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권의 구성이 신라고고학 서설, 왕경과 지방도시, 주거와 취락, 성곽, 묘제, 사원, 생업, 토목, 신라와 중국남북조의 교류, 신라와 일본, 신라와 서역문물등과 같은 거시적인 테마로 이루어져 있었다면 하권에서는 보다 집중된 주제라고 할 수 있는 유물을 중심으로 한층 심화된 논의를 전개합니다. 고 신라토기, 인화문토기, 신라의 철생산, 신라의 자기문화 등과 같은 논고들은 당시의 산업기술에 대한 단초를 짐작하게 하는 기초 소재를 중심으로 하는 논고들이고, 신라의 장신구, 신라의 말과 마구, 신라의 농공구, 신라의 무기, 신라의 갑주, 신라 기와 등을 다룬 논고들은 당시의 정치, 군사, 문화에 대한 정보를 해석하는 양상을 보여주고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