장바구니 담기 close

장바구니에 상품을 담았습니다.

조종현 전집 1 아동문학/시조편

조종현 전집 1 아동문학/시조편

  • 이동순 (엮음)
  • |
  • 소명출판
  • |
  • 2015-12-01 출간
  • |
  • 682페이지
  • |
  • 158 X 232 mm /1139g
  • |
  • ISBN 9791159050305
판매가

42,000원

즉시할인가

37,800

배송비

무료배송

(제주/도서산간 배송 추가비용:3,000원)

수량
+ -
총주문금액
37,800

※ 스프링제본 상품은 반품/교환/환불이 불가능하므로 신중하게 선택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출판사서평

조종현의 작품에 관한 연구를 용이하게 할 자료가 집대성 됐다. 『조종현 전집』(소명출판, 2015)은 소설가 조정래 선생의 아버지이자 승려, 동요작가이자 동시에 시조시인이었던 조종현의 작품들을 모았다.

조종현은 누구인가?
철운 조종현은 다양한 면모를 가지고 있다. 승려, 동요작가 시인. 한 마디로 정의할 수 없는 사람이다.
그는 승려였다. 열여섯 살에 전라남도 순천의 선암사에서 경운스님을 노사로, 금봉스님을 은사로 출가하여 선암사의 법맥을 이은 학승이자 강원의 강사였다. 그는 일제의 조선불교 사찰령을 거부하고 불교의 개혁과 불교의 대중화에 앞장섰다. 뿐만 아니라 한용운이 이끈 항일비밀결사체 ‘만당’의 맹원으로 활동하기도 했다.
그는 동요작가이기도 했다. 조종현은 동요를 통해 (민족의 미래를 책임질 기표로 등장한) ‘어린이’들이 당면한 민족적 현실과, 어린이들의 앞날에 희망을 주고자 하였다. 1920년대부터 30년대는 민족운동의 성격을 띤 동요운동이 전국적으로 전개되었던 때로, 그는 동요에 주목하고 동심의 구현에 열심이었다.
그는 또한 시조시인이었다. 1928년 『불교』에 첫 시조 「정유화」를 발표한 것을 시작으로 생을 마칠 때까지 332편의 시조를 썼다. 생전에 『자정의 지구』, 『의상대 해돋이』, 『거 누가 날 찾아』, 『나그네 길』 등 4권의 시조집을 발간하였다. 그는 박한영 스님이 설립하여 운영한 개운사 강원(중앙불전, 현 동국대)에서 유식을 공부할 때 정인보, 이병기, 이은상, 최남선에게 시조를 배웠다. 1920년대의 시조부흥운동을 이어받아, 1960년대 이태극과 『시조문학』을 창간하여 신인들을 발굴하여 시조문학의 발전을 위해 헌신하였다.
이런 그의 작품을 한 자리에 모아, 다양한 이력이 말해주는 그의 자리가 무엇을 의미하는 지 밝혀지기를 바라는 마음을 이 책에 담았다.

조종현의 다양한 면모를 발견할 수 있는 전집 구성
『조종현 전집』은 총 2권으로 구성되었다. 작품은 발표된 순서대로 정리하였으며, 서지를 밝혔다.
1권은 아동문학·시조편이다. 동요는 『조선일보』에 발표한 첫 동요 「엄마숨박곡질」부터 발굴·정리하여 58편을 수록했다. 그리고 아동문학 평론 2편과 동요극 1편을 찾아 아동문학사에서 그가 활동했던 영역을 확보하여 묶었다. 1920년대와 1930년대는 가장 활발하게 동요가 창작된 시기로, 조종현 역시도 적극적으로 동요를 발표하였다는 것을 알 수 있게 하였다.
그리고 시조편에는 첫 작품인 「정유화」부터 총 332편의 작품을 수록했다. 생전에 발행했던 시집 4권에 실린 작품을 정본으로 삼았다. 발표당시 원문에는 하나의 제목으로 발표하였으나, 이후 시집에 수록할 때 각 수마다 제목을 붙이거나, 몇 수를 삭제하고 수록한 것은 각각 독립된 작품으로 정리했다. 발표 당시의 원문을 그대로 옮겨 실었으며, 제목이 바뀐 경우와 시집에 수록된 작품은 별도 표기했다. 마지막으로 번역한 시조를 넣어 그의 문학이 지향한 세계를 확인할 수 있게 하였다.
2권은 산문편으로 총 53편을 수록했다. 일제하의 불교개혁운동에 관련된 글부터 1960년대의 불교분쟁, 그리고 교훈적인 글까지 망라하였다. 그리고 만해 한용운이 쓴 「조선독립의서」 등의 번역문도 넣어 번역의 뜻을 알게 하였고, 회갑을 맞이한 문인들의 「문학좌담회」도 넣어 문단의 흐름도 알 수 있게 하였다.
책의 말미에는 생애 연보와 작품 연보를 수록하였으며, 부록에는 육필원고를 영인하여 넣음으로써 창작의 순간을 고스란히 느낄 수 있도록 했다.

서지를 밝히지 못한 작품들이 많고, 필명을 확인하지 못해 심증은 있으나 확신이 서지 않은 글은 수록하지 못했다. 그러나 그동안 주목받지 못했던 그의 작품을 한 자리에 모았다는 것에 의미가 있는 작업이다. 2차 연구의 자료로써 앞으로 그의 작품에 대한 연구의 바탕이 되었다는 것에 뜻 깊은 책이다.

목차

발간사

아동문학편
동요
엄마숨박곡질
울 어머니 애기노래
울 엄마 가락지
고기잡이의 아들 노래
직공된 누나의 노래
게름방이 동무들
참새나라
신문사 가보고
형님 품에서
공밧기
?염?기
잉크병
뷘방 안
방아?키 배?기
봄 시내가에서
봄 시내가에서
굴?지
선생님 말슴
집 생각
휘파람
어린 거지의 노래
헐벗고 굶주려도
엄마 일흔 송아지
다람쥐
언제나 부러운 시내
고향한울
?골의 정조
봉사?
어린 거지
한말·한글
맑은 여울
녀름밤은 옥수수에 재미 부친 밤
봉숭화?
형님
우리집식구
새훗든논
욕심쟁이
동무야! 너는?
너는 니젓느냐?
자장노래
어린 머슴애
?아라
망아지
젓먹일 ?
콩밥
가랑닢
어린남매
少年行進曲
成道의 새벽
동무 손을 잡고
어린 누나가 안입니??
?나는 고향
밤길
어머니
엄마같소
나루ㅅ배
눈 오시는 밤
맨발로

동요평론
李盛珠 氏 童謠 「밤엿장수여보소」는朴古京 씨의 作品(一)
李盛珠 氏 童謠 「밤엿장수여보소」는朴古京씨의 作品(二)
『갈멕이의서름』을 창작연발표한(一)-李季嬅 氏에게
『갈멕이의서름』을 창작연발표한(二)-李季嬅 氏에게

동요극
꽃 피는 동산

시조편
庭有花
시골의 情調!
그리운 情
城北春懷
더욱 그립네
도회의 저녁
拈花微笑
聖夢
새봄을 맞으며
花虹門
隆陵-莊獻世子의 墓
눈 오시는 밤
한강수-생명·비밀·영원
獅吼頌-天上天下, 唯我獨尊
참아 그길가질가
背信者
백운대 갈 때려니
忠武公追慕
보신각 종
生死觀空
團結부터
그러구러 가련가
삼산에 지는 달
甘露水
枯香樹
鶴鳴禪師追慕(內藏寺)
애닮은 추억
한강 달밤
鍾소래끝이고
靈泉石佛
어머니의 다지는 말씀-오빠 보내는 밤에
歸鄕小曲
歲暮의 江山
波羅密贊-得度十年에
동무에게
別曲三章
漢陽別曲-나를 보내주신동무네께
그리는 밤
昌慶苑에서-啓東형의게
변하오리?
호풍 이역-조란 동포를 생각하며
이 땅의 형제여
東方의 光明-동광에게
老母의 설움
주인은 어데로
왜 그 말을 하였던가
時調日記
우리뜻 살려지다-「佛敎」의 백호의 낳음에 보냄
祭壇 앞에서-壽英氏의一週忌
전원에 드는 가을-가을볕 아래서
애기의 편지-玉潤에게
바람결에 붙이는 노래
쓰고 적고
사슴이 우는 밤
흰 털을 뽑으며-一碧에게
비닭이
동무의 말
동지를 잃고
慈母初忌
오! 陽震의 靈은
朴鍾雲君의 靈에게
雪山으로 들어가
잃은 靑春
귀향 소곡
가을볕 아래서
피란 가는 길 1
피란 가는 길 2
피란 1
피란 2
설날 아침
친산 성묘
소낙비
救族의 깃발
오목대
早春旅程
담양장
암소
가을 하늘 아래서
고향에 돌아오며
자정의 지구
파고다의 열원
천애의 고아
두견
가로 누운 시체
꽃 한 포기
모란꽃
그리 멀지 않습데다-金岡石님을 찾아서
코스모쓰-徐銅牛님에게
평화 공양-조개 껍질의 세계
조국의 하늘
나는 죽어야 한다
사냥길
싸리꽃
가을 나그네
봄하늘 아래
내 살을 내가 꼬집으며
鄕村의 가을
울분
허수아비
외나무다리
어머니 관세음보살
얼어붙은 밤
휑 뚫린 길이언만
頌詩-普成 60週年을 맞으며
어떻게 갔을까-어느 무덤 곁에서
아 그날이여 오늘이여
趙芝薰 靈前에
頌祝
곡천 나들이
공동묘지
원평도중
떠나는 길
동동주 한 잔-가람님에게
장성 갈재
임피를 지내며
남관 관촌
연화동 다리
영하 18도
영수정에서-金岡石님을 찾아서
나그네 길
가슴
가는 가을
어머니 무덤가에
목련화
얼어붙은 강
넋이 우는 낙동강
바라보는 월남땅
나도 푯말되어 살고싶다-국군 묘지에서
산새
그리움
비원 뒷 산골
산도 가람도 자라는구나-광복절을 맞는 아침
구름
아, 가람님의 가심이여
보시소 돌부처님-내가 좋아하는 사투리로
보이지 않은 창
노을타는 冠岳山
落葉
나그네
꾀꼬리·귀촉도
東海點描
雪岳山 단풍 Ⅰ
雪岳山 단풍 Ⅱ
가을하늘 이파리
雪嶽山에서
雪岳公
도토리
가을비, 가을바람
하늘아
한줄·한마디
푸른 目標
歲月이
떠나는 아침
寒露무렵
山에 오르면
登山人口
연습
울고만 싶다
지나가며
卍海는…?
참새 새끼
코스모스 1
거 누가, 날 찾아
마음의 날개
江南 春三月
韓龍雲碑
南大門 문턱
오늘의 삶
저렇게 살고 싶다
그림자
歲月이 꽃가루로
立春 뒷날
春分의 가리마
푸르름의 계절
계곡의 어느 하루
산뜻한 가을
가을 저녁
포근한 순간
강남터미널에서
눈 내리는 대관령
季節風
시냇소리
맑은 소리
나팔꽃
水落山
綠陰이 출렁거리면
은행나무 아래서
코스모스 2
제비 한 쌍
雉岳山어귀
驪州들을 지나며
눈발 날리는 들판
물은 흘러도
山불
東海가에서
아카시아 향기
그대의 꿈
그의 눈망울
獻花
섣달 나그네
버스에서
포장마차
嶺松賦
꿈의 氣象圖
東海岸 바라보며
겨울 빗소리에 부침
月河詩集-“소리 소리 소리”에 卽興一篇
나그네 길 1
나그네 길 2
나그네 길 3
나그네 길 4
나그네 길 5
나그네 길 6
나그네 길 7
나그네 길 8
나그네 길 9
나그네 길 10
나그네 길 11
나그네 길 12
나그네 길 13
나그네 길 14
나그네 길 15
나그네 길 16
나그네 길 17
나그네 길 18
나그네 길 19
나그네 길 20
나그네 길 21
나그네 길 22
나그네 길 23
나그네 길 24
나그네 길 25
나그네 길 26
나그네 길 27
나그네 길 28
나그네 길 29
나그네 길 30
나그네 길 31
나그네 길 32
나그네 길 33
나그네 길 34
나그네 길 35
나그네 길 36
나그네 길 37
나그네 길 38
나그네 길 39
나그네 길 40
나그네 길 41
나그네 길 42
나그네 길 43
나그네 길 44
나그네 길 45
나그네 길 46
나그네 길 47
나그네 길 48
나그네 길 49
나그네 길 50
나그네 길 51
나그네 길 52
나그네 길 53
나그네 길 54
나그네 길 55
나그네 길 56
나그네 길 57
나그네 길 58
나그네 길 59
나그네 길 60
나그네 길 61
나그네 길 62
나그네 길 63
나그네 길 64
나그네 길 65
나그네 길 66
나그네 길 67
나그네 길 68
나그네 길 69
나그네 길 70
나그네 길 71
나그네 길 72
나그네 길 73
나그네 길 74
나그네 길 75
나그네 길 76
나그네 길 77
나그네 길 78
나그네 길 79
나그네 길 80
나그네 길 81
나그네 길 82
나그네 길 83
江邊三章-爲堂님을 그리며
못 갚으리
念珠를 돌리며
울음꽃 술잔에 띄워
찾는 길
백묵가루에
새깃발
길목에 서서
밤의 정밀(精謐)
달맞이꽃
6·25는 우리 가슴의 산 역사
碧爐
만가(挽歌)
무등산곡(曲)
아버지 묘표명(墓表銘)
첫 눈 내리는 밤
산새 (2)
다방 풍경
여수 오동도에서
그건 더욱 몰라
북망산천
남이섬
설악산 접어들며
꿈꾸는 가로수
수주(樹州)님 영전에
광릉 나들이
담배를 끊으며-정든 파이프에게
백팔공덕가

번역시
拜新羅厭觸聖廟詩(譯)
新羅瑞巖和尙의 三段法語(一譯)
書懷(譯詩三首)
譯詩三篇

해제
작가 연보
작품 연보-아동문학 연보시조 연보

저자소개

저자 이동순(李東順, Lee, Dong-soon, 조선대 자유전공학부 교수)은 전남대학교에서 「조태일 시 연구」로 박사학위를 받았다. 저서로 『움직이는 시와 상상력』, 『광주전남의 숨은 작가들』이 있으며, 편저로 『조태일 전집』, 『박흡 문학전집』, 『목일신 전집』, 『목일신 동요곡집』, 『정태병 전집』, 『정태병 동화집』, 『땅의 노래』가 있다.

도서소개

『조종현 전집』은 소설가 조정래 선생의 아버지이자 승려, 동요작가이자 동시에 시조시인이었던 조종현의 작품들을 모았다. 이 전집은 총 2권으로 구성되었다. 작품은 발표된 순서대로 정리하였으며, 서지를 밝혔다. 생전에 발행했던 시집 4권에 실린 작품을 정본으로 삼았으며 발표 당시의 원문을 그대로 옮겨 실었으며, 제목이 바뀐 경우와 시집에 수록된 작품은 별도 표기했다.

교환 및 환불안내

도서교환 및 환불
  • ㆍ배송기간은 평일 기준 1~3일 정도 소요됩니다.(스프링 분철은 1일 정도 시간이 더 소요됩니다.)
  • ㆍ상품불량 및 오배송등의 이유로 반품하실 경우, 반품배송비는 무료입니다.
  • ㆍ고객님의 변심에 의한 반품,환불,교환시 택배비는 본인 부담입니다.
  • ㆍ상담원과의 상담없이 교환 및 반품으로 반송된 물품은 책임지지 않습니다.
  • ㆍ이미 발송된 상품의 취소 및 반품, 교환요청시 배송비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 ㆍ반품신청시 반송된 상품의 수령후 환불처리됩니다.(카드사 사정에 따라 카드취소는 시일이 3~5일이 소요될 수 있습니다.)
  • ㆍ주문하신 상품의 반품,교환은 상품수령일로 부터 7일이내에 신청하실 수 있습니다.
  • ㆍ상품이 훼손된 경우 반품 및 교환,환불이 불가능합니다.
  • ㆍ반품/교환시 고객님 귀책사유로 인해 수거가 지연될 경우에는 반품이 제한될 수 있습니다.
  • ㆍ스프링제본 상품은 교환 및 환불이 불가능 합니다.
  • ㆍ군부대(사서함) 및 해외배송은 불가능합니다.
  • ㆍ오후 3시 이후 상담원과 통화되지 않은 취소건에 대해서는 고객 반품비용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반품안내
  • 마이페이지 > 나의상담 > 1 : 1 문의하기 게시판 또는 고객센터 1800-7327
교환/반품주소
  • 경기도 파주시 문발로 211 1층 / (주)북채널 / 전화 : 1800-7327
  • 택배안내 : CJ대한통운(1588-1255)
  • 고객님 변심으로 인한 교환 또는 반품시 왕복 배송비 5,000원을 부담하셔야 하며, 제품 불량 또는 오 배송시에는 전액을 당사에서부담 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