장바구니 담기 close

장바구니에 상품을 담았습니다.

이민정책론

이민정책론

  • 이혜경
  • |
  • 박영사
  • |
  • 2016-03-30 출간
  • |
  • 508페이지
  • |
  • 180 X 252 mm /984g
  • |
  • ISBN 9791130302683
판매가

29,000원

즉시할인가

28,710

배송비

2,500원

(제주/도서산간 배송 추가비용:3,000원)

수량
+ -
총주문금액
28,710

※ 스프링제본 상품은 반품/교환/환불이 불가능하므로 신중하게 선택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출판사서평

책속으로 추가
제3부는 분야별 이민정책을 다루는데, 8장은 인구와 이민에 대한 장으로, 저출산·고령화로 인한 이민의 적극적 활용에 초점을 맞추어 인구변화에 대한 대응으로서 이민 수용의 필요성과 이를 둘러싼 논쟁들을 살펴본다. 특히 주요 선진국에서는 이러한 대응적 이민이 어떻게 활용되는지를 살펴봄으로써, 한국에서의 향후 정책적 과제를 탐색한다. 9장은 노동이민이 경제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는 장으로, 먼저 노동이민 관련 개념과 유형, 노동이민에 대한 수요와 공급이 발생하는 이유와 전 세계적인 흐름을 살펴보고, 한국 노동이민의 특징을 파악한다. 이후 노동이민이 경제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다양한 논의를 통해 노동이민이 갖는 경제적 의의를 진단한다. 10장은 외국인력정책을 다룬다. 우선 외국인력정책의 역사적 전개, 그 유형과 활용원칙, 주요 쟁점 등을 살펴보고, 한국 외국인력정책의 향후 전망과 과제를 다룬다. 11장은 최근 한국사회에 급증한 결혼이민을 다룬다. 결혼이민의 개념 및 원인과 체제, 특히 역사적인 과정과 각국의 결혼이민 현황을 분석한다. 이후 한국의 결혼이민과 사회통합정책을 그 쟁점에 초점을 맞추어 논의하고, 향후 결혼이민자 사회통합정책의 비전과 방향을 모색한다. 12장은 재외동포와 재외동포정책을 다루는데, 우선 이민정책과 관련하여 재외동포를 다뤄야 하는 이유를 설명하고, 재외동포의 이주와 정착과정을 시기별로 살펴보고, 그 특징을 고찰한다. 그리고 재외동포가 거주하는 주요 국가별로 재외동포 사회의 현안 문제와 과제를 살펴보고, 최근 급증한 국내 재외동포에 대한 현황과 내국인과의 관계를 분석한다. 나아가 국내 재외동포정책의 내용과 변화과정을 살펴보고, 향후 전망을 제시한다. 13장은 난민을 다루는데, 우선 난민의 정의와 난민보호 문제를 다루고, 각 국의 난민정책을 소개하며, 복합난민의 증가와 인간안보, 난민의 젠더 및 아동인권 등 난민정책의 쟁점을 논의한다. 이후 한국의 난민정책의 역사와 변화 그리고 현황을 살펴보고, 난민정책의 나아갈 방향을 모색한다. 14장은 국제이민협력에 관한 장으로, 이민 쟁점을 둘러싼 국제적인 공동노력을 다루었다. 우선 이민을 둘러싼 쟁점과 이를 해결하고자 하는 국제 이민협력의 변화를 개괄하고, 이민협력의 거버넌스를 글로벌 다자협력을 중심으로 살펴본다. 이를 통해 ‘개발과 이민’이 어떻게 글로벌 차원에서 논의되었는지를 살펴본다. 나아가 유럽연합(EU)과 아시아 지역의 이민협력 사례를 비교하면서, 한국의 이민과 국제협력 및 국제이민협력의 미래를 전망한다.
이 책은 이민 정책과 관련된 각각의 주제를 소개하는데 그치지 않고 주제 간의 연관성을 강화하여 이민정책에 대한 포괄적이며 총체적인 개념과 논지를 제시하고자 했다. 또한 독자들의 이해를 돕고자 각 장의 내용을 주요 개념, 전 세계적인 경향, 한국의 현황, 그리고 향후 전망의 순서대로 가급적 통일된 형식으로 집필하도록 노력하였다. 이를 위해 집필자들 간의 소통과 교감을 통해 이민과 이민정책을 둘러싼 가장 기본적이면서 핵심적인 내용과 쟁점들이 최대한 정리되고 내실 있게 소개되도록 노력하였다. 그러나 시간과 역량의 부족으로 충분히 다루어지지 못한 내용도 있을 것이다. 이는 향후 이어지는 [이민학] 시리즈를 통해 지속적으로 보완되기를 희망한다. 나아가 [이민학] 시리즈의 지속적인 발간을 통해 향후 이민과 이민정책에 대한 활발한 논의가 촉발되고, 한국 이민정책의 전문화와 체계화에 기여하기를 기대한다. 마지막으로 이 책이 출판이 될 수 있도록 도움을 주신 한국이민재단과 박영사에 고마움을 전한다. 그리고 이 책의 교정 작업에 힘을 보태어준 대학원생 박미화씨(인하대학교)와 이상지씨(서강대학교)에게도 고마움을 표한다.


2016년 3월

집필진을 대표하여 이 혜 경

목차

제1부
이민과 이민정책_1

1장
이민과 이민정책의 개념 3
1절―이민이란 무엇인가? 3
2절―전 지구적 이민의 최근 경향 10
3절―이민정책이란 무엇인가? 16
4절―이민정책의 경향 27
5절―맺는 글 37

2장
이민의 역사 41
1절―선사시대: 인류의 먼 조상부터 호모 사피엔스의 이주까지 42
2절―역사시대: 고대 왕국부터 중세까지 45
3절―신대륙의 발견부터 세계대전까지 53
4절―전후 세계화와 이민 62
5절―요약 및 전망 71

3장
이민정책 이론 77
1절―전 세계의 이민현황 78
2절―이민과 사회적 행위자 및 제도 81
3절―송출국과 유입국의 이민정책 89
4절―세계 각국의 이민정책 97
5절―국가의 이민정책 결정 과정 105
6절―요약 및 전망 109

제2부
이민 관리의 실제_113

4장
이민행정 제도 및 조직 115
1절―이민행정의 개요 115
2절―이민정책과 이민행정 체계 120
3절―이민행정 체계 사례 연구 127
4절―한국의 이민행정과 추진체계 145
5절―요약 및 전망 147


5장
이민자의 시민권 151
1절―시민권 개념 151
2절―이민자의 시민권 155
3절―이민자의 시민권 관련 법제: 이민법과 국적법 169
4절―외국인의 영주권과 국적 취득 요건 175
5절―영주권자와 귀화자의 사회적 권리 183
6절―이민자 시민권의 미래 188

6장
이민과 사회통합 193
1절―사회통합의 개념과 이민자 편입 194
2절―이민자 편입 유형으로서의 동화정책 196
3절―이민자 편입 유형으로서의 다문화주의 유형 200
4절―해외 각국의 이민자 편입 지원정책: 이민자 ‘통합’의 필요성 증가와 대책 206
5절―한국의 이민자 편입 정책: 과제와 실천 215
6절―요약 및 전망 221

7장
이민과 안보 및 안전 225
1절―이민에서의 안전 및 안보 논의의 대두 226
2절―국가 내에서의 이민과 안보 논의 232
3절―이민과 안보 논의의 국제적 확산 240
4절―이민자 범죄와 한국의 이민과 안보 논의 244
5절―맺는 글 252

제3부
분야별 이민정책_255

8장
인구와 이민
1절―저출산·고령화 현황과 전망: 이민활용의 필요성 증가 258
2절―인구문제 대응방안으로서 이민의 활용 266
3절―주요 선진국의 인구규모 및 구성에 미치는 이민의 영향 275
4절―한국의 저출산·고령화와 이민의 활용: 현황과 전망 280
5절―맺는 글 286

9장
노동이민과 경제 291
1절―노동이민의 개념과 유형 291
2절―노동이민의 공급과 수요 294
3절―노동이민의 추세와 특징 298
4절―노동이민의 경제적 영향 305
5절―요약 및 함의 318

10장
외국인력정책 323
1절―외국인력정책의 역사적 전개 323
2절―외국인력정책의 유형과 활용원칙 327
3절―외국인력정책의 주요 쟁점 331
4절―한국의 외국인력정책 340
5절―전망과 과제 355

11장
결혼이민과 이민자 2세 359
1절―국제결혼과 결혼이민의 개념 359
2절―결혼이민의 원인과 체제 364
3절―각국의 결혼이민 현황 370
4절―한국의 결혼이민과 사회통합정책 377
5절―한국 결혼이민 정책의 쟁점 385
6절―요약과 전망 391

12장
재외동포와 재외동포정책
1절―재외동포의 중요성 396
2절―재외동포의 이주와 정착 398
3절―해외의 재외동포 405
4절―국내의 재외동포 418
5절―재외동포정책 428
6절―요약과 전망 432

13장
난 민 437
1절―난민의 정의와 난민보호 438
2절―각국의 난민 정책 444
3절―난민 정책의 쟁점 451
4절―한국의 난민 정책 457
5절―요약 및 함의 463

14장
국제이민협력 469
1절―전 지구적 사람의 이동과 국제이민협력의 대두 470
2절―국제이민협력의 제도와 실제 474
3절―지역 내 국제이민협력의 사례: 유럽과 아시아 482
4절―한국의 국제이민협력 493
5절―국제이민협력의 방향과 도전 496

저자소개

저자 이혜경은 미국 UCLA 대학교에서 사회학 박사학위를 받았다. 현재 배재대학교 공공정책학과 교수로 재직 중이다. 주요 전공은 이민과 (여성)노동시장 분야이고, 현재 세계화와 한국의 이민현상, 이민(사회통합)정책, 이민의 여성화, 돌봄이민과 젠더, 조선족의 귀환이민 등 이민과 디아스포라 연구를 수행하고 있다. 한국이민학회 회장, 국가통계위원회 위원 등을 역임하고, 현재 외국인정책위원회 및 외국인력정책실무위원회 위원으로 활동하고 있다. 주요 저서 및 논문으로는 『한국사회와 외국인 노동자』(1998, 공저), “Employment and Life Satisfaction among Female Marriage Migrants in South Korea”(2013), “국제이주·다문화연구의 동향과 전망”(2014)이 있다.

도서소개

▶ 이 책은 이민정책론을 다룬 이론서입니다. 이민정책론의 기초적이고 전반적인 내용을 학습할 수 있도록 구성했습니다.

교환 및 환불안내

도서교환 및 환불
  • ㆍ배송기간은 평일 기준 1~3일 정도 소요됩니다.(스프링 분철은 1일 정도 시간이 더 소요됩니다.)
  • ㆍ상품불량 및 오배송등의 이유로 반품하실 경우, 반품배송비는 무료입니다.
  • ㆍ고객님의 변심에 의한 반품,환불,교환시 택배비는 본인 부담입니다.
  • ㆍ상담원과의 상담없이 교환 및 반품으로 반송된 물품은 책임지지 않습니다.
  • ㆍ이미 발송된 상품의 취소 및 반품, 교환요청시 배송비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 ㆍ반품신청시 반송된 상품의 수령후 환불처리됩니다.(카드사 사정에 따라 카드취소는 시일이 3~5일이 소요될 수 있습니다.)
  • ㆍ주문하신 상품의 반품,교환은 상품수령일로 부터 7일이내에 신청하실 수 있습니다.
  • ㆍ상품이 훼손된 경우 반품 및 교환,환불이 불가능합니다.
  • ㆍ반품/교환시 고객님 귀책사유로 인해 수거가 지연될 경우에는 반품이 제한될 수 있습니다.
  • ㆍ스프링제본 상품은 교환 및 환불이 불가능 합니다.
  • ㆍ군부대(사서함) 및 해외배송은 불가능합니다.
  • ㆍ오후 3시 이후 상담원과 통화되지 않은 취소건에 대해서는 고객 반품비용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반품안내
  • 마이페이지 > 나의상담 > 1 : 1 문의하기 게시판 또는 고객센터 1800-7327
교환/반품주소
  • 경기도 파주시 문발로 211 1층 / (주)북채널 / 전화 : 1800-7327
  • 택배안내 : CJ대한통운(1588-1255)
  • 고객님 변심으로 인한 교환 또는 반품시 왕복 배송비 5,000원을 부담하셔야 하며, 제품 불량 또는 오 배송시에는 전액을 당사에서부담 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