장바구니 담기 close

장바구니에 상품을 담았습니다.

경북을 독립운동의 성지로 만든 사람들

경북을 독립운동의 성지로 만든 사람들

  • 김희곤
  • |
  • 선인
  • |
  • 2015-07-20 출간
  • |
  • 820페이지
  • |
  • 152 X 225 X 40 mm
  • |
  • ISBN 9788959339075
판매가

65,000원

즉시할인가

63,050

배송비

무료배송

(제주/도서산간 배송 추가비용:3,000원)

수량
+ -
총주문금액
63,050

※ 스프링제본 상품은 반품/교환/환불이 불가능하므로 신중하게 선택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출판사서평

[책소개]

요즘 선비라는 말이 지천으로 쓰인다. 선비가 어떤 사람인지 제대로 알지도 못하면서, 자기 동네가 선비의 고장이라고 목청을 돋운다. 정말 그럴까?
누가 더 옳은 길을 걸었는지, 또는 어느 쪽이 더 훌륭한 삶을 살았는지 찾아보는 기준은 ‘시대적인 과제를 무엇으로 인식했는지’라는 문제에서 비롯된다고 생각한다. 먹고 사는 생존 문제가 먼저인가 아니면 인간답게 권리를 갖고 사는 것이 더 우선인가를 따질 수 있듯이, 모든 시대는 나름대로 가장 기본적이자 가장 먼저 해결해야 할 과제를 갖기 마련이다. 나라가 쓰러져가고, 또 무너졌을 때, 그 누구보다 앞장서고 강력한 투쟁을 펼친 역사를 찾노라면 경북 사람들의 모습이 가장 두드러진다.
경북 사람을 자랑하려는 것이 주제가 아니다. 지금 우리가 무엇을 해야 하는지, 또 내일 우리 후손이 걸어야 하는 바른 길이 무엇인가를 말하려는 것이 초점이다. 그런 길을 걸었던 분들을 찾아가서, 우리가 걸어야 할 길, 나아가야 할 길을 물으려는 것이 이 주제에 매달려온 이유다. 이들이야말로 그 시대의 선비요, 오늘의 선비가 가야할 길을 말해주는 사람들이기 때문이다.
그러한 내용을 찾고 가지런히 다듬는 일에 매달려오는 동안 한국 독립운동 51년사에서 경북 사람들이 펼친 독립운동을 주제로 논문을 쓴 것이 수십 편을 넘는다. 그 가운데 독립운동 단체와 사건을 제외하고, 인물을 주제로 다룬 논문만을 추리고 짧은 평전까지 몇 편 포함하니 28편이 된다.
경북을 독립운동의 성지로 만든 사람들이란 주제로 서장을 내세운 뒤, 글을 5장으로 나눈다. 제1장은 의병에 참가한 인물 5명과 한 문중을 다룬 6편, 제2장은 혁신유림과 나라 밖으로 망명하여 독립운동을 펼친 인물 9명을 다룬 8편, 제3장은 여성 독립운동가와 교육운동가 3명을 다룬 3편, 제4장은 사회주의로 민족해방을 추구한 8명을 다룬 9편, 마지막 제5장은 아나키스트 독립운동가 2명을 다룬 2편으로 구성한다. (책을 펴내며 中)

목차

◆ 제1부
1장 西山 金興洛(1827~1899)의 의병항쟁
2장 안동의병장 拓菴 金道和(1825~1912)의 항일투쟁
3장 순절지사 이중언의 생애와 자료
4장 바다를 밟고 들어가 순국한 의병장 김도현
5장 신돌석 의진의 활동과 성격
6장 定齋 종가의 3대 독립운동과 역사적 위상

◆ 제2부
7장 石洲 李相龍의 독립운동과 사상
8장 東山 柳寅植의 생애와 독립운동
9장 金東三 : 만주벌 호랑이, 통합운동의 화신
10장 김원식과 김연환 : 나라 밖에서 활동한 금계마을 출신 독립운동가
11장 權奇鎰의 독립운동과 가문의 쇠락
12장 朴尙鎭(1884~1921)의 생애와 자료
13장 김창숙 : 올곧고 서릿발 같은 삶을 살다간 독립운동가
14장 권도인 : 하와이 노동이민자의 독립운동

◆ 제3부
15장 金洛(1862~1929) : 안동 3대 독립운동 가문의 안주인
16장 南慈賢 : 만주를 울린 열혈여장부
17장 崔松雪堂(1855~1939) 연구

◆ 제4부
18장 김시현 : 한 순간도 꺾이지 않은 항일투쟁의 삶
19장 김재봉, 조선공산당 초대 책임비서
20장 李準泰 : 1920년대 勞農運動을 중심으로
21장 金南洙(1899~1945)와 안동지역 사회주의운동
22장 권오설(1897~1930), 그의 생애와 기록
23장 윤자영(1894~1938)의 생애와 민족운동
24장 이육사의 민족문제 인식
25장 이육사의 독립운동에 대한 연구성과와 과제
26장 金尙德의 독립운동

◆ 제5부
27장 아나키스트 柳林의 독립운동
28장 아나키스트 嚴舜奉의 항일투쟁

저자소개

저자 김희곤은
경북대학교 사학과, 동 대학원 졸업, 문학박사
1988~현재 : 안동대학교 교수
1996~1997 : 하버드대학교 방문학자
2004~2006 : 독립기념관 한국독립운동사연구소장
2005~2011 : 대한민국임시정부자료집편찬위원장
2010~2012 : 한국근현대사학회장
2006~2014.1 : 안동독립운동기념관장
2014~현재 : 경상북도독립운동기념관장

-주요저서
『경북유림과 독립운동』, 경인문화사, 2015.
『임시정부 시기의 대한민국 연구』, 지식산업사, 2015.
『이준태의 삶, 민족해방의 길』, 국학자료원, 2015.
『독립운동가 일산 김성로의 삶과 기록』, 역사공간, 2014.
『독립운동의 큰 울림, 안동 전통마을』, 예문서원, 2014.
『김시현: 항일투쟁에서 반독재투쟁까지』, 지식산업사, 2013.
『조성환: 독립군을 기르고 광복군을 조직한 군사전문가』, 역사공간, 2013.
『안동 내앞마을, 항일 독립운동의 성지』, 지식산업사, 2012.
『순국지사 권기일과 후손의 고난』, 선인, 2011.
『안동사람들이 만주에서 펼친 항일투쟁』, 지식산업사, 2011.
『이육사평전』, 푸른역사, 2010.
『권오설 1?2』, 푸른역사, 2010.
『국역 고등경찰요사』(역주), 선인, 2010.
『만주벌 호랑이 김동삼』, 지식산업사, 2009.
『제대로 본 대한민국 임시정부』(공저), 지식산업사, 2009.
『안동사람들의 항일투쟁』, 지식산업사, 2007.
『조선공산당 초대 책임비서 김재봉』, 경인문화사, 2006.
『순절지사 이중언』(공저), 경인문화사, 2006.
『잊혀진 사회주의운동가 이준태』, 국학자료원, 2003.
『대한민국임시정부 연구』, 지식산업사, 2004.
『신돌석: 백년만의 귀향』, 푸른역사, 2001 외 다수

도서소개

『경북을 독립운동의 성지로 만든 사람들』은 경북을 독립운동의 성지로 만든 사람들이란 주제로 서장을 내세운 뒤, 글을 5장으로 나누어 구성하였다. 제1장은 의병에 참가한 인물 5명과 한 문중을 다룬 6편, 제2장은 혁신유림과 나라 밖으로 망명하여 독립운동을 펼친 인물 9명을 다룬 8편, 제3장은 여성 독립운동가와 교육운동가 3명을 다룬 3편, 제4장은 사회주의로 민족해방을 추구한 8명을 다룬 9편, 마지막 제5장은 아나키스트 독립운동가 2명을 다룬 2편이 수록되어 있다.

교환 및 환불안내

도서교환 및 환불
  • ㆍ배송기간은 평일 기준 1~3일 정도 소요됩니다.(스프링 분철은 1일 정도 시간이 더 소요됩니다.)
  • ㆍ상품불량 및 오배송등의 이유로 반품하실 경우, 반품배송비는 무료입니다.
  • ㆍ고객님의 변심에 의한 반품,환불,교환시 택배비는 본인 부담입니다.
  • ㆍ상담원과의 상담없이 교환 및 반품으로 반송된 물품은 책임지지 않습니다.
  • ㆍ이미 발송된 상품의 취소 및 반품, 교환요청시 배송비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 ㆍ반품신청시 반송된 상품의 수령후 환불처리됩니다.(카드사 사정에 따라 카드취소는 시일이 3~5일이 소요될 수 있습니다.)
  • ㆍ주문하신 상품의 반품,교환은 상품수령일로 부터 7일이내에 신청하실 수 있습니다.
  • ㆍ상품이 훼손된 경우 반품 및 교환,환불이 불가능합니다.
  • ㆍ반품/교환시 고객님 귀책사유로 인해 수거가 지연될 경우에는 반품이 제한될 수 있습니다.
  • ㆍ스프링제본 상품은 교환 및 환불이 불가능 합니다.
  • ㆍ군부대(사서함) 및 해외배송은 불가능합니다.
  • ㆍ오후 3시 이후 상담원과 통화되지 않은 취소건에 대해서는 고객 반품비용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반품안내
  • 마이페이지 > 나의상담 > 1 : 1 문의하기 게시판 또는 고객센터 1800-7327
교환/반품주소
  • 경기도 파주시 문발로 211 1층 / (주)북채널 / 전화 : 1800-7327
  • 택배안내 : CJ대한통운(1588-1255)
  • 고객님 변심으로 인한 교환 또는 반품시 왕복 배송비 5,000원을 부담하셔야 하며, 제품 불량 또는 오 배송시에는 전액을 당사에서부담 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