장바구니 담기 close

장바구니에 상품을 담았습니다.

한국경제와 생활환경

한국경제와 생활환경

  • 양종기
  • |
  • |
  • 2015-04-16 출간
  • |
  • 306페이지
  • |
  • 150 X 210 X 30 mm
  • |
  • ISBN 9788964812495
판매가

15,000원

즉시할인가

14,850

배송비

2,300원

(제주/도서산간 배송 추가비용:3,000원)

수량
+ -
총주문금액
14,850

※ 스프링제본 상품은 반품/교환/환불이 불가능하므로 신중하게 선택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출판사서평

한국인은 주어진 환경에 도전하고 새로운 환경을 만들어 내고 있다.

한국은 지난 70여 년 동안 몇 번의 위기를 겪으면서도 지속적인 경제성장을 걸어왔다. 그 덕택으로 환경은 모든 것이 급격히 변화했다. 기술진보가 느렸고 경쟁이 덜 치열하던 시절, 그리고 좀처럼 변화기 어려웠던 자연지리 환경까지도 빨라진 기술 진보의 혜택으로 짧은 기간 동안 모든 것이 다른 모습으로 급속히 변모하고 있다.

여기서 파생된 다른 사회 환경도 너무 빠른 속도로 동반 변하고 있다. 개개인 한 사람들의 인식과 생각이 따라가기 힘들만큼 주변 환경이 매우 빠르게 변화하고 있는 것이다.

본서는 경제와 환경에 초점을 맞추어 상호 인과관계를 유심히 살펴보고 있다. 자연 지리 환경과 긴밀히 연계된 경제 사회 환경이 국민경제 전반에 미치는 영향과 부작용을 관심 있게 살펴보고 있다.

목차

1. 한국인의 생활공간과 자연환경
2. 한국의 국토 면적
3. 한국 국토는 반도 형 산악 지형이다.
4. 한국의 강수량은 지역에 따라 변동이 심하다.
5. 한국은 해년마다 가마 솥 더위를 겪는다.
6. 한반도 기후는 이미 아열대로 변했다.
7. 한국은 매년 자연 재해에 시달린다.
8. 한국의 하천과 실개천이 많이 사라졌다.
9. 한국은 해마다 장마전선이 찾아온다.
10. 한국은 해마다 태풍과 가뭄을 겪는다.
11. 세계 및 한국의 총인구와 인구변동의 영향
12. 한국의 지역별 인구 분포
13. 경제활동인구, 노령인구, 부양인구
14. 한국 인구의 장기적인 변화 추이
15. 수도권 인구 집중과 도농간 인구 격차
16. 핵가족 규모도 감소
17.한국의 급속한 고령화 속도
18. 한국 노령화의 경제적 파급
19. 노령화와 저출산의 경제적 파급효과
20. 한국은 은퇴도, 황혼도 없다
21. 한국의 출생자, 사망자 수와 자연인구
22. 한국의 도시화와 선거인 수 분포
23. 도시화와 생활환경
24. 도시화와 농촌현실
25. 한국의 도시화
26. 한국의 사업체수와 종사자수
27. 한국인들의 소비생활
28. 한국의 하천과 수로, 물 공급과 녹지
29. 한국의 GDP규모와 삶의 질, 복지그물망
30. 한국의 경제사회적 환경
31. 한국의 도시화와 지역개발 격차
32. 한국 대학출신자의 양산
33. 한국인의 거주모습과 소득격차
34. 전업주부와 가사 종사자의 급증
35. 핵가족 붕괴와 가족 해체
36. 독신 인구의 증가 추세
37. 한국의 수도 서울의 생활환경
38. 한국의 취업유형과 임금 구조
39. 한국의 최저임금 수준과 청년 실업
40. 노년층과 청년층의 소득수준과 소득세차이
41. 작지만 강한 국가들간 경쟁력 비교
42. 한국의 농업과 농촌
43. 한국의 주거환경: 과거와 현재
44. 식민지 시대이후 농업 및 임금 변화와 도시화
45. 한국의 경제성장과 고용 효과
46. 한국 여성의 삶
47. 한국의 지역 GDP, 실업
48. 지역실업과 지역총생산, 지역생활수준
49. 한국의 지역과 도시, 마을, 지역개발정책

저자소개

저자 저자 양 종 기(梁 鍾 基)는
- 연세대학교 경제학과, 학사
- 독일 자유 베를린 대학교 Diplom-Volkswirt
- 독일 자유 베를린 대학교 경제학 박사
- 서경대학교(구 국제대학) 전임교수
- 현재 E&I Center 대표

# 저서와 주요 논문 및 연구보고서
- Die Crowding-Out Problematik im Rahmen der Kurz-und Langfristigen Analyse, Peter Lang, 1987(mana cum laude; 최우수 박사 논문).
- 위기가 기회다, 공저, 다산출판사, 1998년
-기관투자가의 자산운용(공저), 국민연금연구센터, 1998년
-한국의 자본시장과 경제발전(공저), FESKOR SYPOSIUM, 1988년
- 경제의 이해, 원출판사, 2007년
- 거시경제학, 원출판사, 2008년
- 화폐금융 국제금융, 원출판사, 2009년
- 시장경제와 경제이론, 원출판사, 2009년
- 알기 쉬운 투자론, 신론사, 2010년
- 경기 안정화와 재정지출 및 통화정책, 경상논총, 1987년
- 한국의 자본시장과 경제발전, 경상논총, 1988년
- 환율결정과 그의 변동, 투자금융, 1989년
- 토빈의 Q이론과 통화 및 공채 발행의 국민 경제적 파급 효과, 투자금융, 1989년
- 독일 지방재정과 지방의회에 대한 연구, 지원연구논문, 1992년
- 독일 연방과 주 및 게마인데(Gemeinde)의 공채관리에 관한 연구, 지원연구논문 1992년
- 스위스, 독일, 영국의 금융제도에 대한 비교 연구, 지원연구논문, 1995년
- 기관투자가의 자산운용, 지원연구 보고서, 1998년
- 독일 연방과 주 및 게마인데(Gemeinde)의 공채관리에 관한 연구, 연구보고서, 1992년
- 공채발행을 통한 재정금융정책의 효과에 대한 고찰, 한국산업 연구, 1992년
- 미국 단기금융시장에 관한 소고, 투자금융, 1994년
- 多資産市場, 實物市場, 財政政策, 서경대학교논문집, 1994년
- 스위스, 독일, 영국의 금융제도에 대한 비교 연구, 지역연구, 1996년
- 공채발행의 국민 경제적 파급 효과, 서경대학교논문집, 1996년
-유럽의 자산관리업과 은행 진출의 동향, 금융, 2002년
- 유럽금융의 구조적 특성과 은행대출경로, 산업경영연구, 2002년
- 최근 미국 은행산업의 변화와 추이, 금융, 2003년
- 재정정책이 경제성장에 미친 이론적인 고찰, 사회과학논문집, 2007년
- 한국경제는 정상적인 시장경제인가?, 2013년
- 국민행복시대는 열릴 것인가?, 도서출판 ONE, 2013년
- 달러와 한국경제, 도서출판 ONE, 2013년
- 한국의 부동산경제, 도서출판 ONE, 2013년
- 한국경제와 한국주식 투자, 도서출판 ONE, 2014년
- 세계경제 속 한미경제, 도서출판 ONE, 2014년

도서소개

『한국경제와 생활환경』은 경제와 환경에 초점을 맞추어 상호 인과관계를 유심히 살펴보고 있다. 자연 지리 환경과 긴밀히 연계된 경제 사회 환경이 국민경제 전반에 미치는 영향과 부작용을 관심 있게 살펴보고 있다.

교환 및 환불안내

도서교환 및 환불
  • ㆍ배송기간은 평일 기준 1~3일 정도 소요됩니다.(스프링 분철은 1일 정도 시간이 더 소요됩니다.)
  • ㆍ상품불량 및 오배송등의 이유로 반품하실 경우, 반품배송비는 무료입니다.
  • ㆍ고객님의 변심에 의한 반품,환불,교환시 택배비는 본인 부담입니다.
  • ㆍ상담원과의 상담없이 교환 및 반품으로 반송된 물품은 책임지지 않습니다.
  • ㆍ이미 발송된 상품의 취소 및 반품, 교환요청시 배송비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 ㆍ반품신청시 반송된 상품의 수령후 환불처리됩니다.(카드사 사정에 따라 카드취소는 시일이 3~5일이 소요될 수 있습니다.)
  • ㆍ주문하신 상품의 반품,교환은 상품수령일로 부터 7일이내에 신청하실 수 있습니다.
  • ㆍ상품이 훼손된 경우 반품 및 교환,환불이 불가능합니다.
  • ㆍ반품/교환시 고객님 귀책사유로 인해 수거가 지연될 경우에는 반품이 제한될 수 있습니다.
  • ㆍ스프링제본 상품은 교환 및 환불이 불가능 합니다.
  • ㆍ군부대(사서함) 및 해외배송은 불가능합니다.
  • ㆍ오후 3시 이후 상담원과 통화되지 않은 취소건에 대해서는 고객 반품비용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반품안내
  • 마이페이지 > 나의상담 > 1 : 1 문의하기 게시판 또는 고객센터 1800-7327
교환/반품주소
  • 경기도 파주시 문발로 211 1층 / (주)북채널 / 전화 : 1800-7327
  • 택배안내 : CJ대한통운(1588-1255)
  • 고객님 변심으로 인한 교환 또는 반품시 왕복 배송비 5,000원을 부담하셔야 하며, 제품 불량 또는 오 배송시에는 전액을 당사에서부담 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