장바구니 담기 close

장바구니에 상품을 담았습니다.

러시아문서 번역집 24

러시아문서 번역집 24

  • 한희정
  • |
  • 선인
  • |
  • 2015-06-30 출간
  • |
  • 596페이지
  • |
  • 152 X 225 X 35 mm
  • |
  • ISBN 9788959339044
판매가

45,000원

즉시할인가

43,650

배송비

무료배송

(제주/도서산간 배송 추가비용:3,000원)

수량
+ -
총주문금액
43,650

※ 스프링제본 상품은 반품/교환/환불이 불가능하므로 신중하게 선택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출판사서평

[책소개]

이 책은 동국대학교 대외교류연구원에서 2009년에서 2013년까지 4년간 한국연구재단의 지원을 받아 연구한 《러시아문서보관소 소장 근대 한국사회 관련 자료번역·요약·주해 및 DB구축》사업의 성과 중 4차년도의 결과물을 간행한 것이다. 이번 4차년도에 발간되는 여섯 권은 한국민족운동 관련 문서 중 코민테른 관계문서, 1937년 고려인의 중앙아시아 강제이주와 관련된 문서 및 이주 이후 정착하는 과정을 정리한 문서가 대상이 되었다.
근대 한국사회 연구의 기초가 되는 동아시아 각국의 자료 중에서도 특히 러시아 자료는 한국학자들이 접근하기 힘들었다. 냉전기의 시대적 제한성은 러시아의 기초적 자료에 대한 접근 자체를 어렵게 했고, 그 결과 근대 한러관계의 경우 외국의 연구 성과에 의존하는 학문적 종속에서 벗어나지 못했다. 물론 러시아 자료는 한러관계만이 아니라 동아시아의 국제정세, 근대 한국의 정치 경제와 문화, 한인 이주민 문제, 한국민족운동 등 근대 한국사회의 이해를 위해 반드시 필요한 다양하고도 풍부한 내용을 담고 있다. 하지만 1990년 수교 이후에도 언어적 제약, 러시아 문서보관소의 폐쇄성, 자료 수집을 위한 인적·물적 부족 등은 러시아 자료의 활발한 이용을 어렵게 하고 학문적 발전을 저애했다. 각국 자료의 비판적 교차 검토를 통한 역사적 사실의 정확성과 보편성의 획득은 역사연구의 기초가 되어야 하나 러시아자료에 관한 한 여전히 현실적 한계가 있었던 것이다. 따라서 러시아 자료의 적극적 수집 정리와 국역화를 거쳐 자료에 대한 접근성 제고 및 언어적 한계의 극복은 한국학의 발전을 위해서 긴급히 요구되는 과제이다.
이를 위해 우리 연구팀은 러시아 18개 문서보관소의 한국관계 자료를 수집 정리했다. 연구팀이 러시아 현지에서 수집한 자료, 국내기관이나 개인 소장 자료 등 현재 한국에서 구할 수 있는 자료는 거의 모두 수집했다. 정리된 모든 자료를 대상으로 일일이 한국과 러시아 전공 교수들이 토론을 거친 후 한국관련 주요자료를 선별했다. 선별된 자료는 탈초 과정을 거쳐 오탈자를 정리하고 텍스트화했다.
그리고 텍스트화된 자료를 각자 분담하여 맡은 분량을 번역했다. 자료의 성격상 개인적 성과에 맡길 수 없어 번역 자료는 다시 팀 내부에서 원문을 재검토하는 교차검토의 과정을 거치면서 번역상의 오류를 최소화하려고 했다. 정확하고 엄밀한 번역이 요구되는 역사자료인 만큼 개인적 역량을 넘어 공동연구의 성과물로 만들려고 노력한 것이다. (머리말 中)

목차

제1부 문서 번역본
1. 카라탈 구역 한인들에 관하여
2. 카자흐스탄소비에트사회주의공화국 중앙위원회의 1938년 4월 8일자 '한인학교 재편' 결정의 시행 대책에 대하여
3. 1938년 4월 20일자 주위원회 사무국 의사록 №87 제1항 첨부문
4. 이주민들과의 문화교양사업에 대해
5. 한인 가구의 조직과 배치에 관하여
6. 한인에 대해
7. 1939년도 이주민 정착 대책에 관하여
8. 1939년도 카자흐스탄소비에트사회주의공화국 이주민을 위한 생활 및 생산 시설 계획
9. 1939년도 카자흐스탄소비에트사회주의공화국 이주민 정착 조직 및 생산 경비 예산
10. 교환증에 준해 이주민들에게 지급되는 마필대금에 대하여
11. 한인들에 관하여
12. 카자흐스탄 볼셰비키공산당 중앙위원회와 카자흐스탄소비에트사회주의공화국 인민위원소비에트로 보내는 구리예프 관구장들의 식량지원 요청 서한
13. 한인 이주민 기근에 관한 크질오르다 구역의 서신
14. 카자흐스탄소비에트사회주의공화국의 한인 이주민 정착 과정에 대한 보고서
15. 이주민에 대한 지원과 배치 대책
16. 이주민의 콜호스별 배치에 대해
17. 이주민 수송에 관하여
18. 이주민들에 대하여
19. 이주 한인 콜호스의 상황에 관하여
20. 구리예프 관구로 이주한 한인 배치의 실질적 대책에 대해
21. 한인들의 경제적 정착에 대하여
22. 한인 콜호스의 이주 어부 편성과 활용에 대하여
23. 소련 인민위원소비에트가 카자흐스탄 볼셰비키공산당 중앙위원회와 카자흐스탄소비에트사회주의공화국 인민위원소비에트에 보낸 전문
24. 한인들에 관하여
25. 알마아타 주와 크질오르다 주 한인 이주민들의 경제적 정착에 관한 사업 경과보고
26. 1939년도 이주민들의 경제적 정착 대책에 관하여
27. 이주 한인들의 경제적 정착에 대하여
28. 한인 콜호스 강화를 위한 몇 가지 대책에 관해
29. 카자흐스탄 볼셰비키공산당 중앙위원회 1938년 4월 8일자 민족학교 재편 결정 시행에 대하여
30. 청산된 야르무하메도프 솝호스의 가축을 한인 콜호스에 배정하는 것에 대하여
31. 한인 콜호스촌 건설과정에 대하여
32. 한인들의 배치·정착에 대한 카자흐스탄 볼셰비키공산당 중앙위원회와 인민위원소비에트의 1938년 3월 3일자 결정
33. 이주 한인들의 배치와 정착에 관하여
34. 한인 어부용 어구?어선 구입에 지급된 대출금 125만 루블 사용에 대하여
35. 트러스트 지도위원회 사업소의 한인 가구들에 대한 일자리 제공에 대하여
36. 한인학교의 조직 결산에 대하여
37. 청산된 3번 솝호스와 옛 2번 솝호스 ORS 부지를 기반으로 한 한인 콜호스 편성에 대하여
38. 민족학교 재편에 대하여
39. 카자흐스탄 볼셰비키공산당 중앙위원회 크질오르다 주 조직국 의사록
40. 크질오르다 주 한인 이주민의 배치와 생산조직에 대하여
41. 민족학교 재편에 대하여
42. 공산당원들의 개인 정보에 대하여
43. 이주 한인들의 배치와 정착에 관하여
44. 옛 크라스노아르메이스크 솝호스 경내 한인 가구 배치에 대하여
45. 1938년도 한인 이주민 콜호스에 대한 파종용 종자대부 제공에 대하여
46. 한인 이주 가구들의 가구 편성 과정에 대하여
47. 카라간다 주 텔마놉스키 구역 푸티 레니나 콜호스와 코민테른 콜호스에 대하여
48. 한인의 경제적 정착에 관한 카자흐스탄 볼셰비키공산당 중앙위원회와 카자흐스탄소비에트사회주의공화국 인민위원소비에트의 1938년 7월 27일자 결정 시행 대책에 대하여
49. 한인 콜호스들의 경제적 정착 과정에 대하여
50. 민족학교 재편에 대하여
51. 특별민족학교의 구역별, 학교별 재편 계획안
52. 유즈노카자흐스탄 주 콜호스 내 한인과 쿠르드인 이주민들을 위한 건립 과정에 대하여
53. 유즈노카자흐스탄 주 스베르들롭스크 구역 한인 콜호스에 대한 조사자료
54. 한인 이주민 정착의 점검에 대한 결론
55. 이주민 조직 편성 절차와 지구별 배치
56. 카자흐스탄소비에트사회주의공화국 농업인민위원부에 보내는 유즈노카자흐스탄 주토지과 보고서
57. 1939년 1월 1일 현재 유즈노카자흐스탄 주 콜호스로 이주한 한인들의 가구 배치에 관한 정보
58. 카자흐스탄소비에트사회주의공화국 서적출판총국에 보내는 한국어 서적에 관한 교육인민위원부의 서신
59. 한인 주민에 대한 편의 개선과 한인 콜호스의 조직 및 생산 강화 대책에 대하여
60. 이주민들의 경제적 정착에 대하여
61. 카자흐스탄소비에트사회주의공화국 인민위원소비에트와 카자흐스탄 볼셰비키공산당 중앙위원회의 이주민 경제 정착 대책에 관한 1939년 2월 17일자, 7월 16일자 결정의 시행 점검에 대하여
62. 이주민들의 경제적 정착 문제에 관한 카자흐스탄 볼셰비키공산당 중앙위원회와 카자흐스탄소비에트사회주의공화국 인민위원소비에트의 1939년 2월 17일자 결정 시행에 대하여
63. 1939년도 이주 한인들의 경제적 정착 대책에 관하여
64. 카자흐스탄 볼셰비키공산당 중앙위원회와 인민위원소비에트의 이주민 경제 정착에 관한 1939년 2월 17일자 결정과, 본 사안에 대한 주위원회의 3월 25일 및 6월 10일자 결정 시행 과정에 대하여
65. 한국어 서적 검증위원회 설치에 대하여
66. 이주민들의 경제적 정착 결과에 관한 이주관리국 보고서의 승인에 대하여
67. 카자흐스탄볼셰비키공산당 중앙위원회 특수부 앞
68. 이주 한인들의 경제적 정착에 관한 카자흐스탄소비에트사회주의공화국 인민위원소비에트와 카자흐스탄 볼셰비키공산당 중앙위원회 결정의 시행 점검에 대하여
69. 1939년도 이주민들의 경제적 정착 대책에 관하여
70. 공화국 학교 언어 수업에 대하여
71. 카자흐스탄소비에트사회주의공화국 콜호스의 이주민 수용에 관하여
72. 민족학교 재편에 대하여
73. 카자흐스탄 공산당 중앙위원회와 카자흐스탄소비에트사회주의공화국 인민위원소비에트에 보내는 카라간다 주 지도자들의 보고서
74. 코민테른 콜호스와 푸티 레니나 콜호스의 공산당원 합동 당회의 의사록 발췌문
75. 코민테른 콜호스와 푸티 레니나 콜호스의 공산당원 합동 당회의 결정
76. 카자흐스탄 공산당 카라간다 주위원회 및 시 노동자소비에트 집행위원회의 '텔마놉스키구역에서 유즈나야 주로 한인 이주민들을 이주시키는 것에 관한' 1940년 5월 9일자 보고서에 대한 인민위원소비에트 산하 이주분과장의 결론
77. 켈레롭스키 구역 내 한인 콜호스 상황에 대하여
78. 카자흐스탄 볼셰비키공산당 세베로카자흐스탄 주위원회 사무국의 1941년 2월 16일자 결정에 대한 발신 회람
79. 카자흐스탄 볼셰비키공산당 세베로카자흐스탄 주위원회 비서 니콜라예프 동무에게
80. 카자흐스탄소비에트사회주의공화국의 한인 가구 배치계획
81. 카자흐스탄소비에트사회주의공화국의 한인 가구 배치계획

제2부 문서 탈초본
1. АП РК,ф.8,оп.1,д.634,л.108.
2. АП РК,ф.8,оп.1,д.773,лл.86-87.
3. АП РК,ф.8,оп.1,д.773,лл.115-119.
4. АП РК,ф.8,оп.1,д.779,лл.135-137.
5. АП РК,ф.708,оп.1,д.1-а,лл.6-7.
6. АП РК,ф.708,оп.1,д.1-а,лл.9-11.
7. АП РК,ф.708,оп.1,д.1-а,лл.14-22.
8. АП РК,ф.708,оп.1,д.1-а,л.23.
9. АП РК,ф.708,оп.1,д.1-a,л.24
10. АП РК,ф.708,оп.1,д.1-a,л.51.
11. АП РК,ф.708,оп.1,д.45,лл.116-117.
12. АП РК,ф.708,оп.1,д.57,л.11.
13. АП РК,ф.708,оп.1,д.57,л.15.
14. АП РК,ф.708,оп.1,д.69,лл.10-30.
15. АП РК,ф.708,оп.1,д.325,лл.160-161.
16. АП РК,ф.708,оп.1,д.325,лл.162-163.
17. АП РК,ф.708,оп.1,д.325,л.164.
18. АП РК,ф.708,оп.1,д.326,л.54.
19. АП РК,ф.708,оп.1,д.326,л.91.
20. АП РК,ф.708,оп.1,д.372,лл.168-171.
21. АП РК,ф.708,оп.1,д.372,л.224.
22. АП РК.ф.708,оп.1,д.372,л.227.
23. АП РК,ф.708,оп.2/1,д.98,л.60.
24. АП РК,ф.708,оп.2/1,д.128,лл.257-260.
25. АП РК,ф.708,оп.2/1,д.166,лл.12-15.
26. П РК,ф.708,оп.2/1,д.410,лл.185-187.
27. АП РК,ф.708,оп.2/1,д.541,лл.68-70.
28. АП РК,ф.708,оп.2/1,д.541,лл.194-195.
29. АП РК,ф.708,оп.2/1,д.542,лл.34-35.
30. АП РК,ф.708,оп.2/1,д.542,лл.101-102.
31. АП РК,ф.708,оп.2/1,д.544,лл.49-50.
32. АП РК,ф.708,оп.2/1,д.570,л.80.
33. АП РК,ф.708,оп.2/1,д.570,лл.107-109.
34. АП РК,ф.708,оп.2/1,д.570,л.153.
35. АП РК,ф.708,оп.2/1,д.570,л.250.
36. АП РК,ф.708,оп.2/1,д.577,л.52.
37. АП РК,ф.708,оп.2/1,д.589,лл.179-180.
38. АП РК,ф.708,оп.2/1,д.580,лл.183-184.
39. АП РК,ф.708,оп.2/1,д.596,л.16.
40. АП РК,ф.708,оп.2/1,д.596,лл.20-23.
41. АП РК,ф.708,оп.2/1,д.596,лл.71-72.
42. АП РК,ф.708,оп.2/1,д.601,лл.209-210.
43. АП РК,ф.708,оп.2/1,д.620,лл.4-6.
44. АП РК,ф.708,оп.2/1,д.620,лл.112-114.
45. АП РК,ф.708,оп.2/1,д.620,лл.128-129.
46. АП РК,ф.708,оп.2/1,д.622,лл.62-64.
47. АП РК,ф.708,оп.4/1,д.1152,лл.103-104.
48. АП РК,ф.708,оп.2/1,д.623,лл.71-73.
49. АП РК,ф.708,оп.2/1,д.624,лл.20-21.
50. АП РК,ф.708,оп.2/1,д.639,лл.78-79.
51. АП РК,ф.708,оп.2/1,д.639,лл.81-84.
52. АП РК,ф.708,оп.2/1,д.640,лл.48-49.
53. АП РК,ф.708,оп.2/1,д.957,лл.3-5.
54. АП РК,ф.708,оп.2/1,д.957,лл.17-25.
55. АП РК,ф.708,оп.2/1,д.957,лл.46-79.
56. АП РК,ф.708,оп.2/1,д.969,лл.125-128.
57. АП РК,ф.708,оп.2/1,д.969,лл.129-130.
58. АП РК,ф.708,оп.3/1,д.147,лл.255-256.
59. АП РК,ф.708,оп.3/1,д.383,лл.12-13.
60. АП РК,ф.708,оп.3/1,д.387,лл.29-31.
61. АП РК,ф.708,оп.3/1,д.411,лл.250-254.
62. АП РК,ф.708,оп.3/1,д.427,лл.258-259.
63. АП РК,ф.708,оп.3/1,д.437,лл.278-288.
64. АП РК,ф.708,оп.3/1,д.439,лл.95-97.
65. АП РК,ф.708,оп.3/1,д.439,лл.123-124.
66. АП РК,ф.708,оп.3/1,д.441,лл.163-166.
67. АП РК.ф.708,оп.3/1,д.442,л.15.
68. АП РК,ф.708,оп.3/1,д.451,лл.152-154.
69. АП РК,ф.708,оп.3/1,д.496,лл.2-7.
70. АП РК,ф.708,оп.4/1,д.195,л.254.
71. АП РК,ф.708,оп.4/1,д.1152,лл.37-39.
72. АП РК,ф.708,оп.2/1,д.622,лл.103-104.
73. АП РК,ф.708,оп.4/1,д.1152,лл.120-121.
74. АП РК,ф.708,оп.4/1,д.1152,лл.151-154.
75. АП РК,ф.708,оп.4/1,д.1152,лл.155-157.
76. АП РК,ф.708,оп.4/2,д.1152,лл.105-108.
77. АП РК,ф.708,оп.5/2,д.79,лл.3-4.
78. АП РК,ф.708,оп.5/2,д.79,л.5.
79. АП РК.ф.708,оп.5/2,д.79,л.7.
80. ЦГАНИ РК,ф.708,оп.21,д.190,л.222.
81. ЦГАНИ РК,ф.708,оп.21,д.190,л.223.

저자소개

저자 한의정은 동국대학교 대외교류연구원 연구원.
역서로 『러시아문서 번역집 17: 근대한러관계연구』(2014)가 있으며 한인 이주, 러시아 민족의 언어와 문화에 대해 연구 중이다.

도서소개

이 책은 동국대학교 대외교류연구원에서 2009년에서 2013년까지 4년간 한국연구재단의 지원을 받아 연구한 《러시아문서보관소 소장 근대 한국사회 관련 자료번역·요약·주해 및 DB구축》사업의 성과 중 4차년도의 결과물을 간행한 것이다. 이번 4차년도에 발간되는 여섯 권은 한국민족운동 관련 문서 중 코민테른 관계문서, 1937년 고려인의 중앙아시아 강제이주와 관련된 문서 및 이주 이후 정착하는 과정을 정리한 문서가 대상이 되었다.

교환 및 환불안내

도서교환 및 환불
  • ㆍ배송기간은 평일 기준 1~3일 정도 소요됩니다.(스프링 분철은 1일 정도 시간이 더 소요됩니다.)
  • ㆍ상품불량 및 오배송등의 이유로 반품하실 경우, 반품배송비는 무료입니다.
  • ㆍ고객님의 변심에 의한 반품,환불,교환시 택배비는 본인 부담입니다.
  • ㆍ상담원과의 상담없이 교환 및 반품으로 반송된 물품은 책임지지 않습니다.
  • ㆍ이미 발송된 상품의 취소 및 반품, 교환요청시 배송비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 ㆍ반품신청시 반송된 상품의 수령후 환불처리됩니다.(카드사 사정에 따라 카드취소는 시일이 3~5일이 소요될 수 있습니다.)
  • ㆍ주문하신 상품의 반품,교환은 상품수령일로 부터 7일이내에 신청하실 수 있습니다.
  • ㆍ상품이 훼손된 경우 반품 및 교환,환불이 불가능합니다.
  • ㆍ반품/교환시 고객님 귀책사유로 인해 수거가 지연될 경우에는 반품이 제한될 수 있습니다.
  • ㆍ스프링제본 상품은 교환 및 환불이 불가능 합니다.
  • ㆍ군부대(사서함) 및 해외배송은 불가능합니다.
  • ㆍ오후 3시 이후 상담원과 통화되지 않은 취소건에 대해서는 고객 반품비용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반품안내
  • 마이페이지 > 나의상담 > 1 : 1 문의하기 게시판 또는 고객센터 1800-7327
교환/반품주소
  • 경기도 파주시 문발로 211 1층 / (주)북채널 / 전화 : 1800-7327
  • 택배안내 : CJ대한통운(1588-1255)
  • 고객님 변심으로 인한 교환 또는 반품시 왕복 배송비 5,000원을 부담하셔야 하며, 제품 불량 또는 오 배송시에는 전액을 당사에서부담 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