장바구니 담기 close

장바구니에 상품을 담았습니다.

지식분자와 중국사회

지식분자와 중국사회

  • 텅쉰문화
  • |
  • HUINE
  • |
  • 2016-10-07 출간
  • |
  • 216페이지
  • |
  • 153 X 224 X 14 mm /325g
  • |
  • ISBN 9791159011221
판매가

18,000원

즉시할인가

17,460

배송비

2,300원

(제주/도서산간 배송 추가비용:3,000원)

수량
+ -
총주문금액
17,460

이 상품은 품절된 상품입니다

※ 스프링제본 상품은 반품/교환/환불이 불가능하므로 신중하게 선택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출판사서평

서언

지식분자란?


계사년(癸巳年) 단오, 굴원 기념을 계기로 ‘중국 지식분자’라는 화제를 놓고 텅쉰문화(騰迅文化)는 10여 명의 저명한 학자, 작가와 대담하여 각자 다른 견해로 이 책을 완성하였다.
근 현대 이후 굴원에게는 두 가지 꼬리표가 붙는다. 하나는 ‘애국주의 지사’이고 나머지 하나는 ‘낭만주의 시인’이다. 이 두 가지 꼬리표는 논하는 자마다 견해가 다르다. 하지만 굴원에 개는 두 가지 분명한 점이 있다. 첫째는 초나라 귀족 고관으로 인품이 고결하나 모함을 받아 유배를 당하여 진나라에 의해 초나라가 멸망한 후 울분을 토하며 자살한 것이고 두 번째는 그의 작품이 초나라 사람의 특색을 잘 드러내고 있다. 그 상상이 놀랄 만큼 아름답고, 감정이 품위 있으며, 글의 내용이 풍부하고 기세가 드높다는 것이다. 굴원과 동시대 사람인 양대 철학자 맹자(孟子)와 장자(莊子)는 그보다 나이가 많다. 이 세 명은 서로에 대해 언급한 적은 없지만, 아마도 굴원에게서 “부귀로도 그 마음을 미혹시킬 수 없고, 비천해도 뜻을 바꿀 수 없으며, 무력으로도 그 마음을 굴복시킬 수 없다.”라고 하는 도덕적 책임의 초나라 맹자와, “구름을 타고 비룡을 거느리며 천하를 누빈다.”는 유유자적의 심경을 묘사한 초나라 사람 장자를 만날 수 있다. 사상 계파적으로 말하자면 굴원과 유가나 도가는 상관이 없다. 그러나 그다지 엄격하게 말하지 않는다면, 우리는 그를 유도호보(儒道互?)전통의 시작으로 간주할 수 있고, 이것을 접점으로 ‘중국 지식분자’를 중요한 토론거리로 삼을 수 있다.
유도호보는 중국 사(士)계층의 오래된 전통이다. 좋은 의미로 사계층 중의 우수한 사람들이 유가 천하와 민생을 살피는 책임감을 주도하고, 자연친화적인 도가와 탈 공리주의 정서를 보존하는 것이다. 그러나 나쁜 의미로는 사계층의 지극히 평범한 무리들이 유가를 이용하여 관리가 되는 출세수단으로 이용하였고, 도가는 은거를 위한 ‘플러시보(placebo)’의 역할을 하였다. 어떤 상황이든 중국 선비의 내심은 모두 결탁되어 있다. 황권지상의 전제 체제하에서는 우수한 인재라 할지라도 그 사회책임감은 충군의식의 범위 안에서 제한적일 수밖에 없고, 초월정서라는 것도 벼슬길에 실패한 자기위로일 뿐이다. 이 때문에 청 왕조 멸망까지 지식분자로서 독립지위와 품격을 구비한다는 것은 엄격히 말해 형성되지 않았다고 말할 수 있다.
중국 독립지식분자계층은 근대로 진입한 이후 서서히 형성되었고 전제통치를 무너뜨린 것과 서양의 풍속과 문화가 점진적으로 밀려들어온 두 가지가 요소에 의해 만들어진 산물이다. 최초의 구성원은 기본적으로 사계층에서 우수한 인재가 그들의 신분에서 탈퇴하면서 생겨났다. 그들은 사회 책임감인 충군의식의 속박을 벗어 버리고, 민족 구망(救亡)을 문명국가 건립의 방향으로 삼으며 궐기했으며, 그들의 자유정서도 자기위로적인 색채가 적어졌고, 초월성을 추구하는 의미가 더해졌다. 그러나 이러한 과정도 1949년에 중단되었고, 약 30여 년의 지속된 개조작업으로 인해 독립된 중국 지식분자 부활은 없었다.
따라서 개혁개방 이후, 중국 지식분자는 실제적으로 민국전통을 이어받아 독립품격을 재설계해야 하는 위치에 놓이게 되었다. 지난 30여 년 동안 신시기의 사회무대에서 우리는 이미 신세대 지식분자의 활약을 보았고, 이렇게 활약한 지식분자는 ‘공공 지식분자’로 불려진다. 취재 중 토론은 공공 지식분자의 역할과 지위에 집중되어 있다. 지식분자가 공공사무에 관심을 가질 때 어떻게 독립의 입장을 견지하는지, 또 얼마나 진실 되게 지식분자로서의 역할을 해내는지가 문제의 핵심이 되었다.
사회에서 가장 민감한 구성원이 된다는 것은 사회의 양지(良知)가 되는 것이고, 지식분자가 사회에 대한 관심을 가지는 것은 지극히 자연스러운 ‘사회적 의리’이다. 물론 관심의 방법은 서로 다르다. 공공사무에 대해 직접 발언하는 것도 방법 중 하나로서 일종의 직접적 방식이 된다. 국가의 미래, 민족운명, 민중 고난의 중대한 문제 및 인권, 존엄, 공평, 정의 등 인류의 가치의 원칙 문제와 관련하여, 지식분자는 반드시 자신의 목소리를 내어야 한다. 이러한 목소리는 당연히 이성적이고, 뚜렷하며, 충분한 설득력을 가지고 그 발언이 듣기 좋고 감정이 풍부해 사람을 감동 시킬 수 있어야 하지만 결코 격앙되지 않아야 한다. 이것은 신매체에서 떠들썩하게 소란을 피우는 목소리와는 구분되는 점이다.
사실 지식분자는 공공창작을 포함한 대중발언과 공개강연, 언론 인터뷰 등에 직면해있다. 지극히 엄숙하고 어려운 일이다. 이 일을 잘 해내는 것은 공공영역의 문제에 대한 확실한 이해와 깊은 사고를 필요로 하며 자신의 직업영역에서의 상당한 저력이 있어야 하고 아울러 직업지식의 심오한 내용이 알기 쉽게 표현되어야 한다. 이렇게 해야 전문적인 지식분야의 내용을 관련 분야든 아니든 이해할 수 있다. 그렇지 않으면 단지 상투적인 말이 될 뿐이다. 동시에 그들은 사회 활동무대에서 활약하기 때문에 대중은 그 말과 행동에 집중하게 된다. 따라서 반드시 언행이 일치하며 도덕적으로도 스스로 단속해야 한다. 공공 지식분자로 산다는 것은 사회가 자신에게 뿐 아니라 자기 자신 스스로도 높은 수준이 요구되기 때문이다.
직접적 방법 외에 간접적으로 사회에 관심 갖는 방법도 있다. 지식분자 중에서 공공 지식분자가 차지하는 비중은 매우 적다. 대부분이 공공사회영역에서 활약하지 않는다. 성격과 지향성에 상관없이 어떤 이는 자신의 영역에서 묵묵히 노력을 기울이므로 당연히 그의 선택을 존중해야 한다. 물론 사회의 큰 문제에 대해서는 여전히 자기의 입장이 있지만, 그 입장이 반드시 공공발언을 이용하여 표현되는 것은 아니다. 각자가 종사하는 이론연구와 문학 창작에서 반드시 자기의 정신영역과 가치방향을 구체적으로 드러내야 한다. 기초이론 혹은 중대이론문제 연구에 집중하는 학자는 이론상의 업적 역시 사회문제에 대해 공개발언을 하는 것보다 훨씬 더 깊고 원대한 영향을 줄 수 있다. 설령 내적 경험의 기묘함이나 문장의 아름다움에 심취한 시인이라 할지라도, 인류를 위한 정신적 풍요성과 다양성을 창조하는 공헌을 한다. 진심으로 말하자면, 지식분자란 무엇인가? 이 세계와 사회를 더 아름답게 만들며 그들의 기본방식이 사람들로 하여금 아름답게 변하게 한다. 그들이 변화시키는 것은 사람의 생각과 마음이다. 공개발언을 하든, 아니면 저작과 작품으로 표현을 하든, 그들이 하고자 하는 것은 이러한 일들인 것이다. 질언을 하자면, 지식분자의 직책은 인류의 기본정신 가치를 수호하고 사회가 건강한 방향으로 발전하도록 노력하는 것이다.
굴원으로 다시 돌아가 보자. 만약 우리가 굴원을 적용하여 중국 지식분자 유전자를 분석하는 표준으로 삼는다면, 유가전통의 결함을 반성해야만 한다. 유가의 충군이 애국주의의 핵
심이든 아니면 도가의 유유자적에 의지한 해방적 낭만주의든 모두 지식분자 독립품격의 이변일 뿐이다. 오늘날의 중국 지식분자는 인류문명의 통찰력과 현실적 인생에 대한 관심과 배려를 갖추어만 전형시기에 맞는 지식분자의 진정한 독립적 작용을 발휘할 수 있을 것이다.
2013년 10월 29일
저우궈핑

머리말

2012년 텅쉰문화(騰迅文化)는 중국 지식분자의 변천과 현대의 생존상황을 전문 주제로 기획하기 시작했다. 고대부터 현재까지 더욱이 근·현대 역사의 정신적 맥락, 신매체의 발전이 지식분자에게 미치는 영향 등의 많은 화제가 있었기 때문이다. 우리는 먼저 십 여 명의 국내 일류의 학자, 작가를 찾아 인터뷰를 진행했다. 비록 헌병에 새 술을 담는 격일지라도 병은 서로 다른 불빛 아래 있으니, 어쨌든 서로 다른 색채를 낸다.
중국 지식분자의 형상을 말할 때, 굴원이라는 인물을 다루지 않을 수가 없다. 그리고 굴원에게는 긴 시간동안 ‘망명 지식분자’와 ‘애국주의 시인’이라는 이 두 가지 꼬리표가 얽혀져있고, 시대의 변화에 따라 갈수록 해결되지 않는 마음의 병이 되었다.
굴원의 ‘망명 지식분자’의 부호의 의미에 대해서 샤먼대학의 셰용 교수는 “굴원은 소극적 반항의 대표”라고 평가한다. 굴원의 정신은 중국현대 지식분자에게는 나타나지 않는 것이며 현재의 지식분자는 차래지식(借來之食: ‘옛다’하고 던져주는 모욕적인 음식)을 먹지 않고, 주동적으로 청탁하지 않는 것만 해도 지식인이 감당하기엔 이미 상당히 어려운 일이라고 한다.
시인 시추안은 20세기 중국의 변종낭만주의 지식분자들이 굴원을 낭만주의자로 조작했다고 한다. 문자적으로 그를 낭만주의로 만들어 버린 것이다. 그리고 ‘문혁’은 그들로 하여금 굴원에게서 두 번째로 자신의 그림자를 발견하게 했다. 굴원을 하나의 ‘의음(意淫 psycholagny)’의 대상으로 만들어 버렸다고 한다. 유학자 뚜웨이밍은 단오(端午)에서 나타나는 굴원으로 대표되는 지식분자는 ‘비극’이라고 한다. 그러나 이 비극은 우리로 하여금 지식분자의 양지이성과 그들의 중요한 사회적 역할을 훨씬 더 잘 이해할 수 있게 만들었다. 그는 일반적으로 중국고대지식인의 지위와 상태는 ‘집안의 가장’의 역할이었으므로, 굴원의 비극은 의외적인 일이라고 한다. 역사학자 마용의 관념은 우리에게 지금까지 생각하지 못했던 강한 깨달음을 주었다. 그는 후대의 사람들이 굴원에게 애국주의를 첨가시킨 것으로, 이것은 일반적으로 약자의 표현이며 결코 강자가 아니었던 것을 드러낸 것이다. 왜냐하면, 한당(漢唐)시기는 애국의 외침이 없었다. 한당의 강성한 시기는 애국주의가 불필요했기 때문이다. 강한 국가에서는 국가에 대한 국민의 구심력과 응집력이 자연스럽게 존재했던 것이기 때문이었다.
그리고 저우궈핑의 지식분자 사명에 대한 관점은, 직접적으로 정치에 간여하는 것이 아니라 각자 스스로의 전공 역할을 가지고 현재의 문제에 깊게 내재하여 있는 원인을 분석하고 그것을 사람들이 깨닫게 해주는 것이라고 한다. 지식분자의 발언이 반드시 깃발을 흔들고, 함성을 질러대는 풍운아의 형태로 전달되는 것은 아니며, 그러한 지식분자의 모습은 원래
존재하지도 않았다.
중국 지식분자의 전통계승의 문제에 있어서, 뚜웨이밍은 이상화된 지식분자의 ‘집안의 가장’의 역할 하에 정치역량을 접목시켜 사회 각 방면의 역량과 협조할 수 있다고 본다. “국가의 흥망은 모두에게 책임이 있다.”고 하는데, 이 책임은 지식분자가 제시한 것으로, “천하의 사람들이 걱정하기에 앞서 걱정하고 천하의 사람들이 다 기뻐하고 난 다음에 기뻐한다.”는 이러한 큰 전통이 현재까지도 이어져 오고 있다. 중국 전통문화의 가장 중요한 특징 중 하나는 바로 지식분자의 양지이성과 저항정신이며, 그들이 고민하는 문제는 결코 개인에 대한 문제가 아니다. 그들의 지식적 경험과 방법 그리고, 모두에게 제공하고자 하는 복지인 것이다.
지식분자의 이상적인 인격과 그들의 내재적 정신추구에 대해서는 비평가 장닝이 민국시대의 비교적 여유 있는 여론 환경과 유동적 시스템을 다음과 같이 제시했다. “우리가 그 시기를 회상해 보면, 루쉰 선생의 날카로운 발언이 떠오른다. 그는 베이징(北京)에서 체포령이 내려지면, 샤먼(夏門)으로, 광저우(廣州)로 도망가면 되었다. 그리고 다시 상하이(上海)로 돌아와 자유기고자가 되었는데, 그 당시는 확실히 비교적 여유가 있었다.” 셰용은 가장 이상적 인격으로 천옌거를 들어서 말했다. “그의 우수한 인격은 오늘날 중국 지식분자는 아직까지도 체현해내지 못한 것이다. 그는 자기의 지식과 품격을 들어 문화 양지를 수호한 중국 지식분자로서 주동적으로 이익에 영합하지 않고, 다른 사람을 비판하지 않았으며, 외부의 압력에 아랑곳하지 않고 자신의 지식 태도를 견지했다.” 라고 평가한다. 역사학자 양꾸이송은 동서고금(東西古今)의 적지 않은 지식분자가 모두 ‘도화원식’의 환상을 가지고 있다고 한다. 그러나 중국이 현대화에 접어든 이후 이러한 전원식의 생활환경은 이미 존재하지 않는다. 시인 시추안은 50년대 ‘대약진’의 시가와 70년대 ‘문혁’시기에 발전된 전민시가의 상황에 대해 심히 기탄한다. 그 어떤 것도 전 국민적 성질의 것으로 바뀌게 되면 경계심을 유지해야 한다고 강조한다. 학자 레이구는 “지식분자가 된다는 것은 환경변화가 가져오는 낙담을 이겨내고, 자기의 노력, 지식, 사고를 다하여 자신의 목소리를 내는 것이다.”라고 한다.
현재 사회발전은 날마다 새로워져 지식분자는 신매체를 접하고 있다. 20세기 90년대 말 출현한 ‘공지’라는 단어는 다시금 화두가 되었다. 신매체를 어떻게 평가할 것인가와 공지의 ‘오명화’ 문제에 대한 마용의 생각은 비교적 관대하다. 개인 매체시스템은 소통영역의 통수권자가 되어 실제적으로 중국의 당대 지식분자에게 공간을 제공했다고 본다. 따라서 우리도 지나치게 악의적으로 이 통수권자에 대해 무턱대고 추측하면 안 될 일이라고 한다. 학자 주리엔은 인성의 각도에서 자신의 생각을 표현했다. 인터넷의 자유교류는 단지 표상이며, 우리는 매우 빨리 우리가 교류할 사람과 교류하지 않을 사람을 발견해 내어, 수신거부하여 차단시켜 버린다. 아무리 큰 범위어도 하나의 작은 범위의 집합으로 쉽게 변해 버린다는 것이다. 장닝은 현재의 이런 상황이 중국의 언론공간과 여론 생태로 인한 것이라고 분석한다. 모든 사람들을 다 만족시키기는 어렵다. 발언자는 실명으로 방대한 익명의 대중을 상대해야 한다. 그리고 첨단과학기술의 환상인 ‘인터넷 댓글알바’를 맞닥뜨려야 한다. 그래서 오명화의 상황이 출현하는 것을 피하기 어려운 것이다. 그들이 오명화 되어야 하는가 아닌가의 문제에 대하여 마용은 공공업무의 지식분자를 중심으로 전문입장에서 간단하게 대하면 된다고 한다. 비 지식분자의 언어를 사용해서는 안 된다. “대중들이 공지를 추악하게 묘사하는 것은 공지 본인 스스로 추악화 되는 요소를 가지고 있기 때문이라고 한다” 주리엔의 말을 빌리자면, “모든 오명화는 악의적으로 손해를 입히려는 것인데, 그 배후에는 사실 의식형태 분쟁의 문
제가 있다고 본다.”
인터뷰를 통해 우리는 “비록 사회 환경이 갈수록 깊은 사고를 용납하지 않을지라도 자신의 생각과 발언을 견지하는 사람은 반드시 존재한다. 미래의 사회, 특히 지식분자와 관련 된 화제는 여전히 몹시 혼란스럽겠지만, 우리가 노력하면 어떠한 낡고 오래된 화제도 ‘새로운 인식’을 가져오게 할 수 있을 것이다.”라는 중요한 직관적 인상을 가지게 되었다.

목차

서언 _ 05
머리말 _ 11
일러두기 _ 17

인문시대의 길찾기

제1장 뚜웨이밍(두유명杜維明)
일찍이 민족의 주인공이었던 ‘지식인’ ································· 23

제2장 레이구(뇌고雷顧)
양호한 지식분자의 발언환경 · ············································ 33

제3장 시추안(서천西川)
귀족 신분에서 도망칠 수 없었던 것이 굴원의 비극이다! · ····· 51

제4장 셰용(사영謝泳)
‘체제’는 지식분자가 도망갈 곳을 없게 했다.· ······················· 67

제5장 양꾸이송(양규송楊奎松)
이미 사라지고 없는 지식분자의 ‘도화원’ · ·························· 79

제6장 장닝(장영張?)
모래더미 국가에서 개인과 국가적 계몽으로의 이상의 전환은
실현되지 않았다. ······························································ 85

제7장 저우궈핑(주국평周國平)
지식분자가 반드시 ‘풍운아’가 되는 것은 아니다.·················· 105

제8장 저우리엔(주렴周濂)
현재 지식분자는 ‘집단 발언’을 상실한 것이 아니다.· ············· 121

망국시대의 선택

제9장 쉬지린(허기림許紀霖)
과거제도 폐지로 인한 사회단절 ······································· 141

제10장 마용(마용馬勇)
강대한 국가일 때는 ‘애국주의’를 말하지 않는다. · ············ 157

제11장 조우다코(주도구走刀口)
전통 사대부에서 신형 지식분자로의 전형과정 · ················· 171

제12장 허위루이(하욱서何旭瑞)
민국 초기 지식분자의 ‘주변화’ 과정 ································· 181

제13장 허위루이(하욱서何旭瑞)
청나라 말, 비주류(주변)지식분자는 왜 혁명을 하게 되었나. ··· 191

제14장 요우마오승(유모승有毛僧)
‘개량 지식분자’는 왜 혁명에 졌나? ··································· 201

도서소개

지식분자란 무엇인가? 지식분자는 사람을 아름답게 변화시켜 이 세계를 더 아름답게 한다. 그들의 기본방식은 바로 사람을 아름답게 변화시키는 것이다. 공개적 발언을 하든, 저작과 작품을 통해서 말하든, 그들이 변화시키는 것은 ‘사람의 생각과 마음’이다. 지식분자의 책임은 인류의 기본 정신가치를 수호하고, 사회가 건강한 방향으로 발전할 수 있게 노력하는 것이다. 개혁 개방 이후 중국 지식분자는 실제적으로 민국전통을 이어 받아 독립품격을 재설계해야 하는 위치에 놓이게 되었다. 지난 30여 년 동안 신시기의 사회무대에서 우리는 이미 신세대 지식분자의 활약을 보았고, 이렇게 활약한 지식분자는 ‘공공 지식분자’로 불려진다.

『지식분자와 중국사회』는 저우궈핑, 뚜웨이밍, 쉬지린, 양꾸이송 등 현재 중국 사회에서 가장 영향력 있는 발언을 하는 지식인의 생각을 인터뷰 형식으로 담았으며 국가, 민족의 운명, 공평, 정의 등 인류의 가치문제에 대한 내용을 담고 있다. 취재 중 토론은 공공 지식분자의 역할과 지위에 집중되어 있다. 지식분자가 공공사무에 관심을 가질 때 어떠한 독립의 입장을 견지하는지, 또 얼마나 진실 되게 지식분자로서의 역할을 해내는지가 문제의 핵심이다.

교환 및 환불안내

도서교환 및 환불
  • ㆍ배송기간은 평일 기준 1~3일 정도 소요됩니다.(스프링 분철은 1일 정도 시간이 더 소요됩니다.)
  • ㆍ상품불량 및 오배송등의 이유로 반품하실 경우, 반품배송비는 무료입니다.
  • ㆍ고객님의 변심에 의한 반품,환불,교환시 택배비는 본인 부담입니다.
  • ㆍ상담원과의 상담없이 교환 및 반품으로 반송된 물품은 책임지지 않습니다.
  • ㆍ이미 발송된 상품의 취소 및 반품, 교환요청시 배송비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 ㆍ반품신청시 반송된 상품의 수령후 환불처리됩니다.(카드사 사정에 따라 카드취소는 시일이 3~5일이 소요될 수 있습니다.)
  • ㆍ주문하신 상품의 반품,교환은 상품수령일로 부터 7일이내에 신청하실 수 있습니다.
  • ㆍ상품이 훼손된 경우 반품 및 교환,환불이 불가능합니다.
  • ㆍ반품/교환시 고객님 귀책사유로 인해 수거가 지연될 경우에는 반품이 제한될 수 있습니다.
  • ㆍ스프링제본 상품은 교환 및 환불이 불가능 합니다.
  • ㆍ군부대(사서함) 및 해외배송은 불가능합니다.
  • ㆍ오후 3시 이후 상담원과 통화되지 않은 취소건에 대해서는 고객 반품비용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반품안내
  • 마이페이지 > 나의상담 > 1 : 1 문의하기 게시판 또는 고객센터 1800-7327
교환/반품주소
  • 경기도 파주시 문발로 211 1층 / (주)북채널 / 전화 : 1800-7327
  • 택배안내 : CJ대한통운(1588-1255)
  • 고객님 변심으로 인한 교환 또는 반품시 왕복 배송비 5,000원을 부담하셔야 하며, 제품 불량 또는 오 배송시에는 전액을 당사에서부담 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