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정밀 기구설계의 첫걸음
광학 분야는 초창기부터 광학요소의 설치와 정렬을 위한 다양한 공정과 기구들이 고안되었다. 광학기구는 과도구속에 의한 응력의 생성과 구조의 왜곡을 피하기 위해서 일찍부터 초정밀 가공으로 해결할 수 없는 기구물의 설계에 최소 구속 이론과 유연 메커니즘을 도입하였고, 이로 인하여 정밀기계의 설계는 광학 분야에서 가장 빠르게 발전하였으며 이 기술들이 다양한 경로를 통해서 반도체와 정밀기계 산업 속으로 확산되어가고 있다.
정밀기계의 설계는 열팽창이나 잔류응력과 같은 다양한 환경부하를 고려하여 철저한 이론적 기반하에 기기의 작동성능을 예측하고 온도보상이나 반력의 상쇄 등의 최신 설계기법을 적용하여야 하는 고도의 전문성을 필요로 하는 분야이다.
이 책은 역자가 정밀기계설계 분야의 주요 서적들을 번역하기로 결심한 이후 완성한 다섯 번째
번역서로 광학공학과 광학기계 설계 분야의 실무자들에게 특히 광학 계측장비에 고정되는 모든 크기의 렌즈, 시창, 필터, 쉘, 돔, 프리즘 및 반사경 등과 같은 광학요소의 주요 방식에 대한 종합적인 이해를 도와줄 목적으로 저술되었다. 특히 다양한 고정방식의 장단점을 소개하고 서로 다른 광학기계 설계를 평가 및 비교하는 데 사용할 수 있는 해석적 도구를 제공한다.
이 책은 이러한 도구에 대한 이론적인 배경과 방정식 대부분에 대한 출처가 제시되어 있다. 또한 각 절마다 해당 기술에 대한 도식적인 설명이 포함되어 있으며 가능한 한 하나 이상의 실제사례를 수록하였다.
이 책이 기계설계 분야를 되살리는 작은 불씨가 되기를 기대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