장바구니 담기 close

장바구니에 상품을 담았습니다.

번영학

번영학

  • 이형구
  • |
  • 박영사
  • |
  • 2016-03-30 출간
  • |
  • 556페이지
  • |
  • 180 X 250 mm /1170g
  • |
  • ISBN 9791130302799
판매가

25,000원

즉시할인가

24,750

배송비

2,500원

(제주/도서산간 배송 추가비용:3,000원)

수량
+ -
총주문금액
24,750

※ 스프링제본 상품은 반품/교환/환불이 불가능하므로 신중하게 선택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목차

제1편 번영학(Science of Prosperity)의 학문적 기초


제1장 번영학의 탄생 2
제1절 번영학의 가치체계 3
제2절 번영학의 접근방식 5

제2장 번영학을 탄생케 한 연원 8
제1절 신자유주의의 탄생 8
제2절 개발경제학의 탄생 10
1. 개발경제학의 학문적 기초 12
2. 신흥국의 탄생과 경제지도의 변화 12
3. 선진국들의 변화된 모습 13
제3절 신자유주의 경제학이나 개발경제학이 잉태한
가치체계의 혼돈 14
제4절 번영학이 지향하는 가치체계 18
제5절 번영학이 제시하는 이론의 틀과 그 변화 19
제6절 국가경제운영 전략으로서의 번영학의 위치 22





제 2 편 번영의 정책적 의미


제1장 번영의 의미 26

제2장 번영을 가능케 하는 세 가지 조건 29

제3장 번영의 정책적 의미 32
제1절 경제정책으로 풀어본 번영과 관련된 정책 33
1. 지배구조 33
2. 거시 또는 부문정책 34
3. 시장유인과 시장간여 36
4. 개방과 내수중심 경제운영 40
5. 자유시장 경제운영과 복지중심경제운영 41
제2절 사회정책으로 풀어본 번영의 정책적 의미 43
1. 2014년 망연자실한 한국사회 49
2. 한국의 소득분배정책 발전과정 51
제3절 정치구호화한 경제민주화의 정책적 의미 56
1. 헌법 제119조 제1항과 제2항과의 관계 58
2. 경제민주화의 연원과 한국 헌법 제119조 제2항 60
3. 복지정책이 경제민주화의 모두인가? 63
4. 경제민주화의 정책적 의미 64
5. 헌법 제119조 제2항의 국어 문법적 해석 69
6. 경제민주화 정책의 범위(tolerance) 70
제4절 행복추구권을 토대로 한 번영의 국정운영과
그 정책적 의미 72
1. 경제민주화의 역설 72
2. 헌법 제10조 행복추구권의 해석 74
3. 번영학을 토대로 한 국정운영에 대응한
한국경제의 발전수준 76

제3편 번영의 국정운영 측면에서 본 한국경제의 발전수준


제1장 한국경제의 발전수준은 어느 정도일까? 80

제2장 세계경제의 발전흐름 86

제3장 번영의 시대를 향한 제약 90
1. 재산권의 부재 91
2. 과학적 합리주의의 부재 93
3. 효과적인 자본시장의 부재 94
4. 효율적인 수송과 통신의 부재 96

제4장 1820년 이후 세계의 발전흐름은? 98
1. 세계인구의 변화전망 100
2. 세계경제의 변화와 전망 106
3. 번영의 흐름에서 본 세계정세의 변화전망 112
4. 국민의 행복추구를 토대로 번영의 국정운영 모색 115



제 4 편 세계경제 판도변화와 한국경제


제1장 한국경제발전의 뿌리 122
제2장 2030년 세계경제의 판도 128
제1절 OECD 개발센터가 바라본 세계경제 판도 128
제2절 미국, 영국 등 기관들이 바라본 미래세계의 변화전망 132
1. 미래에 있음직한 변화 133
2. 미국 국가정보위원회(NIC)의 미래전망 139
제3절 영국의 ‘경제경영연구센터(CEBR)가 본
한국의 2030 전망 142



제 5 편 한국경제발전의 족적(足跡)


제1장 출생과 여명 148
제1절 자본주의의 토대인 사유재산권제도의 도입 149
제2절 농지개혁 150
제3절 원조경제의 운영 154
1. 다양한 환율운영과 경제원조 156
2. 다양한 경제개발계획의 시도와 좌절 160

제2장 경제개발연대의 출발 162
제1절 박정희 정부의 출발과 경제기획원의 출범 162
제2절 종합경제개발계획의 수립 집행 166
제3절 경제개발계획의 성격 171
제4절 종합경제개발계획 추진과 정부정책의 괴리 174
1. 1972년의 8.3조치 174
2. 중화학공업개발계획 177
3. 경제우위의 국가운영 183

제3장 1960년대의 경제개발 전략 188
제1절 대외지향적 경제개발 189
제2절 경공업 개발 193
제3절 투자재원의 동원 196
1. 국내저축의 증대 197
2. 외자의 활용 200
제4절 균형개발과 불균형개발 204
제5절 1960년대 경제운영의 평가 208

제4장 1970년대 농촌근대화와 중화학공업개발(1972~1979) 212
제1절 농촌 근대화 215
1. 새마을운동 216
2. 농업의 기반시설 확충과 농업기술 개발 218
3. 이중(二重)곡가제도와 추곡수매제도 220
제2절 중화학공업의 개발 226
제3절 덜 자본집약이며 기술 및
숙련노동집약적인 산업의 개발 229

제5장 자력성장구조의 실현과 확대균형정책 232
제1절 자력성장구조의 실현 232
1. 투자재원의 자력조달 235
2. 국제수지의 균형추구 239
3. 산업구조의 심화 247
제2절 확대균형과 축소균형 249
제3절 사회개발정책의 추진 253



제6편 시장경제운영의 출발


제1장 1970년대 물가상승의 특징 260
제1절 인플레이션의 원인 265
1. 초과수요의 발생 265
2. 수입자유화 논리의 등장 274
3. 생산비용의 상승 276
제2절 1970년대 말 인플레이션에 대한 대응 280

제2장 경제안정화 종합시책의 추진 284
제1절 종합안정화시책 형성의 배경 284
1. 경제구조의 변화 284
2. 경제운영의 매너리즘과 발전의 한계 노출 287
3. 안정과 성장은 선택이 아닌 상호보완 논리 288
제2절 경제안정화시책의 형성과정 291
1. 1977~1978년의 정책전환 노력 293
2. 1979년 경제안정화종합시책의 태동 308
제3절 1979년 4월 17일 경제안정화를 위한
종합시책의 주요내용 314
1. 안정화시책의 기조 314
2. 시책의 주요내용 316
3. 박정희 대통령의 시해사건과 위기경제운영 317
4. 종합안정화시책의 시책별 추진과정 322
제4절 경제안정화종합시책의 추진에 대한 종합평가 370



제 7 편 정치민주화와 혼돈의 국정운영(1987~2015)


제1장 정치민주화와 욕구분출(1987~1997) 386
제1절 개발연대로의 회귀(set back) 386
1. 성장속도의 감속과 제조업 투자부진 391
2. 서비스 산업의 발전 394
3. 수출부진과 내수중심의 성장 397
4. 경제력집중과 비효율성의 증대 398
5. 안정기조의 퇴조 404
6. 노동력 부족과 노동시간 단축 405
7. 경제개발의지의 저하 408
제2절 국제경쟁력 상실 410
1. 단위임금비용 412
2. 단위자본비용 414
3. 단위원자재비용 416
제3절 전략부재의 리더십 418

제2장 혼돈기 경제운영과 그 좌절 423
제1절 IMF 직전(1997)의 한국경제 펀더멘탈 428
제2절 한국경제 구조상의 취약점과 위기의 확산 430
제3절 대기성차관협정과 정부의 대응 432
1. 외환위기의 처리 432
2. 대기성차관에서 IMF와 합의된 정책조정 435
3. 4대 개혁과제의 추진과 잃어버린 10년의 시작 440
4. 노무현 정부의 사유재산권 제한과 사회주의 정책화 446
5. 이명박, 박근혜 대통령의 무전략, 무기력 시장경제운영 451



제8편 번영학을 토대로 한 국정운영


제1장 국정우선순위: 행복가치의 추구 456
제1절 지속가능한 경제발전 462
제2절 국가안보 확보와 국민불안심리 제거 464
제3절 균형의 추구 : 국민갈등 제거 467
제4절 국민복지의 확충 : 행복가치의 추구 470
제5절 국정운영 리더십의 변화 475

제2장 미래지향적 국정운영 혁신 방향 485
제1절 지속가능한 발전을 위한 경제운영 전략 488
1. 인구확장 490
2. 교육의 변화 497
3. 국정운영구조의 혁신 502
4. 노동혁신 516
제2절 행복가치 추구전략 수립 522
1. 행복가치 추구전략 수립방법 532
2. 국민의 소리와 행복가치 추구정책의 연계방안 강구 533

제3장 번영학을 기초로 한 국정운영 534
제1절 번영학의 가치체계 534
1. 소득수준의 지속적 향상 537
2. 복지향상 538
3. 선진사회상 정립 541
제2절 번영학을 토대로 한 행복추구 국정운영의 접근방법 546
1. 시장의 능률을 중심으로 한 경제운영 546
2. 정부역할이 강조되는 경제운영 550
제3절 국민생활의 기본수요에 대한 정부책임 552
제4절 국민행복 중심의 국정운영 554

저자소개

저자 이형구(李炯九)

서울대학교 정치학학사
아주대학교 경제학석사
단국대학교 경제학박사
미국 프린스턴대학교 Woodrow Wilson School 수료

제14회 고등고시 행정과 합격하여 관에 입문
경제기획원 정책조정국장
경제기획원 경제기획국장
재무부 이재국장
재무부 제1차관보
건설부 차관
재무부 차관
경제기획원 차관
한국산업은행 총재
노동부 장관

남북한경제포럼 대표
아주대학교 석좌교수
세종대학교 교수

주요저서
한국경제발전론(한국능률협회, 1980)한국경제론(박영사, 1982)21세기경제정책의 대전환(고려원, 1992)The Korean Economy(State University of New York Press, 1996)조세·재정정책 50년증언 및 정책평가(대표집필 한국조세연구원, 2003)
번영의 조건(2008, 박영사)

도서소개

▶ 이 책은 정치경제학의 번영학에 대해 다룬 이론서입니다. 번영학의 기초적이고 전반적인 내용을 학습할 수 있도록 구성했습니다.

교환 및 환불안내

도서교환 및 환불
  • ㆍ배송기간은 평일 기준 1~3일 정도 소요됩니다.(스프링 분철은 1일 정도 시간이 더 소요됩니다.)
  • ㆍ상품불량 및 오배송등의 이유로 반품하실 경우, 반품배송비는 무료입니다.
  • ㆍ고객님의 변심에 의한 반품,환불,교환시 택배비는 본인 부담입니다.
  • ㆍ상담원과의 상담없이 교환 및 반품으로 반송된 물품은 책임지지 않습니다.
  • ㆍ이미 발송된 상품의 취소 및 반품, 교환요청시 배송비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 ㆍ반품신청시 반송된 상품의 수령후 환불처리됩니다.(카드사 사정에 따라 카드취소는 시일이 3~5일이 소요될 수 있습니다.)
  • ㆍ주문하신 상품의 반품,교환은 상품수령일로 부터 7일이내에 신청하실 수 있습니다.
  • ㆍ상품이 훼손된 경우 반품 및 교환,환불이 불가능합니다.
  • ㆍ반품/교환시 고객님 귀책사유로 인해 수거가 지연될 경우에는 반품이 제한될 수 있습니다.
  • ㆍ스프링제본 상품은 교환 및 환불이 불가능 합니다.
  • ㆍ군부대(사서함) 및 해외배송은 불가능합니다.
  • ㆍ오후 3시 이후 상담원과 통화되지 않은 취소건에 대해서는 고객 반품비용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반품안내
  • 마이페이지 > 나의상담 > 1 : 1 문의하기 게시판 또는 고객센터 1800-7327
교환/반품주소
  • 경기도 파주시 문발로 211 1층 / (주)북채널 / 전화 : 1800-7327
  • 택배안내 : CJ대한통운(1588-1255)
  • 고객님 변심으로 인한 교환 또는 반품시 왕복 배송비 5,000원을 부담하셔야 하며, 제품 불량 또는 오 배송시에는 전액을 당사에서부담 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