장바구니 담기 close

장바구니에 상품을 담았습니다.

동도일사

동도일사

  • 박상식
  • |
  • 서해문집
  • |
  • 2017-06-30 출간
  • |
  • 144페이지
  • |
  • 153 X 225 X 10 mm /275g
  • |
  • ISBN 9788974838652
판매가

10,900원

즉시할인가

9,810

배송비

2,300원

(제주/도서산간 배송 추가비용:3,000원)

수량
+ -
총주문금액
9,810

※ 스프링제본 상품은 반품/교환/환불이 불가능하므로 신중하게 선택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출판사서평

도쿄에 간 조선 수신사의 근대 일본 견문기
1876년 제1차 수신사가 112년 만에 도쿄(에도)에 다녀오고 4년 뒤. 조선 정부는 근대 서양문물을 탐구하고 조일 외교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수신사 김홍집을 필두로 하는 제2차 수신사를 일본에 파견한다. 이때 동래부 향리 출신 박상식은 김홍집의 수행원이자 향서기로 선발되어 제2차 수신사행에 동참한다. 《동도일사東渡日史》는 수신사행에서 돌아온 그가 사행 기간 동안 하루도 빠짐없이 작성한 일기, 대화체로 기록한 조일 외교공사들의 토론, 양국이 주고받은 공문 등을 정리해서 묶은 책이다.
박상식은 수신사 일행이 5월 28일 한양에서 출발하여 부산에서 배를 타고 시모노세키, 고베, 요코하마를 지나 도쿄에 도착해 외교 문답을 나눈 뒤 다시 부산으로 돌아오는 약 1개월간의 여정 내내 손에서 붓을 놓지 않았다. 비록 부산에서 시모노세키로 출발하는 2~3일분의 내용이 소실되었지만, 그는 김홍집을 가까이서 보필하며 향서기鄕書記라는 직책답게 제2차 수신사 일행이 공식적으로 만난 일본인, 청국인, 방문한 장소, 구경한 근대 문물과 일본 시가지 풍경 등을 자세히 기록으로 남겼다.
또한 공적인 활동은 물론 여타 수신사 기록에서는 볼 수 없었던 개인 활동까지 상세하게 서술했다. 덕분에 《동도일사》를 통해 일본 관리들이 사는 집과 정원의 모습, 요시와라 유곽의 개화기 요정料亭, 수백 가지 희귀한 동식물 표본을 모아 놓은 박물관의 모습까지 엿볼 수 있다.

일본을 경계하고, 동북아 국제 정세를 살펴라!
〈일기〉 편 다음으로 이어지는 〈문답〉 편에는 김홍집과 일본 외교공사들이 나눈 토론이 대화체로 적혀 있다. 이 토론에서 박상식은 외교공사 간의 문답 내용을 받아 적는 속기사와 같은 역할을 수행했다. 토론 주제는 주로 인천 개항과 미곡 수출 금지, 해관 규칙, 미국·러시아·유럽 등 서양과의 수교 문제 등 양국 수신사가 합의하고 해결해야 할 내용들뿐만 아니라, 개인의 안부를 묻거나 명승지 유람 권유하는 등 사적인 내용까지 포함되어 있다. 이 대화를 통해 조선과 일본이 각각 외교 현안에 대한 입장과 개항과 근대화를 받아들이는 인식이 얼마나 다른지를 알 수 있다.
〈공문〉 편에는 제2차 수신사를 파견하기 위해 조선과 일본이 주고받은 서계를 모아 놓았다. 일본으로 가는 데 필요한 배를 빌리는 값을 지불하라는 일본 측 문서부터 부산에서 배를 띄우기 전 제사를 지내며 읊은 기도문, 수신사 일정을 마치고 돌아왔음을 알리는 보고서 등 다양한 내용의 공문서가 수록되어 있다. 특히 일본·청나라와 접촉하며 수집한 동북아 국제정세와 근대 일본의 사정을 상세하게 분석한 보고서에는 당시 동아시아를 둘러싸고 있던 외세의 동향과 메이지 유신 이후 전근대와 근대의 과도기에 놓인 일본 사회의 모습이 잘 드러난다.

러시아는 요즈음 두만강 해구에 군함 16척을 두고 있습니다. 매 척에 해군경이 거느리는 3000여 명의 군병이 있으며 그 의도는 장차 우리나라 동남해를 경유해 중국 산둥 성 해안을 돌아 곧장 북경으로 들어가려는 것이라 합니다. 이 때문에 청사와 일본인이 모두 시일이 절박해 오므로 팔을 괴고 한숨지으며 걱정하고 있습니다. (…) 만약 일이 있으면 우리나라와 일본이 함께 그 피해를 입고 서양 각국도 역시 모두 러시아를 호랑이처럼 무서워하며 전 세계(宇內)와 합종으로 막으려고 하니 수호통상修好通商의 본뜻이 오로지 여기에 있다는 것입니다.
- 《동도일사》 〈공문〉 편에서

부산 사람의 눈으로 본 개화기 일본의 풍경
《동도일사》는 부산 사람이 쓴 유일한 사행일기다. 조선 후기부터 회답겸쇄환사행을 포함한 12차례 통신사행과 개항 이후 4차례의 수신사행이 진행되는 동안 많은 부산 사람들이 일본에 다녀왔다. 그러나 일제시기 이전에 부산 지역에서 활동하며 저작물을 남긴 사람은 그다지 많지 않다. 1763년 통신사행에 참여해 통신사선 건조와 운항 실태를 기록한 변탁卞琢의 《계미수사록癸未隨?錄》이 있긴 하지만, 박상식처럼 꼼꼼하고 체계적으로 사행일기를 남긴 부산 사람은 없다. 《동도일사》에는 사행에서 돌아온 지 2년도 지나지 않아 요절한 박상식의 눈으로 본 개화기 일본에 대한 부산인의 인식이 어떠했는지를 잘 보여 준다.
또한 중앙관료가 아닌 지방 중인 출신이 남긴 기록이라는 점에 주목해야 한다. 지금까지 제2차 수신사와 관련된 연구는 김홍집의 《수신사행기록》과 《김홍집유고》, 조선 중앙관리들이 집필한 《동문휘고同文彙考》와 《왜사일기》 등 주로 중앙관리들이 남긴 기록을 중심으로 진행되었다. 그에 비해 상대적으로 잘 알려지지 않았던 《동도일사》에는 기존의 수신사 관련 기록에서는 찾아볼 수 없는 내용이 상당 부분 수록되어 있으므로 제2차 수신사 연구를 위한 사료적 가치가 남다르다.

목차

머리말
《동도일사》에 대하여
일러두기
동도일사 | 일기
동도일사 | 문답
동도일사 | 공문
박상식 연보

저자소개

저자 박상식朴祥植(1845~1882)은 본관은 밀양密陽. 1845년(헌종 11) 동래부 읍내면 동부 안민리에서 태어나 동래부의 상급 향리인 부청선생을 지냈다. 1880년(고종 17) 김홍집이 이끄는 제2차 수신사에 향서기 직책으로 참여해 김홍집을 가까이서 보필했다. 6월 25일 부산을 떠난 수신사 일행은 7월 6일 일본 도쿄에 도착해서 약 1개월간 체류했다. 그해 8월 15일부터 사행 당시 기록한 일기, 문답, 공문을 정리한 《동도일사》를 집필하고 1882년(고종 19)에 사망했다.

도서소개

『동도일사』는 수신사행에서 돌아온 그가 사행 기간 동안 하루도 빠짐없이 작성한 일기, 대화체로 기록한 조일 외교공사들의 토론, 양국이 주고받은 공문 등을 정리해서 묶은 책이다. 박상식은 수신사 일행이 5월 28일 한양에서 출발하여 부산에서 배를 타고 시모노세키, 고베, 요코하마를 지나 도쿄에 도착해 외교 문답을 나눈 뒤 다시 부산으로 돌아오는 약 1개월간의 여정 내내 손에서 붓을 놓지 않았다. 비록 부산에서 시모노세키로 출발하는 2~3일분의 내용이 소실되었지만, 그는 김홍집을 가까이서 보필하며 향서기鄕書記라는 직책답게 제2차 수신사 일행이 공식적으로 만난 일본인, 청국인, 방문한 장소, 구경한 근대 문물과 일본 시가지 풍경 등을 자세히 기록으로 남겼다. 또한 공적인 활동은 물론 여타 수신사 기록에서는 볼 수 없었던 개인 활동까지 상세하게 서술했다. 덕분에 이 책을 통해 일본 관리들이 사는 집과 정원의 모습, 요시와라 유곽의 개화기 요정料亭, 수백 가지 희귀한 동식물 표본을 모아 놓은 박물관의 모습까지 엿볼 수 있다.

교환 및 환불안내

도서교환 및 환불
  • ㆍ배송기간은 평일 기준 1~3일 정도 소요됩니다.(스프링 분철은 1일 정도 시간이 더 소요됩니다.)
  • ㆍ상품불량 및 오배송등의 이유로 반품하실 경우, 반품배송비는 무료입니다.
  • ㆍ고객님의 변심에 의한 반품,환불,교환시 택배비는 본인 부담입니다.
  • ㆍ상담원과의 상담없이 교환 및 반품으로 반송된 물품은 책임지지 않습니다.
  • ㆍ이미 발송된 상품의 취소 및 반품, 교환요청시 배송비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 ㆍ반품신청시 반송된 상품의 수령후 환불처리됩니다.(카드사 사정에 따라 카드취소는 시일이 3~5일이 소요될 수 있습니다.)
  • ㆍ주문하신 상품의 반품,교환은 상품수령일로 부터 7일이내에 신청하실 수 있습니다.
  • ㆍ상품이 훼손된 경우 반품 및 교환,환불이 불가능합니다.
  • ㆍ반품/교환시 고객님 귀책사유로 인해 수거가 지연될 경우에는 반품이 제한될 수 있습니다.
  • ㆍ스프링제본 상품은 교환 및 환불이 불가능 합니다.
  • ㆍ군부대(사서함) 및 해외배송은 불가능합니다.
  • ㆍ오후 3시 이후 상담원과 통화되지 않은 취소건에 대해서는 고객 반품비용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반품안내
  • 마이페이지 > 나의상담 > 1 : 1 문의하기 게시판 또는 고객센터 1800-7327
교환/반품주소
  • 경기도 파주시 문발로 211 1층 / (주)북채널 / 전화 : 1800-7327
  • 택배안내 : CJ대한통운(1588-1255)
  • 고객님 변심으로 인한 교환 또는 반품시 왕복 배송비 5,000원을 부담하셔야 하며, 제품 불량 또는 오 배송시에는 전액을 당사에서부담 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