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1편 사회복지정책의 이론
제1장 사회복지정책의 의의와 역사 15
1. 나대로 군을 이해시키려면?-사회복지정책의 개념/16
2. 사회복지정책을 펴 주세요-사회복지정책의 범주/19
3. 사회문제가 발생하는 이유는…-사회문제와 사회복지정책/23
4. 일하는 것보다는 가난을 택하는 사람들이 있다는데…-사회복지정책의 기능/ 26
5. 우리나라는요…-국가별 사회복지정책의 개념과 내용/30
6. 정부는 국민으로부터 무언가 빼내가기만 한다(?)-정책의 유형/34
7. 무엇이든 어떻게 보는가에 따라 달라지기 마련…-사회복지정책의 유형/38
8. 진정한 사회복지정책의 지향점은…-사회복지정책의 가치/41
9. 모든 일의 길잡이 역할을 하는 것은 바로 목표-정책과 사회복지정책의 목표/46
10. 410년 전 영국 사회 엿보기-사회복지정책의 역사(1): 구빈법과 개정 구빈법/50
11. 140년 전 서구 사회 패션(?)-사회복지정책의 역사(2): 민간활동과 빈곤 조사/56
12. 사회보험이 해결사(?)-사회복지정책의 역사(3): 자본주의적 복지정책/60
13. 영웅은 난세에만 나올까(?)-사회복지정책의 역사(4): 베버리지 보고서/65
14. 세상엔 완벽한 것이 없다-사회복지정책의 역사(5): 복지국가 시대와 복지국가의 후퇴/69
제2장 사회복지정책의 발달 이론과 사상 75
15. 시간이 지나면 발전이 있다(?)-사회복지정책의 발달 이론(1): 사회양심이론과 수렴이론/76
16. 사회복지에 대한 권리는 언제부터 누렸나?-사회복지정책의 발달 이론(2): 시민권론과 음모이론/80
17. 지도는 사회복지의 이해에도 도움이 된다(?)-사회복지정책의 발달 이론(3): 확산이론과 그 밖의 이론들/84
18. 율도국의 복지국가 건설-복지국가의 개념과 특성/89
19. 어떤 나라라야 복지국가인가?-복지국가의 유형(1): 윌렌스키, 퍼니스와 틸튼의 유형/93
20. 탈상품화가 높은 사회란…-복지국가의 유형(2): 미쉬라, 에스핑 앤더슨의 유형/97
21. 미리 가 본 세상-복지국가의 전개 과정과 특징/101
22. 위기는 또 다른 질서를 낳는다(?)-복지국가의 재편/105
23. 율도국의 위기-복지국가의 위기/109
24. 경제와 사회복지는 무슨 관계?-사회복지정책과 경제 성장 및 경기 변동/113
25. 사회적 선의 추구, 방법론의 차이?-사회복지정책 사상(1): 중상주의, 마르크스주의, 페이비언 사회주의, 케인스주의/117
26. 어떤 병에도 치유의 방법은 있는 것일까?-사회복지정책 사상(2): 신자유주의와 제3의 길/121
27. 모든 평가 결과에는 그 이유가 있다-사회복지정책 사상(3): 온정주의, 자유주의, 보수주의, 사회민주주의/125
28. 믿는 도끼는 발등만 찍는 것이 아니다(?)-사회복지정책 사상(4): 조합주의, 다원주의, 복지자본주의, 생태주의/129
29. 사회복지는 곧 사회공학(?)-사회복지정책의 구성 및 전략(1): 선별주의, 보편주의, 시민 참여, 탈상품화/133
30. 불평등은 태어나면서부터 이미 시작된다(?)-사회복지정책의 구성 및 전략(2): 긍정적 차별과 권한 강화/137
제3장 사회복지정책의 결정모형과 정책 과정 141
31. 종이 자르다 가위에 손가락을 베었는데 무슨 일이…-사회복지정책문제의 이슈화/142
32. 내가 사회복지 문제의 이해 당사자요-사회복지정책 문제의 이슈제기자와 방법/146
33. 어떤 사건이 반드시 직접적 원인만은 아니다-사회복지정책 어젠다 형성/ 150
34. 탐정은 아니지만…-정책대안의 탐색과 사회복지정책의 수단/155
35. 불경기의 여파가 낳은 것은…-사회복지정책 결정의 특징과 과정, 요인/159
36. 사회복지정책은 어떻게 결정하나?-사회복지정책 결정모형(1): 합리모형, 만족모형/163
37. 약간만 손보면 되겠군요-사회복지정책 결정모형(2): 점증모형, 혼합탐사모형, 최적모형/167
38. 그냥 살다보면 우연히…-사회복지정책 결정모형(3): 쓰레기통모형, 제도모형, 공공선택모형/172
39. 예측은 정확히 할 수는 없지만 그래도 해야 한다-사회복지정책의결과 예측 /176
40. 진정한 정책결정자는 누구?-사회복지정책 집행과 유형/180
41. 충돌을 피하기 위한 임시 방편책은 갈등을 조장할 수도 있다(?)-사회복지정책 집행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184
42. 사업하지 말란 소리요?-사회복지정책 집행에서 재량과 불응문제/188
43. 평가를 하기 위한 기준은 어떤 것이어야 하나?-사회복지정책 평가의 개념과 분류/192
44. 어떤 평가 방법이든 그 한계는 있기 마련-사회복지정책 평가의 절차와 한계/197
제4장 사회복지정책의 분석과 제공 체계 201
45. 문제 해결의 대안을 찾기 위해…-사회복지정책 분석(1): 정책분석의 의의와 절차, 한계/202
46. 최선의 정책을 찾기 위해…-사회복지정책 분석(2): 사회복지정책 분석 유형/206
47. 분석 방법을 찾아라-사회복지정책 분석(3): 정책분석의 방법/210
48. 자녀의 용돈을 불만 없이 분배하려면…-사회복지정책 분석(4): 사회복지정책 분석틀의 유형/214
49. 사회복지정책은 누가 담당해야 하나?-사회복지정책의 공급 주체(1)/219
50. 사회복지정책은 누가 담당해야 하나?-사회복지정책의 공급 주체(2)/224
51. 사회복지정책은 누가 담당해야 하나?-사회복지정책의 공급 주체(3)/228
52. 사람들은 어떤 욕구를 가지고 있을까?-사회복지정책과 사회 구성원의 욕구/232
53. 사회복지정책의 수혜자는 누구?-사회복지정책의 대상(1)/236
54. 사회복지급여 대상자를 선정할 때 그 기준은?-사회복지정책의 대상(2)/240
55. 사회복지급여 대상자 자격 기준 선택의 딜레마-사회복지정책의 대상(3)/244
56. 추상성과 구체성의 연결고리-사회복지제도의 전달 체계/248
57. 도대체 뭐가 달라요?-사회복지제도의 재원(1)/252
58. 재원 마련을 어떻게?-사회복지제도의 재원(2)/256
59. 조세 부담을 통한 재원 마련?-사회복지제도의 재원(3): 공공재원/260
60. 민간부문으로 눈을 돌려서…-사회복지제도의 재원(4): 민간재원/266
61. 돈이 있어야 뭘 하든지 하지-사회복지정책의 공공재원과 공공복지/270
62. 사회복지는 정부만 하나?-사회복지 분야의 민간위탁과 민간복지/274
제2편 사회복지정책의 실제
제5장 소득보장정책과 사회보험제도 281
63. 정말 빈곤한 사람은 누구?-빈곤의 개념과 빈곤선/282
64. 지겨운 악순환의 고리들…-사회적 배제와 소득불평등/286
65. 소득보장에는 당연히 원칙이 있게 마련…-사회보장과 소득보장정책/291
66. 나 좀 어떻게 해 줘요!-공공부조(1): 개념/295
67.최저생활 보장을 위한 원칙-공공부조(2): 기본 원리 및 원칙/298
68. 이거나 그거나…-공공부조(3): 필요성과 급여 형태/302
69. 뭐가 달라졌나요?-국민기초생활보장제도(1)/307
70. 급여 신청하려고 하는데요-국민기초생활보장제도(2): 급여 종류/313
71. 좀 알아서 척척 해 주었으면…-의료급여 대상자/318
72. 화재로 살 곳이 없어요-긴급복지지원제도/322
73. 나도 국가와 사회 발전에 이바지했소-기초연금/327
74. 낚시하는 방법을 알려 주는 것이 더 중요하다(?)-근로장려세제/331
75. 사회적 위험에 대처하기 위해…-사회보험/336
76. 출근 시간에 교통사고가 났어요-산업재해보상보험/341
77. 내가 언제 무엇으로 어떻게 아플지는 아무도 모른다-의료보장제도와 의료보장정책/347
78. 좋은 제도는 가까운 데 있다(?)-의료보장의 재정 운영과 유형/352
79. 진료비는 어떻게 책정하나?-의료보장정책과 건강보험 진료비 지불 방법/356
80. 얼마나 크면 큰 병원이에요?-국민건강보험(1): 목적, 특징, 가입자 등/360
81. 알고 나서 진료도 받고 처방도 받자고요-국민건강보험(2): 역사, 급여 등/365
82. 내가 일할 수 없이 나이가 많게 되면…-연금정책/371
83. 저는 가입이 안 되나요?-국민연금(1): 목적, 역사, 가입자 등/375
84. 생활 안정과 복지 증진을 위해…-국민연금(2): 급여의 종류/381
85. 적극적인 지도자라면…-고용보험(1): 개념, 목적, 역사, 가입자 등/388
86. 나 실직했어요-고용보험(2): 급여의 종류/392
87. 나이 먹는 것도 서러운데…-노인장기요양보험/399
제6장 사회서비스정책 405
88. 예전과 지금 중 언제가 더 살기 좋습니까?-사회서비스와 사회수당/406
89. 우리의 미래를 위해…-아동?청소년복지정책(1): 개념, 정책 등/411
90. 뿌리 깊은 나무가 되기 위해서는…-아동?청소년복지정책(2): 변천사, 원칙, 전달 체계 등/417
91. 늦기 전에 빨리 준비를…-노인복지정책(1): 개념, 필요성, 원칙 등/421
92. 늙어서 우대받는 세상을 꿈꾸며…-노인복지정책(2): 소득?의료?주거보장, 사회서비스/425
93. 우리 모두는 잠재적 장애인입니다-장애인복지정책(1): 개념, 유형, 변천사 등/430
94. 치료보다는 예방이 더 중요하다-장애인복지정책(2): 정책과 장애아동/435
95. 여성이라는 이유로…-여성복지정책(1): 변천사, 근거법 등/440
96. 언제, 누구를 위한 것인가?-여성복지정책(2): 접근 방법/444
97. 온기가 가득한 가족이 필요한 시대…-한부모가족복지정책(1): 개념, 범위 등/449
98. 나도 돕고는 싶지만…-한부모가족복지정책(2): 서비스/454
99. 지금은 세계화 시대(?)-다문화가족복지정책: 다문화가족지원법/461
100. 법과 현실은 아직도 먼가?-다문화가족?외국인 관련 법제 및 복지제도관련 법률/467
참고 문헌/472
찾아보기/ 47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