과의 디지털제품 국제경쟁력 분석”, 통상정보연구, 2011.

도서소개

국제무역의 대금결제방식과 국제상업회의소(ICC)의 ‘화환신용장통일규칙 및 관례(UCP 600)’에 관한 내용을 담고 있다. 제1장에서는 무역대금결제의 기초부분으로서 송금, 무신용장(추심결제방법; D/P, D/A), 신용장, 국제팩토링(Factoring) 결제, 포페이팅(Forfaiting) 등을 설명하고 있다. 제2장에서는 중요한 결제수단인 신용장, 제3장에서는 신용장 관련선적서류, 제4장에서는 수입대금결제와 선적서류 인도에 관하여 다루고 있다. 제5장에서는 ICC의 2007년 개정 UCP600을 이해할 수 있도록 번역ㆍ설명하고 있다.

교환 및 환불안내

도서교환 및 환불
  • ㆍ배송기간은 평일 기준 1~3일 정도 소요됩니다.(스프링 분철은 1일 정도 시간이 더 소요됩니다.)
  • ㆍ상품불량 및 오배송등의 이유로 반품하실 경우, 반품배송비는 무료입니다.
  • ㆍ고객님의 변심에 의한 반품,환불,교환시 택배비는 본인 부담입니다.
  • ㆍ상담원과의 상담없이 교환 및 반품으로 반송된 물품은 책임지지 않습니다.
  • ㆍ이미 발송된 상품의 취소 및 반품, 교환요청시 배송비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 ㆍ반품신청시 반송된 상품의 수령후 환불처리됩니다.(카드사 사정에 따라 카드취소는 시일이 3~5일이 소요될 수 있습니다.)
  • ㆍ주문하신 상품의 반품,교환은 상품수령일로 부터 7일이내에 신청하실 수 있습니다.
  • ㆍ상품이 훼손된 경우 반품 및 교환,환불이 불가능합니다.
  • ㆍ반품/교환시 고객님 귀책사유로 인해 수거가 지연될 경우에는 반품이 제한될 수 있습니다.
  • ㆍ스프링제본 상품은 교환 및 환불이 불가능 합니다.
  • ㆍ군부대(사서함) 및 해외배송은 불가능합니다.
  • ㆍ오후 3시 이후 상담원과 통화되지 않은 취소건에 대해서는 고객 반품비용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반품안내
  • 마이페이지 > 나의상담 > 1 : 1 문의하기 게시판 또는 고객센터 1800-7327
교환/반품주소
  • 경기도 파주시 문발로 211 1층 / (주)북채널 / 전화 : 1800-7327
  • 택배안내 : CJ대한통운(1588-1255)
  • 고객님 변심으로 인한 교환 또는 반품시 왕복 배송비 5,000원을 부담하셔야 하며, 제품 불량 또는 오 배송시에는 전액을 당사에서부담 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