머리말 : '흔들리는 대지' 위에서
1부 닫힌 국가를 넘어서는
누가 '순결한 분노'를 욕되게 하는가?
재난의 디스토피아에 고투하는 우리 시대의 서사들
국가권력의 폭력적 '국민되기'에 분노하라
녹색 감성이 존중되는 서사의 길
문화정책의 난제를 풀어야 할 한국문학
우수도서 선정 사업: 문학적 진실, 기초예술, 정부의 창조적 고민
문학상, 수치스러운 '그들만의 잔치'
새로운 세계문학 구성을 위한 4ㆍ3문학의 과제
제주문학과 베트남문학의 교류에 대한 성찰
2부 문학과 삶의 진보
진보적 문학운동의 역경과 갱신
문학논쟁, 매체, 그리고 사회학적 상상력
구중서의 제3세계문학론을 형성하는 문제의식
장준하의 비평정신: 타락한 권력에 맞선 민주대도(民主大道)
채광석, '불의 시대'를 온몸으로 태우다
제주의 문화예술: 제주의 활력을 지닌 참다운 세계성
'비판적 지역주의'를 실천하는 비평의 전범
리얼리즘의 급진적 재구성을 꿈꾸는
한국문학의 추문 속에서 새로운 삶의 세계를 꿈꾸는
3부 복수의 근대성을 모색하는
2000년대의 한국소설에 나타난 분단체제의 문제의식
한국문학의 '복수의 근대성', 아시아적 타자의 새 발견
청소년의 자살: 죽은 영(靈)과 살아 남는 자의 고통
'솟구치는 소멸'의 길
민중서사, 이토록 맛깔난
민중의 윤리 부재와 마주하는 자기 풍자
삶의 무력감에 맞장 뜨는
김만덕 신화의 베일에 가려진 토착권력의 음험한 생태
절멸의 땅에서 소생의 땅으로
서사의 글로컬리티: 구술성과 연행성, 그리고 탈식민주의
비정한 삶을 살아내는 힘
우리 시대의 환부를 치유하는
4부 존재의 구원
'고독/그리움'을 휘감는 '동감(同感)-사랑'의 글쓰기
수행의 글쓰기: 삶의 심연에서 솟구치는 피투성이 싸움
삶의 고통을 응시하는 서사적 윤리의 망루
상처불감증을 치유하는 구원의 글쓰기
소설의 운명: 벼랑 끝에 서 있는 삶'들'
비정성시(非情城市)의 욕망을 응시하는
실종, 존재의 불온성에 대한 내면들
생의 환멸을 치유하는 '힐링 서사'
자기세계의 정립을 향한 소름끼치는 매혹
지상의 세계와 천상의 세계 사이에서
5부 난경의 시대에 응전하는
제주의 '출가해녀'를 통한 일제 말의 비협력 글쓰기
김만선의 만주서사: 해방 직후, 재만조선인, 만주의 중층적 현실
제국의 국책문학(國策文學)에 균열을 내는 계용묵 문학
1970년대의 조정래 문학, 그 세 꼭짓점
폐허의 세계를 견디는 윤후명의 실크로드 여행서사
소설을 쓰되 좀스럽게 쓰지말고 똑 이렇게 쓰럇다!
최용탁의 민중적 서사: 풍자, 분단체제, 그리고 민중의 폭력
찾아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