장바구니 담기 close

장바구니에 상품을 담았습니다.

미디어 시간여행

미디어 시간여행

  • 김동민
  • |
  • 나남
  • |
  • 2015-05-05 출간
  • |
  • 264페이지
  • |
  • 152 X 225 mm
  • |
  • ISBN 9788930088060
판매가

15,000원

즉시할인가

14,850

배송비

2,500원

(제주/도서산간 배송 추가비용:3,000원)

수량
+ -
총주문금액
14,850

※ 스프링제본 상품은 반품/교환/환불이 불가능하므로 신중하게 선택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출판사서평

고전 음악과 회화, 연극, 사회과학론으로 읽는
전천후 언론 비평서


한국언론정보학회 회장, 한일장신대 신문방송학과 교수를 역임하고 현재 한양대 신문방송학과 겸임교수?단국대 커뮤니케이션학부 강사로 활동 중인 저자가 전작《미디어 오디세이》에 이어 두 번째 책을 내놓았다. 언론사(言論史)에 대한 고찰과 비평을 전작과 공유하는《미디어 시간여행》은 이에 더해 기존 언론사에서 다루지 않았던 음악, 회화, 연극 그리고 사회과학 연구방법론의 논의를 ‘미디어’ 개념으로 확장해 ‘시간여행’이라는 테마로 엮은 책이다. 그동안 다루지 않았던 이러한 테마를 미디어 고찰에 가져온 이유는 무엇일까?

미디어는 예전부터 있었고, 시각?지각의 연속이 바로 미디어의 본질이다

음악, 회화, 연극, 건축, 조각, 영화 등은 각기 독립적 학문이나 예술 영역으로 분화되었기 때문에 언론학 영역에서는 잘 다뤄지지 않았다. 그러나 이들은 예술 영역 이전에 분명히 미디어로 출발했고, 여전히 미디어로서 기능한다. 미디어는 정보를 습득하고 전달하는 커뮤니케이션 매개체임을 보면 음악, 회화, 연극, 건축, 조각, 영화 등은 미디어이다.

이 책은 총 3부로 구성된다.
1부 “미디어 오디세이 2”에서는 앞에서 언급한 이러한 시각을 바탕으로 고전 미디어의 역사를 정리하고 이에 관련된 현안과 저자의 시각을 정리했다. 라스코 동굴벽화, 영화〈이미테이션 게임〉, 미켈란젤로의〈천지창조〉, 정선의〈금강전도〉, 김홍도의〈서당〉, 고갱의〈우리는 어디에서 왔는가? 우리는 누구인가? 우리는 어디로 가는가?], 피카소의〈게르니카〉, 존 레논, 서태지, 류성룡의《징비록》등 미디어 역사에서 누락된 미디어를 찾아 동서양을 여행하는 셈이다.

2부 “미디어 연구의 새로운 시선”에서는 사회과학 발전의 맥락과 맹점을 보면서 그 안에서의 언론학 연구방법을 고찰했다. 뉴턴이 중력 법칙에 대한 착상을 철학적 사유에서 얻었듯이 마르크스도 생산력과 생산 관계의 착상을 철학적 사유에서 얻었다. 상대성이론과 양자역학이 등장했다고 해서 고전역학이 전면 부정되지는 않았다. 그러나 사회과학에서는 정치경제학을 원천적으로 부정하거나 비판하면서 미시적 이론을 좇았음을 지적한다. 즉, 시간의 역사에 대해 지식을 주는 물리학과 철학세계를 여행하면서 지혜를 얻는 셈이다.

3부 “조선의 개화와 근대 신문”은 필자가 준비 중인《한국근현대언론사》의 예고편이다. 전작《미디어 오디세이》의 역사 서술법과 마찬가지로 미디어를 역사로부터 격리된 발달 과정이 아닌 역사 속에서의 맥락을 살펴 유기적 상호작용에 대해 서술했다. 개화 당시 언론 상황을 고찰하면서 조선과 일본의 시선과 상황을 다각도로 교차시켜 보는 저자의 시선이 흥미롭다.

목차

책을 내면서 5

1부 미디어 오디세이 2
미디어에 대한 새로운 시선 15
언어가 먼저일까? 음악이 먼저일까? 19
라스코 동굴벽화에서 20세기 벽화운동까지 23
비극의 탄생 26
소크라테스의 죽음과 민주주의의 조건 30
공자의 보디토크 34
《장자》가 학인에게 주는 교훈 39
기독교와 미술 43
조선 후기 진경산수화와 풍속화 50
단원고와 단원 김홍도 56
우리는 어디에서 와 어디로 가는가? 61
피카소의 미디어 66
혁명과 미술 70
〈세상의 기원〉과 예술에 대한 단상 75
홍성담의 [세월오월]과 광주비엔날레 79
천안함과 [메두사 호의 뗏목] 84
동학과 미디어,《동경대전》 89
[존 레논 컨피덴셜] 그리고 [Imagine] 93
구텐베르크에서 레이디스 코드까지 97
서태지와 문화대통령 101
찌라시와 국정원 106
[또 하나의 약속], 언론 그리고 기자 110
왜 지금《징비록》인가? 114
언론이 지배계급의 이데올로기를 대변하는 것은 당연한 것? 118
미생물의 세계: 현미경의 힘 122
시간의 역사: 망원경의 힘 126

2부 미디어 연구의 새로운 시선
미디어 연구의 방법: 철학, 정치경제학 133
물리학에서 배운다 185
동학과 물리학의 만남, 소통 198

3부 조선의 개화와 근대 신문 225

참고문헌 225

저자소개

저자 김동민은
고려대 임학과 학사
한양대 대학원 신문방송학과 석사/박사
한국언론정보학회 회장
한일장신대 신문방송학과 교수 역임
현재 한양대 신문방송학과 겸임교수
단국대 커뮤니케이션학부 강사
동학민족통일회 공동의장

도서소개

고전음악과 회화, 연극, 사회과학론을 미디어로 바라 본 언론 비평서

한양대 신문방송학과 겸임교수이자 단국대 커뮤니케이션 강사로 활동 중인 저자 김동민이 전작《미디어 오디세이》에 이어 언론사에 대한 고찰과 비평을 전작과 공유하는 『미디어 시간여행』을 펴냈다. 기존 언론사에서 다루지 않았던 회화, 음악, 연극, 사회과학론까지 ‘미디어’의 개념으로 확장해 우리에게 미디어에 대한 다양한 시각을 제공한다.

총 3부로 구성된 이 책은 먼저 고전 미디어의 역사를 정리하고 이와 관련된 저자의 시각을 정리했다. 영화 ‘이미테이션 게임’, 미켈란젤로의 ‘천지창조’ 등 미디어 역사에서 누락된 미디어를 찾아 동서양을 누빈다. 2부에서는 사회과학 발전의 맥락과 맹점에서 언론학 연구방법을 고찰하고 3부에서는 미디어를 역사 속 맥락에서 살펴 유기적 상호작용에 대해 서술한다. 개화 당시 언론 상황을 고찰하며 조선과 일본 시선과 상황을 교차하는 저자의 시선이 흥미롭게 다가올 것이다.

교환 및 환불안내

도서교환 및 환불
  • ㆍ배송기간은 평일 기준 1~3일 정도 소요됩니다.(스프링 분철은 1일 정도 시간이 더 소요됩니다.)
  • ㆍ상품불량 및 오배송등의 이유로 반품하실 경우, 반품배송비는 무료입니다.
  • ㆍ고객님의 변심에 의한 반품,환불,교환시 택배비는 본인 부담입니다.
  • ㆍ상담원과의 상담없이 교환 및 반품으로 반송된 물품은 책임지지 않습니다.
  • ㆍ이미 발송된 상품의 취소 및 반품, 교환요청시 배송비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 ㆍ반품신청시 반송된 상품의 수령후 환불처리됩니다.(카드사 사정에 따라 카드취소는 시일이 3~5일이 소요될 수 있습니다.)
  • ㆍ주문하신 상품의 반품,교환은 상품수령일로 부터 7일이내에 신청하실 수 있습니다.
  • ㆍ상품이 훼손된 경우 반품 및 교환,환불이 불가능합니다.
  • ㆍ반품/교환시 고객님 귀책사유로 인해 수거가 지연될 경우에는 반품이 제한될 수 있습니다.
  • ㆍ스프링제본 상품은 교환 및 환불이 불가능 합니다.
  • ㆍ군부대(사서함) 및 해외배송은 불가능합니다.
  • ㆍ오후 3시 이후 상담원과 통화되지 않은 취소건에 대해서는 고객 반품비용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반품안내
  • 마이페이지 > 나의상담 > 1 : 1 문의하기 게시판 또는 고객센터 1800-7327
교환/반품주소
  • 경기도 파주시 문발로 211 1층 / (주)북채널 / 전화 : 1800-7327
  • 택배안내 : CJ대한통운(1588-1255)
  • 고객님 변심으로 인한 교환 또는 반품시 왕복 배송비 5,000원을 부담하셔야 하며, 제품 불량 또는 오 배송시에는 전액을 당사에서부담 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