프롤로그 - 더불어 읽는 즐거움
1부 나를 다르게 만드는 것들
1장. 읽기 - ‘읽는다’는 것의 참된 의미
몸과 별을 읽던 시절
지혜로 인도되는 성스러운 행위
황홀경으로 가는 좁은 길
현명한 이들을 위한 삶의 양식
읽는 자만이 다시 태어난다
산책자에게 읽는다는 의미란
여자들의 읽는다는 행위
삶에 자유를 주는 흔치 않은 경험
2장. 공부 - ‘공부’의 광대무변한 세계로 가자
공부, 흥미 유발에서 시작
진리에 통달한 성인을 꿈꾸다
『파우스트』와 『데미안』이 안내하는 공부의 길
삶으로 살아낸 공부의 달인
온전한 인간의 길을 안내하는 공부
3장. 예술 - 예술을 찾아 떠나는 일상의 모험
일상의 변용이 곧 예술이다
예술, 다시 일상에 영향을 주다
한국의 아름다움을 예찬한 혜곡 최순우
일상의 예술을 즐길 시간
4장. 여행 - 지금은 책과 함께 여행을 떠날 시간
한반도 최초의 세계인 혜초와 『왕오천축국전』
마르코 폴로, 이븐바투타, 알하산 알와잔, 세상을 품다
조선 변혁의 시작점 『열하일기』
괴테와 빌 브라이슨의 한판 승부?
세상 모든 책, 미지의 세계를 안내하다
5장. 모험 ? 함께 떠나는 불가능을 향한 도전
모험의 첫 자리, 쥘 베른
이카로스, 체 게바라와 함께하는 모험
우주, 외계인을 찾아서
모험 그리고 함께
2부 우리, 더불어 사는 세상
6장. 한국인 - 한국인, 우리는 누구인가
종교, 한국인의 문화적 문법을 공고히 하다
한국인의 문화적 문법을 재구성하는 뇌관
개인 주체의 성찰성이 희망이다
소설로 읽어낸 한국인
한국인의 신화와 외인의 눈에 비친 한국인
7장. 민주주의 - 오늘 ‘민주주의’를 살고 있습니까
민주주의의 개념과 기원
헌법을 알아야 민주주의가 보인다
살아내는 민주주의
다양성과 비판, 민주주의의 양 날개
8장. 문명 - ‘문명’을 대하는 우리들의 자세
문명의 새로운 개념을 제시하는 『슬픈 열대』
그대로 갈 것인가, 되돌아갈 것인가
작은 것이 아름답다
문명은 인간만의 것인가
문명은 하나의 삶의 방식이다
9장. 생명 - 당신의 ‘생명 감수성’은 얼마나 되나요
에드워드 윌슨, 생명을 노래하다
당신이 몰랐던 꿀벌의 사생활
씨앗은 그 자체로 하나의 우주
‘노는 물’이 달라 몰랐던 물고기의 삶
지구의 주인이었던 공룡이 사라진 이유
10장. 평화 - 전쟁을 넘어 평화를 연습하자
전쟁의 본질을 탐구한 고전 『전쟁론』
반전·평화를 외치는 시민의식
전쟁, 아니 인간에 관한 모든 것 『삼국지』
악의 평범성에 대한 보고서 『예루살렘의 아이히만』
문학과 전쟁
역사에서 배우고 평화를 연습하자
3부 나, 세상을 이해하는 통로
11장. 자아 - 나는 누구인가
소크라테스와 뭉크의 고민
루소, 더불어 사는 인간을 향한 꿈
만인의 진정한 아름다움을 추구한 다산 정약용
자연, 참 나를 만나는 공간
고전, 오늘을 새롭게 할 인류의 자양분
12장. 부모 ? 세상에서 가장 헌신적인 사랑
어머니를 향한 김만중의 지극한 효심
오이디푸스, 아버지와 경쟁하다
연민과 애증으로 점철된 리어 왕과 코딜리아
순임금, 효의 사상을 전파하다
아우렐리우스, 『명상록』으로 아들과 대화하다
책으로 만나는 부모님
13장. 우정 - 우정이 없으면 태양도 없다
『사기』와 『삼국지』, 우정을 말하다
우정의 달인, 임꺽정과 친구들
책으로 맺은 우정, 보르헤스와 망구엘
신화와 종교가 말하는 우정
참된 우정, 스스로 욕됨이 없게 하는 것
14장. 사랑 - 오늘 우리의 사랑이 궁금합니다
사랑, 생명을 일으키는 색다른 열정
에리히 프롬과 버트런드 러셀, 사랑을 논하다
장자의 나비가 꿈꾼 사랑
『파우스트』와 『오만과 편견』 속에 담긴 사랑의 의미
사랑, 결과가 아닌 과정
15장. 여성 ? 아름다운 이름, 여자
세계는 여자의 힘으로 살아간다
정절이 조선의 국법이었다고?
백마 탄 왕자를 기다리는, 그대의 이름은 여자?
문학을 읽는 새로운 눈
에필로그 - 어떤 책을 읽을까 고민하는 당신에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