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1장 음식문화 연구: 세 가지 패러다임
돼지고기와 차이 | 음료와 문화주의 | 도축장과 헤게모니 | 결론
제2장 날 것과 익힌 것
레비스트로스와 요리 | 태반 먹기 | 요리의 표현
제3장 음식, 몸, 에티켓
바흐친, 연회 그리고 몸 | 엘리아스와 문명화 과정 | 오늘날의 테이블 매너
제4장 소비와 취향
취향의 표현 | 계급, 소비, 취향 | 음식취향의 변화 | 취향의 확대
제5장 국민음식
국민음식의 불분명한 분명함 | 영국이라는 ‘요리 불모지’와 외국 음식의 영향 | 국민의 형성과 음식문화의 역할 | 음식, 국민정체성 그리고 ‘차이’ | 전통, 고유성 그리고 질
제6장 글로벌 키친
지구화의 이론화 | 음식의 동질성 | 미식의 다양성 | 상품물신주의와 음식문화 | 결론: 지구화에 저항하기?
제7장 식품 쇼핑
유동하는 사사화 | 슈퍼마켓과 균질성이라는 유령 | 슈퍼마켓에서의 정성과 사랑 | 탈착과 재착근 | 시장의 신화들 | 정교화된 시장들 | 홈쇼핑 | 결론
제8장 집에서의 식사
‘적절한 식사’와 ‘가족식사’ | 여성과 가족식사 | 정성과 편의성 | 페미니즘과 요리
제9장 외식
외식의 유형 | 외식의 즐거움 | 무례의 장소로서의 레스토랑 | 외식과 ‘구별짓기’ | 고유성과 표준화
제10장 음식 관련 저술
요리책 | 엘리자 액튼에서 델리아 스미스까지 | 미식문학 | 오늘날의 미식문학 | ‘불분명한 경계’
제11장 텔레비전 셰프
요리 쇼와 텔레비전 산업 | 텔레비전, 레스토랑 그리고 유명 셰프 | 음식지식 전달하기 | 결론
제12장 음식윤리와 먹거리 불안
채식주의의 의미 | 채식주의 관행 | 음식과 위험 | 미디어 패닉과 먹거리 파동 | 다이어트 하기, 불안, 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