장바구니 담기 close

장바구니에 상품을 담았습니다.

영남의 고고학

영남의 고고학

  • 영남고고학회
  • |
  • 사회평론
  • |
  • 2015-11-30 출간
  • |
  • 753페이지
  • |
  • 185 X 230 mm /1335g
  • |
  • ISBN 9791185617602
판매가

40,000원

즉시할인가

40,000

배송비

무료배송

(제주/도서산간 배송 추가비용:3,000원)

수량
+ -
총주문금액
40,000

※ 스프링제본 상품은 반품/교환/환불이 불가능하므로 신중하게 선택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출판사서평

최초의 지역고고학 개설서
이 책은 영남지역의 고고학 개설서이다. 구석기시대부터 조선시대까지 전 시기를 망라한 최초의 지역고고학 개설서로 우리나라의 지역고고학 연구에 한 획을 긋는 성과이며, 최근의 개설서 중 최신 발굴자료나 연구성과가 가장 잘 반영된 책이기도 하다. 집필은 대학과 박물관, 연구소, 발굴현장 등에서 활동하는 영남지역 연구자 60명의 공동 작업으로 이루어졌다. 10년 전인 2006년부터 간행되기 시작한 ‘영남문화재연구원 학술총서’ 열세 번째 권으로, 열두 권의 번역서에 이은 최초의 국내 연구자 집필서이다.

영남지역의 고고학 연구는 비단 영남지역뿐만 아니라 한반도와 동아시아 영역 연구에서 더 없이 중요하다. 한반도의 신석기시대 시기구분의 기초적인 작업이 이 지역에서 이루어졌을 뿐만 아니라, 국가 이전 단계에서 초기국가를 거쳐 신라와 가야라는 고대국가에 이르는 과정을 단절 없이 설명할 수 있는 많은 고고학적 성과가 축적된 곳이기 때문이다. 이 책은 이 같은 성과와 함께 통일신라시대, 고려시대, 조선시대의 연구성과까지 반영하여 고고학 연구의 시간적인 폭을 근세까지 넓히고 있다.

시기별로 7개의 장으로 구성
이 책은 시기별로 크게 7개의 장으로 구성되어 있다. 학계에서 논란이 많은 신석기시대 이후부터 삼국시대가 시작되기 전까지의 단계는 초기철기ㆍ원삼국시대라고 명명하였다. 고려ㆍ조선시대는 별도로 구분하지 않고 장의 내용에서 구분하여 기술하였다. 각 시기별로 의미 있는 주거와 무덤, 생업, 도구 등을 중점적으로 서술하는 방식을 취하고 있다.

구석기시대는 영남지역 유적의 현황과 특징, 자연환경과 입지, 석기의 종류와 제작방법, 영남지역 석기군의 특징과 변천에 대해 기술하고 있다. 신석기시대는 자연환경과 동식물상, 토기, 생업과 도구, 의례와 장신구, 대외교류 활동에 대해 서술하고 있다. 청동기시대는 토기, 도구와 생업, 주거와 취락, 무덤, 암각화 및 의례, 다른 지역과의 관계에 대해 다루고 있다. 초기철기ㆍ원삼국시대는 주거와 취락, 무덤, 생산과 의례, 토기, 청동기, 철기, 옥 및 장신구, 외래계 유물에 대해 분석하고 있다.

삼국시대는 신라와 가야의 묘제, 신라와 가야의 토기, 장신구, 마구, 의기, 농공구, 갑주, 무기, 생산유적, 금속용기, 성곽, 외래유물, 주거와 취락, 의례와 신앙에 대해 깊이 있게 기술하며, 통일신라시대는 묘제, 왕경과 지방도시, 토기, 기와, 왕릉, 사찰, 대외교류와 외래계 유물, 금동불과 소조불, 금속공예, 제사와 의례에 대해 서술하고 있다.고려 조선시대는 묘제, 관아, 성곽, 도자기, 기와, 금속유물, 무기, 제사유적 등을 중적적으로 다루고 있다. 실로 구석기시대부터 조선시대까지 모든 분야에 대해 다양한 관점에서 폭넓게 설명하고 있다.

연구자의 개인 견해 적극 반영
영남문화재연구원은 “애초 책의 제목을 ‘영남고고학 개설’로 설정하고 작업을 진행했지만 연구자들의 개인 견해를 가능한 한 적극적으로 반영하면서 ‘개설’이라는 단어를 뺐으나, 개설서라는 원래의 목적에서 크게 벗어나지는 않았다”고 설명한다. 오히려 개인별 견해를 적극적으로 반영한 결과 현재 학계의 첨예한 논쟁점이 책에 더 잘 반영되었을 것이라고 보고 있다. 대표적인 것이 반구대 암각화의 연대문제이다. 반구대 암각화는 이 책에서 신석기시대와 청동기시대 양쪽에서 다루어지고 있다. 독자가 혼란을 느낄 수도 있지만, 이것이 오히려 학계의 분위기를 반영한다고 할 수 있다. 이 책을 정독한다면 반구대 암각화의 연대문제뿐만 아니라 삼국시대의 편년문제 등 다양한 학계의 이견을 접할 수 있을 것이다.

이 책은 지역적인 경계는 영남지역으로 한정되어 있지만 전국의 고고학ㆍ역사학 관련 학과 학부생과 대학원생을 대상으로 집필되었다. 나아가 기성 연구자들에게도 훌륭한 개설서가 될 수 있을 것이다. 영남지역뿐만 아니라 한국의 고고학 연구자들이 이 책을 적극 활용한다면, 영남지역은 물론 한국고고학 연구의 발전에 크게 기여할 수 있을 것으로 여겨진다.

목차

발간사 5
일러두기 15

구석기시대
I 영남지역 구석기유적의 현황과 특징 19
II 영남지역의 자연환경과 유적 입지 27
1 자연환경 27
2 유적 입지 29
III 영남지역의 구석기 31
1 구석기의 종류 31
2 구석기의 제작방법 33
3 영남지역 주요 석기군의 특징과 변천 36

신석기시대
I 총설 45
II 자연환경과 동식물상 52
1 자연환경 52
2 동물상 53
3 식물상 55
III 생활시설 57
1 생산과 소비시설 57
2 주거와 취락 64
3 무덤 66
IV 토기 69
1 즐문토기의 출현과 편년 69
2 초창기 70
3 조기 71
4 전기 74
5 중기 76
6 후기 78
7 말기 80
II 취락과 주거지 228
1 초기철기시대 228
2 원삼국시대 232
III 무덤 238
1 초기철기시대 238
2 원삼국시대 244
IV 생산과 의례 253
1 제철유적 253
2 탄요 258
3 토기요 259
4 기타 생산지역 262
5 의례유구 263
V 토기 265
1 초기철기·원삼국시대 토기문화의 개요 265
2 초기철기시대의 토기문화 267
3 원삼국시대와 와질토기 269
VI 청동기 282
1 초기철기시대 282
2 원삼국시대 284
VII 철기 289
1 무기 290
2 마구 294
3 농공구 294
VIII 유리, 옥, 기타 장신구 304
1 초기철기시대 304
2 원삼국시대 305
3 장신구의 종류와 변천 310
4. 목기와 칠기 311
IX 외래계 유물 314
1 낙랑군 설치 이전의 고조선 및 대륙 관련
유물 314
2 낙랑 및 대륙 관련 유물 316
3 왜계 유물 322

삼국시대
I 총설 331
II 신라의 묘제 336
1 신라식목곽묘의 출현과 전개 337
2 적석목곽분의 발생 339
3 고총 단계의 묘제 342
4 횡구식석실분과 횡혈식석실분의 성행 351
III 가야의 묘제 354
1 고령지역 354
2 성주지역 359
3 경남·부산지역 365
IV 신라토기 376
1 신라토기 개념과 범위 376
2 신라토기의 발생과 양식의 성립 378
3 신라토기의 소지역양식 분화 386
V 가야토기 394
1 전기가야토기 397
2 후기가야토기 403
3 토기로 본 가야의 역사 407
VI 장신구 415
1 신라 장신구 415
2 가야 장신구 425
VII 마구 430
1 제어용 마구 431
2 안정용 마구 434
3 장식용 마구 436
4 방어용 마구 440
5 신라·가야 마구의 성격과 특징 441
VIII 의기 442
1 신라의 의기 444
2 가야의 의기 445
IX 농공구 447
1 농구 447
2 공구 455
3 목기와 칠기 458
X 갑주 461
1 철제 갑주의 등장과 연구동향 461
2 갑주의 종류와 명칭 463
3 갑주의 전개 양상 468
XI 무기 476
1 사병기 477
2 장병기 479
3 단병기 480
XII 생산유적 483
1 농업 484
2 철·철기 486
3 토기 488
4 기와 490
5 청동 492
6 유리 493
XIII 금속용기 494
1 신라의 금속용기 494
2 가야의 금속용기 500
XIV 성곽 502
1 성곽의 개관 502
2 신라 성곽 506
3 가야 성곽 509
XV 외래유물 512
1 신라의 외래유물 512
2 가야의 외래유물 520
XVI 주거와 취락 524
1 신라지역 525
2 가야지역 526
3 취락의 성격과 기능 530
XVII 의례와 신앙 532
1 농경의례 532
2 장송의례 534
3 생활제사 537
V 생업과 도구 83
1 수렵 83
2 수렵대상 및 방법 83
3 어로 86
4 어로대상 및 방법 86
5 채집과 농경 89
6 조리와 저장 92
VI 의례와 장신구 94
1 의례구 94
2 장신구 97
VII 교류활동 100
1 대내교류 102
2 대외교류 106

청동기시대
I 총설 121
1 시기구분 121
2 취락과 사회상 123
II 토기 126
1 무문토기 개괄 126
2 무문토기의 등장 127
3 전기 무문토기의 전개 132
4 후기 무문토기의 지역색 138
III 도구와 생업 142
1 도구 142
2 생업 156
IV 주거와 취락 161
1 조기 162
2 전기 163
3 후기 167
V 무덤 177
1 무덤의 종류와 구조 177
2 무덤의 변천과 후기의 지역상 180
3 부장유물 186
VI 청동기시대 암각화 및 의례 190
1 관련 유구 191
2 유물 195
3 청동기시대 의례의 의의 196
VII 다른 지역과의 관계 197
1 중국 동북지역과의 관계 197
2 한반도 내 다른 지역과의 관계 203
3 일본 야요이시대와의 관련성 209

초기 철기ㆍ원삼국시대
I 총설 221
1 연구의 진전 221
2 역사적 배경 223
3 초기철기시대의 시작 224
4 초기철기시대 물질문화의 유입양상 225
5 원삼국시대의 문화변동 226

통일신라시대
I 총설 551
1 통일신라시대의 물질문화 551
2 연구 주제와 내용 552
II 묘제 558
1 통일신라시대의 장제와 묘제 558
2 봉분과 호석 559
3 왕경의 묘제 560
4 지방 묘제 564
5 부장품 567
6 통일신라 묘에서 고려 묘로의 전환 569
III 왕경과 지방도시 569
1 왕권 강화와 도시의 발전 570
2 왕경 연구 성과 571
3 도로와 택지분할 572
4 방의 구조와 거주공간 577
5 왕궁 월성 579
6 관청 583
7 다리 건설과 남산 584
8 9주5소경 585
IV 토기 588
1 종류와 특징 589
2 토기 문양과 기형의 변천 592
3 토기의 생산과 소비 596
V 기와와 생산 601
1 연구 현황과 기와의 시기별 특징 602
2 가마터와 생산체계 604
VI 왕릉 608
1 왕릉의 비정 문제 608
2 왕릉과 능역시설의 변천 611
3 왕릉의 변천 배경 614
VII 사찰유적 616
1 조형적 특징 617
2 유적별 특징 618
VIII 대외교류와 외래계 유물 622
1 대외교류 622
2 당나라와의 교류와 중국 문물 수용과
모방 623
3 서역과의 교류 627
4 일본과의 교류 629
IX 금동불과 소조불 630
1 금동불상의 주조기법과 출토지의 성격 631
2 소조상의 출토양상과 제작기법 635
X 금속공예 638
1 불사리장엄구 638
2 기타 불구 643
3 일상생활용품 646
XI 제사와 의례 648
1 제의 648
2 왕릉의 제의 649
3 왕경의 제의 651
4 제천 및 명산대천 제의 655

고려ㆍ조선시대
I 총설 665
1 고려ㆍ조선시대 고고학 연구 성과 666
2 연구 과제 671
II 묘제 671
1 고려시대 671
2 조선시대 674
III 조선시대 관아 677
1 관아유적 677
2 영남지역 관아유적의 성격 및 의의 682
IV 성곽 683
1 고려시대 683
2 조선시대 686
V 도자 695
1 고려시대 695
2 조선시대 698
VI 기와 705
1 고려시대 705
2 조선시대 713
VII 금속유물 717
1 고려시대 717
2 조선시대 723
VIII 무기 727
1 고려시대 727
2 조선시대 728
IX 제사유적 732
1 고려시대 732
2 조선시대 735

찾아보기 744
집필자 753

도서소개

『영남의 고고학』은 영남지역의 고고학 개설서이다. 구석기시대부터 조선시대까지 전 시기를 망라한 최초의 지역고고학 개설서로 우리나라의 지역고고학 연구에 한 획을 긋는 성과이며, 최근의 개설서 중 최신 발굴자료나 연구성과가 가장 잘 반영된 책이기도 하다. 집필은 대학과 박물관, 연구소, 발굴현장 등에서 활동하는 영남지역 연구자 60명의 공동 작업으로 이루어졌다.

교환 및 환불안내

도서교환 및 환불
  • ㆍ배송기간은 평일 기준 1~3일 정도 소요됩니다.(스프링 분철은 1일 정도 시간이 더 소요됩니다.)
  • ㆍ상품불량 및 오배송등의 이유로 반품하실 경우, 반품배송비는 무료입니다.
  • ㆍ고객님의 변심에 의한 반품,환불,교환시 택배비는 본인 부담입니다.
  • ㆍ상담원과의 상담없이 교환 및 반품으로 반송된 물품은 책임지지 않습니다.
  • ㆍ이미 발송된 상품의 취소 및 반품, 교환요청시 배송비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 ㆍ반품신청시 반송된 상품의 수령후 환불처리됩니다.(카드사 사정에 따라 카드취소는 시일이 3~5일이 소요될 수 있습니다.)
  • ㆍ주문하신 상품의 반품,교환은 상품수령일로 부터 7일이내에 신청하실 수 있습니다.
  • ㆍ상품이 훼손된 경우 반품 및 교환,환불이 불가능합니다.
  • ㆍ반품/교환시 고객님 귀책사유로 인해 수거가 지연될 경우에는 반품이 제한될 수 있습니다.
  • ㆍ스프링제본 상품은 교환 및 환불이 불가능 합니다.
  • ㆍ군부대(사서함) 및 해외배송은 불가능합니다.
  • ㆍ오후 3시 이후 상담원과 통화되지 않은 취소건에 대해서는 고객 반품비용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반품안내
  • 마이페이지 > 나의상담 > 1 : 1 문의하기 게시판 또는 고객센터 1800-7327
교환/반품주소
  • 경기도 파주시 문발로 211 1층 / (주)북채널 / 전화 : 1800-7327
  • 택배안내 : CJ대한통운(1588-1255)
  • 고객님 변심으로 인한 교환 또는 반품시 왕복 배송비 5,000원을 부담하셔야 하며, 제품 불량 또는 오 배송시에는 전액을 당사에서부담 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