장바구니 담기 close

장바구니에 상품을 담았습니다.

회남자(하)

회남자(하)

  • 유안
  • |
  • 자유문고
  • |
  • 2015-08-07 출간
  • |
  • 788페이지
  • |
  • 152 X 225 X 40 mm /1124g
  • |
  • ISBN 9788970300900
판매가

30,000원

즉시할인가

27,000

배송비

무료배송

(제주/도서산간 배송 추가비용:3,000원)

수량
+ -
총주문금액
27,000

※ 스프링제본 상품은 반품/교환/환불이 불가능하므로 신중하게 선택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출판사서평

『회남자 상·하』
- 제자백가의 집성集成과 통일 -


1.
『회남자』의 원제는 ‘홍렬鴻烈’로 ‘회남홍렬淮南鴻烈’이라 불리기도 했으며, 전한시대 이후부터 ‘회남자’로 불렸다고 한다. 홍렬은 ‘도를 크게 밝힌다’는 뜻이니, 제목에서 어느 정도 책의 성격을 느낄 수 있다.
즉 수천 명의 문사들이 참여한 집단 지성의 발현인 만큼 당시 제자백가의 모든 사상이 담겨 있어서 잡가로 분류되기도 하지만, 한편으로는 도가를 중심으로 다른 사상들을 통합하려는 의도가 깔려 있다고 하겠다.
한나라 초기는 시대적으로 지방 제후의 힘을 약화시키고 중앙집권을 강화하던 때로, 그 사상적 구심점은 유가에 있었다. 때문에 정치적으로는 지방 제후가, 사상적으로는 유가를 제외한 다른 사상들이 결합할 수밖에 없었는데, 그 결과가 지방 제후였던 회남왕 유안과 수천에 이르는 사상가들의 결합, 그리고 『회남자』로 꽃피웠던 것이다.

2.
유안劉安에 관해서는 『한서漢書』에 별도의 열전이 있다. 그에 따르면 유안은 한고조漢高祖 유방劉邦의 손자이다. 그의 아버지 유장劉長은 동제東帝라고 칭하는 등 분수에 넘치게 행동하다 촉蜀으로 유배 가던 중 굶어 죽었다. 유안 또한 무제武帝 때 모반을 꾀했다가 죽음을 당했다.
유안은 독서와 학문을 좋아하였는데, 그가 빈객을 초청하자 문사[士]들이 수천 명이나 모여들었다. 그중에 소비蘇飛, 이상李尙, 진창晉昌, 좌오左吳, 전유田由, 뇌피雷被, 모피毛被, 오피伍被 등 8명이 가장 저명했는데, 유안은 이 8명과 함께 다른 무리들과 강론하여 그 결과물로 『회남내서淮南內書』, 『회남외서淮南外書』, 『회남중서淮南中書』라는 방대한 양의 저서를 편찬하였다. 외서와 중서는 전하지 않고, 지금 우리가 회남자라고 부르는 책은 내서이다.
『회남자(내서)』는 21편으로 구성되어 있는데, 그 내용은 천문天文·지리地理·인사人事·시칙時則·주술主術·신화神話·전설傳說 등 다양하며, 사상적으로는 병법兵法을 포함해 유가儒家·도가道家·법가法家·명가名家·음양가陰陽家까지 포함해 제가諸家의 학설을 총망라해 다루고 있다. 그 결과 잡가雜家라는 평과 함께 제가諸家의 사상을 집대성하여 통합하고 있다는 평가를 받고 있는 것이다.
그 내용을 좀 더 자세히 들여다보면 바른 도道에 관한 형이상학적인 내용을 다루고 있는 원도훈, 우리가 익히 알고 있는 새옹지마의 유래나 당랑거철 등과 관련된 이야기 등을 담고 있는 인간훈, 군주의 길에 대한 가르침을 담은 주술훈, 군사를 사용하는 법에 대한 병략훈 등 다양한 내용이 수록되어 있으며, 마지막 21편 요략要略은 제1편부터 제20편까지를 주제에 맞추어 순서를 정하고 그 내용의 요점을 잡아서 간추려 놓고 있다.
『회남자』는 한나라 때 지식인들, 특히 중앙의 지식인들이 아닌 제후국의 빈객으로서 지내는 지식인들의 시각으로 바라보는 다양한 이야기를 담고 있는 일종의 백과사전이므로, 한나라 당시의 전체적인 시대상황은 물론이고, 당대인들의 사상과 그들이 추구하는 이념, 학문적 경향 등을 볼 수 있는 귀중한 자료라고 하겠다.
자유문고의 [동양학총서] 63번째 권이다.

목차

제11권 제속훈齊俗訓_ 21
1. 인의仁義가 서면 도덕道德이 옮겨진다_ 23
2. 노魯나라를 어떻게 다스리겠는가?_ 26
3. 요임금 때 순舜임금이 사도司徒가 되다_ 32
4. 사람이 본성을 잃게 되면…_ 37
5. 예는 진실의 문채이다_ 43
6. 몸은 도道가 의탁하는 곳이다_ 49
7. 근본은 지극히 커서 형체가 없다_ 55
8. 먹줄은 곧은 것을 만든다_ 59
9. 다스려진 세상의 형태는 지키기 쉽다_ 65
10. 도덕은 해와 달과 같은 것이다_ 69
11. 새는 보금자리를 지킨다_ 76
12. 세상이 어지러워지면 군자라도 간사해진다_ 80

제12권 도응훈道應訓_ 85
1. 태청太淸이 무궁無窮에게 묻다_ 87
2. 혜자惠子가 국가의 법을 만들다_ 91
3. 백공승白公勝이 초나라를 빼앗다_ 93
4. 하루아침에 2개의 성城을 함락시키다_ 97
5. 사람의 자질을 잘 헤아려야 성공한다_ 101
6. 속금贖金하고 사례를 받지 않은 자공子?_ 103
7. 적인翟人이 국토를 요구하다_ 107
8. 이로운 그릇은 남에게 보여서는 안 된다_ 111
9. 군자는 남의 이익에 편승하지 않는다_ 114
10. 백락伯樂이 구방인을 천거하다_ 118
11. 국가의 치욕을 받는 자가 사직의 주인이다_ 120
12. 형혹성은 하늘의 징벌이다_ 123
13. 자발子發이 채蔡나라를 공격하다_ 127
14. 세 가지 원망이 있는 것을 아는가?_ 129
15. 윤일尹佚과의 정치에 관한 문답_ 133
16. 안회顔回의 좌망坐忘이란…_ 137
17. 노오盧敖가 놀 때 선비를 만나다_ 142
18. 망량罔兩이 그림자에게 물었다_ 146
19. 삶을 위하지 않는 것이 더 현명하다_ 150
20. 그대의 술術로 무엇을 하겠는가?_ 153
21. 공자孔子가 사당을 살피다_ 158

제13권 범론훈氾論訓_ 163
1. 투구와 한 벌의 옷으로 왕자가 되다_ 165
2. 혼례에서는 주인을 일컫지 않는다_ 168
3. 이러한 것이 바른 다스림이다_ 172
4. 옛날은 순박한 세상이었다_ 174
5. 화和보다 큰 것이 없다_ 179
6. 한쪽 모퉁이를 가리키는 것만을 보다_ 183
7. 국가가 존재하는 것은 도덕 때문이다_ 187
8. 말에는 반드시 믿음이 있어야 한다_ 192
9. 까치는 다가올 일을 안다_ 196
10. 한 치를 굽혀 한 자를 펴다_ 199
11. 요임금, 순임금도 작은 과실은 있었다_ 204
12. 사람을 비교하는 일은 쉽지 않다_ 207
13. 조양자趙襄子는 상을 잘 주었다_ 210
14. 선善만큼 하기 쉬운 것이 없다_ 213
15. 암컷과 수컷이 서로 교접하면…_ 218
16. 우물, 부뚜막, 문, 빗자루에 제사를 지내는 이유_ 222

제14권 전언훈詮言訓_ 229
1. 이러한 사람을 진인眞人이라고 한다_ 231
2. 다스림은 백성을 편안하게 하는 것이다_ 234
3. 다 주면 또다시 얻는 것이다_ 238
4. 성인聖人은 있는 것만을 지킨다_ 241
5. 지혜를 쓰지 않는 것은 없는 것과 같다_ 244
6. 하는 것이 없어도 스스로 다스려지는 것_ 248
7. 지혜를 좋아하는 것은 술수가 다한 것이다_ 251
8. 삼대의 도는 따르는 것이었다_ 256
9. 군주가 인仁을 좋아하게 되면…_ 260
10. 조용한 것이 소란스런 것을 이긴다_ 263
11. 많은 것을 거느리는데 불가한 것은…_ 266
12. 명령을 많이 내리면 혼란스러워진다_ 269
13. 성인은 뒤에 하고 앞서지 않는다_ 271

제15권 병략훈兵略訓_ 275
1. 군사는 백성의 해로운 것을 제거한다_ 277
2. 남을 위하는 자는 모두가 따른다_ 282
3. 전쟁에는 세 가지 요체가 있다_ 289
4. 전쟁의 승패는 정치에 달려 있다_ 292
5. 사방 70리로 왕자王者가 되다_ 298
6. 군사는 의심하면 패배하게 된다_ 302
7. 무형無形으로 유형有形을 제재한다_ 307
8. 뛰어난 장수의 용병술_ 310
9. 은밀히 논의하는 것은 천도天道이다_ 314
10. 하늘의 수는 좌청룡左靑龍 우백호右白虎이다_ 317
11. 뛰어난 장수의 용병술_ 320
12. 군주가 백성에게 바라는 것 두 가지_ 323
13. 오살五殺로 응대하는 용병술_ 327
14. 장군은 홀로 보고 홀로 알아야 한다_ 330
15. 국가에 어려움이 있게 되면…_ 333

제16권 설산훈說山訓_ 337
1. 도道란 어떤 형태인가?_ 339
2. 작은 배움이 없다면 크게 미혹되지 않는다_ 341
3. 다스리는 것은 말로 하지 않는다_ 344
4. 진성자陳成子가 자연첩을 협박하다_ 347
5. 성인은 바람이 부는 데도 먼저 하지 않는다_ 352
6. 천년 된 소나무에 복령茯?이 있다_ 356
7. 염색할 때에는 파란색을 먼저 한다_ 359
8. 막야도 부러지면 고기도 자르지 못한다_ 364
9. 초나라 왕이 흰 원숭이를 사랑하다_ 367
10. 새는 그물의 한 코에 걸린다_ 371
11. 기와를 만들어 지붕을 덮다_ 376
12. 순백粹白의 여우는 없다_ 379
13. 장왕莊王이 이사里史를 처형하다_ 382

제17권 설림훈說林訓_ 387
1. 한 시대의 제도制度란…_ 389
2. 지극한 말은 꾸미지 않는다_ 392
3. 입술이 없으면 이가 시리다_ 395
4. 젖을 먹이는 개는 호랑이도 물어뜯는다_ 399
5. 여드름을 짜다 종기가 나게 하는 일_ 403
6. 진주는 병든 조개에서 생긴다_ 406
7. 나국?國에서는 새나 짐승이 피하지 않는다_ 409
8. 옛날에 만든 것이라도 나쁜 것이 있다_ 413
9. 보조개가 이마에 있다면 추할 것이다_ 417
10. 학鶴은 천년의 수를 누린다_ 421
11. 성인聖人은 음陰에 처한다_ 424
12. 도공陶工이 새끼줄을 버리면…_ 428

제18권 인간훈人閒訓_ 433
1. 이러한 것을 마음이라고 한다_ 435
2. 천하에는 세 가지 위험이 있다_ 438
3. 양호陽虎가 노나라를 어지럽히다_ 442
4. 신하들이 피하는 것과 힘쓰는 것_ 445
5. 음덕陰德에는 양보陽報가 있다_ 450
6. 이것이 새옹지마塞翁之馬의 유래이다_ 454
7. 만세萬歲를 위한 이로운 것이란…_ 459
8. 공로가 있는데도 죄를 받는 경우가 있다_ 464
9. 목공穆公이 정鄭나라를 침공하다_ 468
10. 진晉나라의 여섯 장수들_ 471
11. 성인은 작은 일에도 조심한다_ 477
12. 재앙은 작은 것에서 시작된다_ 480
13. 자주子朱가 태재 자리를 떠나다_ 485
14. 진秦을 멸망시킬 자는 호胡이다_ 489
15. 망령된 말이 도리어 합당할 때가 있다_ 494
16. 의를 행하다 멸망한 서나라_ 498
17. 당랑(사마귀)이 수레바퀴에 덤벼들다_ 501
18. 성인은 일을 행함에 걱정하지 않는다_ 505
19. 거실이 크면 슬퍼진다_ 508
20. 같은 것이 아닌데 옳은 것이란…_ 512

제19권 수무훈脩務訓_ 517
1. 무위無爲는 소리가 없는 것이다_ 519
2. 성인聖人이 지위에 오르는 것은…_ 522
3. 행동을 달리해도 이치에 합하는 것_ 527
4. 학자들을 비난할 것이 많아지다_ 531
5. 말은 풍속에도 동일한 것이다_ 535
6. 요순도 기술자의 능력에는 미치지 못한다_ 539
7. 힘쓰지 않고 성공한 사람은 없다_ 543
8. 명성은 일에서 얻어지는 것이다_ 545
9. 백아가 거문고 현을 끊어버렸다_ 549
10. 임기응변의 말로 군주의 권력을 빼앗다_ 552
11. 초나라 경양왕頃襄王의 검劍_ 553
12. 쉽게 이루어지는 일은 명성이 작다_ 557

제20권 태주훈泰族訓_ 561
1. 이러한 것을 신명神明이라고 한다_ 563
2. 고종高宗은 3년 동안 말을 하지 않았다_ 565
3. 만물은 자연적으로 이루어지는 것이다_ 569
4. 3천의 군사로 하夏왕조를 무너뜨리다_ 572
5. 삼參과 오五란 무엇인가?_ 576
6. 신농씨가 거문고를 만들다_ 580
7. 관저關雎의 시詩는 새에서 비롯했다_ 584
8. 일이 쪼개지면 다스리기가 어렵다_ 588
9. 물의 본성은 온순하고 맑다_ 594
10. 공자의 제자는 3천 명이었다_ 597
11. 굽히는 것은 펴기 위한 것이다_ 602
12. 다스림의 근본은 편안케 하는 데 있다_ 605
13. 천하를 둔다는 것은 마음을 얻는 것이다_ 609
14. 천하보다도 크고 태산보다도 높은 것_ 613
15. 도道에서는 형체가 있는 것이 태어난다_ 616
16. 오제五帝와 삼왕三王의 도_ 620
17. 태어나는 것을 보고 돌아갈 곳을 안다_ 623
18. 사람을 사랑하는 것보다 큰 것은 없다_ 628

제21권 요략要略_ 633

원문 자구 색인原文字句索引_ 659

도서소개

『회남자』는 한나라 초기 유안이 수천 명에 이르는 빈객들과 함께 이루어낸 당대 지식의 총화라고 할 수 있다. 이러한 사상적 다양성 때문에 『회남자』는 한편에서는 잡가에 속하는 책이라는 평가를 받는 반면 다른 한편에서는 한나라 초기 제자백가의 사상을 포용하고 통합한 철학서라는 평가를 받는다. 책이 만들어진 당시에는 내서 21편과 외서 33편, 중서 8편이 있었다고 하지만 현재 전하고 있는 것은 내서 21편이다. 본서는 내서 전편을 완역하면서 원문과 중요 자구에 대한 해설, 원문자구 색인을 덧붙여 공부하는 이들에게 도움이 되도록 하였다.

교환 및 환불안내

도서교환 및 환불
  • ㆍ배송기간은 평일 기준 1~3일 정도 소요됩니다.(스프링 분철은 1일 정도 시간이 더 소요됩니다.)
  • ㆍ상품불량 및 오배송등의 이유로 반품하실 경우, 반품배송비는 무료입니다.
  • ㆍ고객님의 변심에 의한 반품,환불,교환시 택배비는 본인 부담입니다.
  • ㆍ상담원과의 상담없이 교환 및 반품으로 반송된 물품은 책임지지 않습니다.
  • ㆍ이미 발송된 상품의 취소 및 반품, 교환요청시 배송비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 ㆍ반품신청시 반송된 상품의 수령후 환불처리됩니다.(카드사 사정에 따라 카드취소는 시일이 3~5일이 소요될 수 있습니다.)
  • ㆍ주문하신 상품의 반품,교환은 상품수령일로 부터 7일이내에 신청하실 수 있습니다.
  • ㆍ상품이 훼손된 경우 반품 및 교환,환불이 불가능합니다.
  • ㆍ반품/교환시 고객님 귀책사유로 인해 수거가 지연될 경우에는 반품이 제한될 수 있습니다.
  • ㆍ스프링제본 상품은 교환 및 환불이 불가능 합니다.
  • ㆍ군부대(사서함) 및 해외배송은 불가능합니다.
  • ㆍ오후 3시 이후 상담원과 통화되지 않은 취소건에 대해서는 고객 반품비용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반품안내
  • 마이페이지 > 나의상담 > 1 : 1 문의하기 게시판 또는 고객센터 1800-7327
교환/반품주소
  • 경기도 파주시 문발로 211 1층 / (주)북채널 / 전화 : 1800-7327
  • 택배안내 : CJ대한통운(1588-1255)
  • 고객님 변심으로 인한 교환 또는 반품시 왕복 배송비 5,000원을 부담하셔야 하며, 제품 불량 또는 오 배송시에는 전액을 당사에서부담 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