머리말
1장 광고 기획의 개요
01 광고 기획은 무엇인가? 광고 전략이란 무엇인가?
02 기획과 계획, 목적과 목표, 전략과 전술
03 광고 목표는 무엇이며, 광고 목표 설정은 실무에서 어떤 의미를 갖고 있는가?
04 광고 기획과 마케팅 기획은 어떻게 차이가 나는가? IMC는 무엇인가?
05 광고 기획자(AE)는 어떤 일을 수행하며, 어떤 능력을 갖추어야 하는가?
06 광고 기획서는 무엇이며, 어떤 역할을 하는가?
07 광고 기획서에는 정형화된 틀이 있는가?
교재에서 제시하는 많은 내용을 어디까지 기획서에 담아야 하는가?
08 광고 기획의 순서
2장 상황 분석
09 상황 분석은 무엇이며, 왜 하는가? .
10 상황 분석의 시작
11 상황 분석의 부분별 체크리스트
12 정량적 조사와 정성적 조사
13 상황 분석 과정에서 2차/1차 자료 수집과 질적/양적 조사는 어떤 순서와 과정을 거쳐야 하는가?
14 변인의 최소 필요조건화 [MiNeCoVa]
15 자극-반응 모델에 대한 학제적 접근
16 자극-반응 모델의 광고 기획에의 학제적ㆍ실용적 적용
17 정규분포의 활용
18 동일 브랜드, PLC 상의 상이한 포지셔닝
19 혁신의 확산 이론과 임계
20 속성, 혜택, 기대가치
21 제품군 구매 이유 vs. 브랜드 구매 이유
22 소비자는 각자 자신만의 기대가치를 구매한다!
23 기대가치의 확산 주기
24 행동 의지와 사회적 성향에 따른 소비자 행동의 계층 모델
25 소비자 행동과 제품 Category의 관련성 분석으로부터 참조할 수 있는 정보: FCB GRID모델
26 기업의 전략 수립을 위한 분석으로부터 참조할 수 있는 거시적 정보: BCG
27 마케팅 상황 분석으로부터 참조할 수 있는 정보: SWOT
3장 시장과 Target 추적, 확인, 추출
28 시장과 Target 추적ㆍ확인ㆍ추출하기: 세 가지 관점의 이해
29 개별 Target 속성 Report의 오류
30 시장과 Target 추적ㆍ확인ㆍ추출하기: Category 세분화ㆍ적확화 필요성
31 시장과 Target 추적ㆍ확인ㆍ추출하기:
우리의 핵심 경쟁사가 향상 우리와 같은 업종의 Category에 있는 것은 아니다
32 시장과 Target 추적ㆍ확인ㆍ추출하기: 변인화의 필요성
33 Pareto의 법칙, Long Tail 법칙
34 BDI, CDI
4장 예산 설정
35 광고 예산 설정법
36 광고 교환율, 광고 점유율(SOV), 시장 점유율(MS)
5장 광고 효과
37 광고 탄력성
38 공모전 주제에서 방향 찾기: 광고 목표를 광고 효과와 연결하기
39 VAC MACE와 QAC MACE: 크리에이티브의 변인화/정량화 필요성
40 광고 크리에이티브 작업에서의 고려 요인: CORE QUEST
41 광고에서 Visual 정보의 효과
6장 광고의 사회적 책임
42 윤리 의식과 사회적 책임 의식
저자 소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