혁신을 넘어 전환으로 과학기술정책으로 사회문제 해결하는 사회·기술시스템전환론의 이론과 실천. 기후가 변화하면서 갑작스런 자연재해가 일상을 뒤흔든다. 화석 연료는 환경을 오염시킬 뿐만 아니라 매장량도 한정되어 있다. 부의 양극화가 심화되고 청년들은 일자리를 구하지 못해 사회 갈등의 골이 깊어진다. 이런 글로벌 수준의 거대 사회문제들로 지구촌 곳곳은 골머리를 앓고 있다. 어떻게 해결할 것인가?
사회·기술시스템전환론은 이 지점에서 출발한다. 과학기술정책이 자연현상을 이해하고 산업 발전에 기여하는 것을 넘어 사회문제를 해결하고 삶의 질을 높이는 데까지 확장된 것이다. 사회·기술시스템전환론은 기존의 시스템을 넘어 지속가능한 시스템으로 전환할 것을 주장한다. 또한 경제성장, 사회통합, 환경보호, 시스템혁신, 거버넌스를 핵심 개념으로 제시하고 에너지시스템, 물시스템, 도시시스템, 자원시스템, 농식품시스템, 보건·의료시스템의 전환 전략을 실천적으로 다룬다. 『사회·기술시스템전환: 이론과 실천』은 사회·기술시스템전환론의 이론과 실천을 체계적으로 정리한 최초의 입문서로 한국사회의 혁신을 고민하는 연구자와 정책입안자들은 꼭 참고해야 할 책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