장바구니 담기 close

장바구니에 상품을 담았습니다.

여순사건 자료집 2 중앙 일간지, 국외 신문 통신 편

여순사건 자료집 2 중앙 일간지, 국외 신문 통신 편

  • 국립순천대학교 지리산권문화연구원 여순연구센터 (기
  • |
  • 선인
  • |
  • 2015-07-31 출간
  • |
  • 750페이지
  • |
  • 188 X 257 mm /1732g
  • |
  • ISBN 9788959338801
판매가

80,000원

즉시할인가

77,600

배송비

무료배송

(제주/도서산간 배송 추가비용:3,000원)

수량
+ -
총주문금액
77,600

이 상품은 품절된 상품입니다

※ 스프링제본 상품은 반품/교환/환불이 불가능하므로 신중하게 선택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출판사서평

여순사건은 제주도 4.3사건, 한국전쟁과 더불어 한국현대사에서 중요한 위치를 차지하는 사건입니다. 여순사건이 일어난 지 올해 67년이 되었지만 여순사건에 대한 연구나 진상규명은 미흡한 실정입니다. 그동안 여순사건 진상규명을 위한 법을 제정하려는 노력이 지역에서 여러 차례 진행되었습니다. 2001년에 김충조 의원의 대표 발의(국회의원 33명 찬성)로 ‘여수ㆍ순천 10ㆍ19사건 진상규명 및 사상자 명예회복을 위한 특별법안’ 발의가 이루어졌습니다.
2010년에 종료된 ‘진실ㆍ화해를 위한 과거사 정리 위원회’에서는 여순사건 과정에서 비무장 민간인이 집단 희생되고 일부 군인과 경찰 등 수천 명이 피해를 입은 것으로 결론을 내린 바 있습니다. 이러한 성과를 바탕으로 2011년에 김충조 의원이 ‘여수ㆍ순천 10ㆍ19사건 진상규명 및 희생자 명예회복 특별법’을 발의하였고, 2013년에 김성곤 등 여야 의원 16명이 여순사건 특별법을 다시 발의하였습니다. 2013년에 전남도의회는 ‘여수ㆍ순천 10ㆍ19사건 특별위원회’(위원장 윤문칠)를 구성하고 유가족 및 지역 사회단체 등 관련자들과 간담회, 심포지엄 등을 개최하여 정부의 적극적인 협조를 촉구하였습니다.
이처럼 여순사건 특별법이 발의되고 전남도의회와 여수시의회 등 시ㆍ도나 국회 차원에서 정부의 특별법 제정과 정부지원을 지속적으로 촉구하고 있습니다. 그러나 ‘여순사건 특별법’이 정치적 사회적 관심에도 국회 안전행정위원회에 상정된 채 장기 계류하고 있어 아직 입법화 단계를 거치지 못하고 있습니다. 이는 여순사건의 진상규명을 위해 필요한 기초적인 자료가 제대로 정리되어 있지 못하고, 관련 연구가 활성화되지 않아 시ㆍ도나 국회 차원에서 제기되고 있는 논의들을 내용적으로 충실히 뒷받침하지 못하고 있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거창양민학살사건 자료집』(7권), 『제주 4ㆍ3사건 자료집』(12권), 『5ㆍ18광주민주화운동 자료총서』(50권) 등과 같이 여순사건 연구와 진상규명을 위한 체계적이고 포괄적인 자료집의 발간이 절실히 필요합니다. 그동안 ‘여순사건 자료집’이라는 서명으로 출간된 기존 자료집들은 특정한 일부 자료를 모은 한계를 지니고 있어서, 여순사건 전반에 걸쳐 관련 자료를 수집 정리한 사례는 없습니다.
여순사건 자료집은 여순사건에 관한 1차 사료를 총정리함으로써 연구자의 학문적 접근을 용이하게 해 연구의 활성화로 진상규명에 기여할 수 있습니다. 이번에는 1차적으로 여순사건과 관련된 신문기사를 망라하여 『중앙 일간지 편』 1권, 『중앙 일간지, 국외 신문ㆍ통신 편』 1권, 『지방 일간지 편』 2권 등 모두 4권으로 출판하게 되었습니다. 『중앙 일간지, 국외 신문ㆍ통신 편』에는 처음 공개되는 일본 『建設通信』에 실린 기사도 포함합니다. 『建設通信』은 일본에서 발간된 한국 관련 소식지로서, 남북한과 관련된 주요 뉴스를 게재하였습니다. 이 자료는 일본 사학자 히구치 유이치(桶口雄一) 선생이 제공해 주었습니다. 히구치 유이치 선생은 여순사건에 대한 연구가 전무했던 1960∼70년대에 두 편의 여순사건 논문을 발표한 여순사건 연구의 선각자입니다. 귀중한 자료를 제공해주신 히구치 유이치 선생님에게 감사의 뜻을 표합니다. 또한 미국 신문으로는 『뉴욕타임즈(New York Times)』, 『워싱턴 포스트(Washington Post)』, 『크리스천 사이언스 모니터(Christian Science Monitor)』 등 세 개 신문에 실린 여순사건 관련 기사를 수록했습니다. 이후에도 여순사건과 관련된 해외자료와 국내 구술자료 등을 자료집으로 계속 발간하려고 합니다.
이러한 여순사건 자료집의 발간은 전국 어디에서나 여순사건에 대해 손쉽게 접근하고 정확하게 정보를 확인할 수 있게 해줌으로써 여순사건의 지역적 성격을 극복하고 국가적인 공공성을 확보하기 위한 토대 구축에 기여할 것입니다. 또한 여순사건에 대한 학술연구분야의 활성화는 여순사건 진상규명과 관련된 정치적 의혹을 불식시키고 순수한 대중적 관심의 환기와 고조에도 기여할 수 있을 것입니다. (발간사 中)

목차

Ⅰ. 1949년 1월
1. 1월 1일 경향신문
2. 1월 4일 동아일보
3. 1월 4일 서울신문
4. 1월 5일 경향신문
5. 1월 5일 동아일보
6. 1월 6일 동아일보
7. 1월 9일 경향신문
8. 1월 9일 서울신문
9. 1월 9일 한성일보
10. 1월 11일 경향신문
11. 1월 11일 조선중앙일보
12. 1월 12일 동아일보
13. 1월 12일 한성일보
14. 1월 14일 경향신문
15. 1월 15일 경향신문
16. 1월 15일 동아일보
17. 1월 18일 동아일보
18. 1월 19일 경향신문
19. 1월 19일 대동신문
20. 1월 19일 동아일보
21. 1월 19일 서울신문
22. 1월 20일 동아일보
23. 1월 21일 동아일보
24. 1월 22일 경향신문
25. 1월 22일 동아일보
26. 1월 22일 조선중앙일보
27. 1월 23일 경향신문
28. 1월 23일 동아일보
29. 1월 23일 연합신문
30. 1월 25일 경향신문
31. 1월 25일 대동신문
32. 1월 25일 동아일보
33. 1월 27일 동아일보
34. 1월 28일 동아일보
35. 1월 29일 경향신문
36. 1월 29일 동아일보
37. 1월 29일 서울신문

Ⅱ. 1949년 2월
1. 2월 1일 경향신문
2. 2월 1일 동아일보
3. 2월 1일 자유신문
4. 2월 2일 경향신문
5. 2월 3일 경향신문
6. 2월 5일 경향신문
7. 2월 5일 동아일보
8. 2월 5일 서울신문
9. 2월 5일 자유신문
10. 2월 5일 조선일보
11. 2월 6일 경향신문
12. 2월 7일 자유신문
13. 2월 8일 경향신문
14. 2월 8일 대동신문
15. 2월 8일 연합신문
16. 2월 9일 연합신문
17. 2월 9일 조선일보
18. 2월 10일 대동신문
19. 2월 11일 대동신문
20. 2월 11일 서울신문
21. 2월 13일 대동신문
21. 2월 17일 경향신문
22. 2월 17일 동아일보
23. 2월 18일 서울신문
24. 2월 19일 동아일보
25. 2월 23일 경향신문
26. 2월 23일 동아일보
27. 2월 23일 서울신문
28. 2월 25일 경향신문
29. 2월 26일 동아일보

Ⅲ. 1949년 3월
1. 3월 1일 경향신문
2. 3월 4일 경향신문
3. 3월 5일 경향신문
4. 3월 5일 동아일보
5. 3월 8일 동아일보
6. 3월 8일 자유신문
7. 3월 8일 조선중앙일보
8. 3월 9일 경향신문
9. 3월 10일 서울신문
10. 3월 13일 동아일보
11. 3월 16일 동아일보
12. 3월 17일 경향신문
13. 3월 17일 서울신문
14. 3월 18일 경향신문
15. 3월 20일 동아일보
16. 3월 23일 경향신문
17. 3월 24일 동아일보
18. 3월 25일 동아일보
19. 3월 26일 동아일보
20. 3월 27일 서울신문

Ⅳ. 1949년 4월
1. 4월 1일 동아일보
2. 4월 2일 경향신문
3. 4월 3일 연합신문
4. 4월 5일 동아일보
5. 4월 6일 경향신문
6. 4월 6일 서울신문
7. 4월 7일 연합신문
8. 4월 8일 경향신문
9. 4월 8일 동아일보
10. 4월 10일 경향신문
11. 4월 10일 동아일보
12. 4월 12일 경향신문
13. 4월 12일 서울신문
14. 4월 13일 동아일보
15. 4월 13일 조선중앙일보
16. 4월 17일 동아일보
17. 4월 19일 경향신문
18. 4월 19일 서울신문
19. 4월 20일 경향신문
20. 4월 22일 서울신문
21. 4월 23일 경향신문
22. 4월 23일 자유신문
23. 4월 24일 자유신문
24. 4월 24일 조선일보
25. 4월 25일 동아일보
26. 4월 26일 경향신문
27. 4월 27일 서울신문
28. 4월 28일 경향신문
29. 4월 28일 조선중앙일보
30. 4월 30일 경향신문

Ⅴ. 1949년 5월
1. 5월 1일 동아일보
2. 5월 1일 자유신문
3. 5월 5일 동아일보
4. 5월 6일 동아일보
5. 5월 7일 동아일보
6. 5월 8일 동아일보
7. 5월 10일 경향신문
8. 5월 12일 경향신문
9. 5월 12일 동아일보
10. 5월 14일 경향신문
11. 5월 14일 자유신문
12. 5월 14일 조선중앙일보
13. 5월 16일 경향신문
14. 5월 19일 경향신문
15. 5월 19일 평화일보
16. 5월 26일 연합신문
17. 5월 27일 경향신문
18. 5월 28일 경향신문
19. 5월 28일 동아일보

Ⅵ. 1949년 6월
1. 6월 1일 동아일보
2. 6월 1일 평화일보
3. 6월 2일 경향신문
4. 6월 3일 경향신문
5. 6월 5일 경향신문
6. 6월 6일 동아일보
7. 6월 16일 경향신문
8. 6월 17일 경향신문
9. 6월 17일 동아일보
10. 6월 20일 경향신문
11. 6월 24일 경향신문
12. 6월 26일 경향신문
13. 6월 27일 동아일보

Ⅶ. 1949년 7월
1. 7월 2일 동아일보
2. 7월 3일 경향신문
3. 7월 10일 경향신문
4. 7월 10일 자유신문
5. 7월 13일 동아일보
6. 7월 15일 동아일보
7. 7월 17일 경향신문
8. 7월 18일 동아일보
9. 7월 23일 동아일보
10. 7월 26일 경향신문
11. 7월 27일 경향신문

Ⅷ. 1949년 8월
1. 8월 4일 경향신문
2. 8월 8일 서울신문
3. 8월 13일 동아일보
4. 8월 15일 동아일보
5. 8월 18일 경향신문
6. 8월 18일 동아일보
7. 8월 19일 동아일보
8. 8월 21일 경향신문
9. 8월 26일 경향신문

Ⅸ. 1949년 9월
1. 9월 3일 경향신문
2. 9월 6일 경향신문
3. 9월 10일 동아일보
4. 9월 16일 경향신문
5. 9월 17일 서울신문
6. 9월 18일 경향신문
7. 9월 18일 서울신문
8. 9월 20일 서울신문
9. 9월 24일 경향신문
10. 9월 30일 동아일보

Ⅹ. 1949년 10월
1. 10월 1일 경향신문
2. 10월 1일 동아일보
3. 10월 1일 서울신문
4. 10월 2일 경향신문
5. 10월 2일 동아일보
6. 10월 2일 서울신문
7. 10월 2일 한성일보
8. 10월 5일 동아일보
9. 10월 6일 동아일보
10. 10월 8일 경향신문
11. 10월 10일 경향신문
12. 10월 11일 경향신문
13. 10월 11일 동아일보
14. 10월 12일 동아일보
15. 10월 13일 경향신문
16. 10월 17일 경향신문
17. 10월 18일 동아일보
18. 10월 18일 서울신문
19. 10월 19일 경향신문
21. 10월 19일 동아일보
22. 10월 19일 서울신문
23. 10월 20일 경향신문
24. 10월 20일 동아일보
25. 10월 20일 서울신문
26. 10월 21일 경향신문
27. 10월 22일 경향신문
28. 10월 22일 동아일보
29. 10월 23일 경향신문
30. 10월 23일 동아일보
31. 10월 23일 서울신문
32. 10월 23일 서울신문
33. 10월 24일 동아일보
34. 10월 25일 동아일보
35. 10월 27일 국도신문
36. 10월 27일 서울신문
37. 10월 27일 한성일보
38. 10월 31일 동아일보

ⅩⅠ. 1949년 11월
1. 11월 1일 동아일보
2. 11월 3일 동아일보
3. 11월 8일 동아일보
4. 11월 9일 동아일보
5. 11월 11일 동아일보
6. 11월 13일 경향신문
7. 11월 13일 동아일보
8. 11월 13일 자유신문
9. 11월 15일 경향신문
10. 11월 18일 동아일보

ⅩⅡ. 1949년 12월
1. 12월 1일 경향신문
2. 12월 2일 동아일보
3. 12월 11일 동아일보
4. 12월 12일 동아일보
5. 12월 13일 동아일보
6. 12월 13일 서울신문
7. 12월 15일 동아일보
8. 12월 16일 동아일보
9. 12월 16일 한성일보
10. 12월 17일 동아일보
11. 12월 18일 동아일보
12. 12월 19일 동아일보
13. 12월 22일 경향신문
14. 12월 24일 동아일보
15. 12월 27일 경향신문
16. 12월 27일 동아일보
17. 12월 30일 자유신문
18. 12월 31일 동아일보
20. 12월 31일 자유신문


ⅩⅢ. 국외 신문ㆍ통신

一. 투사신문
1. 투사신문 1948년 10월 22일
2. 투사신문 1948년 10월 27일
3. 투사신문 1948년 10월 28일
4. 투사신문 1948년 10월 29일
5. 투사신문 1948년 10월 30일
6. 투사신문 1948년 10월 31일
7. 투사신문 1948년 11월 4일
8. 투사신문 1948년 11월 6일
9. 투사신문 1948년 11월 7일
10. 투사신문 1948년 11월 9일
11. 투사신문 1948년 11월 11일
12. 투사신문 1948년 11월 12일
13. 투사신문 1948년 11월 13일
14. 투사신문 1948년 11월 14일
15. 투사신문 1948년 11월 16일
16. 투사신문 1948년 11월 18일
17. 투사신문 1948년 11월 19일
18. 투사신문 1948년 11월 20일
19. 투사신문 1948년 11월 21일
20. 투사신문 1948년 11월 23일
21. 투사신문 1948년 11월 24일
22. 투사신문 1948년 11월 25일
23. 투사신문 1948년 11월 26일
24. 투사신문 1948년 11월 28일
25. 투사신문 1948년 11월 29일
26. 투사신문 1948년 12월 2일
27. 투사신문 1948년 12월 5일
28. 투사신문 1948년 12월 5일
29. 투사신문 1948년 12월 7일
30. 투사신문 1948년 12월 9일
31. 투사신문 1948년 12월 10일
32. 투사신문 1948년 12월 11일
33. 투사신문 1948년 12월 12일
34. 투사신문 1948년 12월 18일
35. 투사신문 1948년 12월 22일
36. 투사신문 1948년 12월 23일
37. 투사신문 1948년 12월 24일
38. 투사신문 1948년 12월 26일
39. 투사신문 1948년 12월 28일
40. 투사신문 1948년 12월 29일
41. 투사신문 1948년 12월 30일
42. 투사신문 1948년 12월 31일

二. 朝日新聞
1. 1948년 10월 20일 朝日新聞
2. 1948년 10월 26일 朝日新聞
3. 1948년 10월 27일 朝日新聞

三. 建設通信
1. 1948년 11월 23일 建設通信
2. 1948년 11월 25일 建設通信
3. 1948년 11월 26일 建設通信
4. 1948년 12월 6일 建設通信
5. 1948년 12월 9일 建設通信
6. 1948년 12월 15일 建設通信
7. 1948년 12월 16일 建設通信
8. 1948년 12월 21일 建設通信
9. 1948년 12월 23일 建設通信
10. 1948년 12월 25일 建設通信
11. 1949년 1월 8일 建設通信
12. 1949년 1월 12일 建設通信
13. 1949년 1월 20일 建設通信
14. 1949년 1월 21일 建設通信
15. 1949년 1월 29일 建設通信
16. 1949년 1월 30일 建設通信
17. 1949년 2월 3일 建設通信
18. 1949년 2월 5일 建設通信
19. 1949년 2월 17일 建設通信
20. 1949년 2월 22일 建設通信
21. 1949년 2월 23일 建設通信

四. The New York Times
1. Oct 20, 1948; The New York Times pg. 3
2. Oct 21, 1948; The New York Times pg. 1
3. Oct 21, 1948; The New York Times pg. 15
4. Oct 22, 1948; The New York Times pg. 1
5. Oct 23, 1948; The New York Times pg. 5
6. Oct 24, 1948; The New York Times pg. 22
7. Oct 25, 1948; The New York Times pg. 12
8. Oct 26, 1948; The New York Times pg. 12
9. Oct 26, 1948; The New York Times pg. 30
10. Oct 27, 1948; The New York Times pg. 9
11. Oct 27, 1948; The New York Times pg. 28
12. Oct 28, 1948; The New York Times pg. 15
13. Oct 28, 1948; The New York Times pg. 30
14. Oct 29, 1948; The New York Times pg. 19
15. Nov 1, 1948; The New York Times pg. 3
16. Nov 22, 1948; The New York Times pg. 10
17. Dec 29, 1948; The New York Times pg. 1

五. The Washington Post
1. Oct 5, 1948; The Washington Post pg. 3
2. Oct 21, 1948; The Washington Post pg. 1
3. Oct 22, 1948; The Washington Post pg. 1
4. Oct 22, 1948; The Washington Post pg. 24
5. Oct 23, 1948; The Washington Post pg. 1
6. Oct 24, 1948; The Washington Post pg. M5
7. Oct 26, 1948; The Washington Post pg. 3
8. Oct 27, 1948; The Washington Post pg. 2
9. Oct 28, 1948; The Washington Post pg. 3
10. Oct 29, 1948; The Washington Post pg. 4
11. Nov 14, 1948; The Washington Post pg. M5
12. Dec 29, 1948; The Washington Post pg. 2

六. Christian Science Monitor
1. Oct 21, 1948; Christian Science Monitor pg. 14
2. Oct 22, 1948; Christian Science Monitor pg. 10
3. Oct 25, 1948; Christian Science Monitor pg. 1
4. Oct 26, 1948; Christian Science Monitor pg. 1
5. Oct 27, 1948; Christian Science Monitor pg. 1
6. Oct 30, 1948; Christian Science Monitor pg. 7
7. Nov 2, 1948; Christian Science Monitor pg. 7
8. Nov 16, 1948; Christian Science Monitor pg. 1

도서소개

여순사건은 제주도 4.3사건, 한국전쟁과 더불어 한국현대사에서 중요한 위치를 차지하는 사건이다. 정치적 사회적 관심에도에도 불구하고 '여순사건 특별법'은 국회 안전행정위원회에 상정된 채 장기 계류하고 있다. 이 책 [여순사건 자료집]은 여순사건에 관한 1차 사료를 총정리함으로써 연구자의 학문적 접근을 용이하게 해 연구의 활성화로 진상규명에 기여하고자 한 책이다. 책을 통해 여순사건에 대해 손쉽게 접근하고 정확하게 정보를 확인할 수 있게 해줌으로써 여순사건의 지역적 성격을 극복하고 국가적인 공공성을 확보하기 위한 토대 구축에 기여할 것이다.

교환 및 환불안내

도서교환 및 환불
  • ㆍ배송기간은 평일 기준 1~3일 정도 소요됩니다.(스프링 분철은 1일 정도 시간이 더 소요됩니다.)
  • ㆍ상품불량 및 오배송등의 이유로 반품하실 경우, 반품배송비는 무료입니다.
  • ㆍ고객님의 변심에 의한 반품,환불,교환시 택배비는 본인 부담입니다.
  • ㆍ상담원과의 상담없이 교환 및 반품으로 반송된 물품은 책임지지 않습니다.
  • ㆍ이미 발송된 상품의 취소 및 반품, 교환요청시 배송비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 ㆍ반품신청시 반송된 상품의 수령후 환불처리됩니다.(카드사 사정에 따라 카드취소는 시일이 3~5일이 소요될 수 있습니다.)
  • ㆍ주문하신 상품의 반품,교환은 상품수령일로 부터 7일이내에 신청하실 수 있습니다.
  • ㆍ상품이 훼손된 경우 반품 및 교환,환불이 불가능합니다.
  • ㆍ반품/교환시 고객님 귀책사유로 인해 수거가 지연될 경우에는 반품이 제한될 수 있습니다.
  • ㆍ스프링제본 상품은 교환 및 환불이 불가능 합니다.
  • ㆍ군부대(사서함) 및 해외배송은 불가능합니다.
  • ㆍ오후 3시 이후 상담원과 통화되지 않은 취소건에 대해서는 고객 반품비용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반품안내
  • 마이페이지 > 나의상담 > 1 : 1 문의하기 게시판 또는 고객센터 1800-7327
교환/반품주소
  • 경기도 파주시 문발로 211 1층 / (주)북채널 / 전화 : 1800-7327
  • 택배안내 : CJ대한통운(1588-1255)
  • 고객님 변심으로 인한 교환 또는 반품시 왕복 배송비 5,000원을 부담하셔야 하며, 제품 불량 또는 오 배송시에는 전액을 당사에서부담 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