장바구니 담기 close

장바구니에 상품을 담았습니다.

도시설계

도시설계

  • 조너선 바넷
  • |
  • 한울아카데미
  • |
  • 2015-09-30 출간
  • |
  • 364페이지
  • |
  • 173 X 246 mm
  • |
  • ISBN 9788946057623
★★★★★ 평점(10/10) | 리뷰(1)
판매가

64,000원

즉시할인가

60,800

배송비

무료배송

(제주/도서산간 배송 추가비용:3,000원)

수량
+ -
총주문금액
60,800

※ 스프링제본 상품은 반품/교환/환불이 불가능하므로 신중하게 선택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출판사서평

세계적인 도시들의 과거와 현재와 미래 모습이 책 한 권에 집약되다!

도시설계 분야에서 국제적 권위자로 평가받고 있는 조너선 바넷 펜실베이니아대학교 명예교수가 쓴 도시설계 역사서이자 이론서.
‘보행하기 좋은 가로 환경과 공공 환경 중심의 전통 도시설계’, ‘1920년대에 탄생한 고층 타워 건물과 교통 인프라 중심의 기능적인 모던 도시설계’, ‘자연환경에 순응한 친환경 녹색 도시설계’, 그리고 ‘현대 도시의 복잡한 도시 인프라와 도시 관리를 위한 통합 시스템으로서의 도시설계’ 등 도시설계의 기본적인 네 가지 관점을 하나하나 자세하게 소개하면서 역동적이며 세계화되고 있는 현대 도시의 설계에 필요한 방향을 제시한다. 특히 르코르뷔지에, 발터 그로피우스, 지그프리트 기디온, 프랭크 로이드 라이트, 미스 반 데어 로에 등 도시설계와 건축 역사에 한 획을 그었던 거장들부터 필립 존슨, 단게 겐조, 이에로 사리넨, 그리고 근래의 다니엘 리베스킨트 등에 이르기까지 저명한 건축가들과 설계가들의 공적과 작품을 책 한 권에서 고스란히 살펴볼 수 있다.

우리는 어떤 도시에서 살고 있고, 어떤 도시를 상상하며, 무엇을 준비하고 있는가?

세계는 기존의 도시설계(City Design)가 대응할 수 없는 속도로 빠르게 도시화되고 있으며, 기후변화는 과거 안정적이었던 자연환경에 거대한 변화를 불어넣고 있다. 또 ‘지속 가능성’이라는 개념과 첨단 테크놀로지는 현재 도시설계에 또 하나의 큰 방향을 요구하고 있다. 이러한 현실에서 더욱 효과적이며 능동적인 도시설계가 그 어느 때보다 절실하다. 하지만 이러한 급속도의 도시 성장과 변화에 과연 어떻게 대처해야 하는가에 관해서는 불확실성과 논쟁이 뜨겁다. 그러한 가운데 도시설계의 권위자 중 하나로 인정받고 있는 조너선 바넷(Jonathan Barnett) 펜실베이니아대학교 명예교수가 쓴 이 책은 세계 주요 도시의 형성·성장·쇠퇴 과정을 주도해온 인간의 가치와 그 배경을 실제 사례들을 통해 상세히 소개하며, 도시 설계의 새로운 방향을 제안한다.
이 책은 도시설계에서 가장 보편적으로 받아들여져 온 모던·전통·녹색·시스템이라는 네 가지 도시설계 방법의 역사와 현재, 그리고 그 실무를 상세히 설명하며 앞으로 도시설계가 어떠한 방향으로 나아가야 할지를 모색한다. 네 가지 도시설계의 관점을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타워형 고층 건물과 고속도로의 도시개발을 주도한 ‘모던 도시설계(Modernist City Design)’는 영혼이 없는 공허한 기계적인 접근이라 비판을 받아왔다. 그런가 하면 가로와 공공 환경 중심의 ‘전통 도시설계(Traditional City Design)’는 한때 모던 도시설계가들의 비난을 받았으나, 휴먼 스케일의 장점으로 최근 다시 부활하고 있다. 오늘날 인간과 자연의 공생이 대두되면서 ‘녹색 도시설계(Green City Design)’가 점점 부각하고 있는데, 녹색 도시설계는 그 기원을 몇천 년 전의 아시아에 두고 있으며, 지구의 보호라는 전 세계적인 공감대로 확산되고 있다. 끝으로 도시 인프라와 개발 규제, 그리고 컴퓨터를 이용하는 ‘시스템 도시설계(System City Design)’는 도시의 복잡성을 관리하는 새로운 방법으로 자리 잡고 있다.
조너선 바넷 교수는 이러한 네 가지 도시설계의 관점을 역사적 흐름에 맞추어 설명하면서 당대 뛰어난 도시설계가들과 건축가들의 공적과 과오를 하나하나 짚어준다. 르코르뷔지에(Le Corbusier), 발터 그로피우스(Walter Gropius), 지그프리트 기디온(Sigfried Giedion), 프랭크 로이드 라이트(Frank Lloyd Wright), 미스 반 데어 로에(Ludwig Mies van der Rohe) 등 근대건축의 거장들부터 필립 존슨(Philip Johnson), 단게 겐조(丹下健三), 이에로 사리넨(Eero Saarinen), 그리고 최근의 다니엘 리베스킨트(Daniel Libeskind) 등에 이르기까지 독자들은 저명한 건축가들과 설계가들의 작품을 이 책 곳곳에서 만날 수 있을 것이다.

도시계획가, 조경설계가, 도시행정가, 건축가, 도시설계가 등등
도시의 질적 향상을 구상하는 모든 이들에게 필요한 도시설계의 종합적 교과서


기존 도시설계와 도시계획 분야의 책들은 모더니즘, 뉴어바니즘, 친환경 등 단편적인 관점에서 그 특징과 장점, 사례 등을 소개하는 것이 보편적이었다. 이 책은 모던·전통·녹색·시스템이라는 네 가지 도시설계의 원칙과 접근 방법에 관한 좀 더 객관적인 평가와 비교를 통해 독자들이 도시설계의 역사적 흐름을 더욱 깊게 이해할 수 있도록 돕는다. 그렇기에 도시, 건축, 조경, 환경 분야의 전문가, 연구원, 교수, 학생, 지방자치단체의 정책 결정자, 행정가, 실무자, 그리고 사회단체의 지도자와 실무자 등을 위한 도시설계·도시환경 지침서로 손색이 없다.

책속으로 추가

산업화 이전의 도시들은 대부분 강이나 항구 근처에 위치했다. 이는 산업화 이전의 시대에서 화물을 옮기는 가장 좋은 방법이 물을 이용한 것이었기 때문이다. 성공적으로 성장해온 도시들은 특히 공중보건에 유리한 위치에 조성되었다. 도시는 일반적으로 직사각형의 격자형 가로 체계로 시작되었으며, 오랜 시간에 걸쳐 불규칙한 패턴으로 변화되었다. 도시에는 중심 가로들이 있어 도시를 구역들로 나눠주고, 중앙 광장에서 만나게 되며, 여기에는 시장과 주요 종교 건물이나 정부 건물이 입지했다. 도시들은 대부분 성벽 방어시설로 둘러싸여 확장이 어려웠고, 성벽 내에 밀도 있는 개발이 유도되었다. 성벽을 가진 도시들은 일반적으로 군사 기지와 필수 요소의 공급을 위한 창고로서 요새를 가지고 있었다. 우리는 다른 나라와 다른 문화의 산업화 이전 도시의 지도들을 보면서 이러한 일반화의 가능성을 확인할 수 있다. 산업화 이전의 모든 도시들은 독특하지만, 그럼에도 공동의 이유들로 인해 많은 공통점을 보여준다. - 273쪽, 4장 시스템 도시설계

도시설계에 대한 모더니스트의 아이디어는 도시의 공공주택과 도시 재개발에 도움을 주었고, 고층의 오피스 건물, 저층의 오피스 파크, 그리고 대형 병원 콤플렉스의 설계를 도왔다. 또한 전통 도시설계는 시민과 문화 건물군의 형태를 만들었고, 공공의 공원과 블러바드를 조성했으며, 도시에 기념비성을 부여하는 오벨리스크, 개선문과 같은 도시 유물을 조성했다. 한편 전통 건물군은 주변의 대학 캠퍼스의 오래된 구역, 도시의 역사구역, 그리고 뉴어바니스트의 교외지 개발에서 다시 되살아나고 있다. 전원도시와 전원교외는 최근 녹색 도시설계의 초기 형태로서, 상류층 주거구역과 이후 좀 더 변형되어 교외지 부지구획의 새로운 유형을 만들어냈다. 그리고 도시 인프라와 엔지니어링에 기반을 둔 시스템적 도시설계는 모던 도시를 가능하게 했다. 이러한 구조적 시스템으로서의 도시설계는 지역권에서의 쇼핑센터, 공항, 실내 아트리움과 보행 네트워크로 연결된 오피스 빌딩, 호텔, 상가를 조성하는 데 도움을 주었다. _ 322쪽, 결론: 다섯 번째 도시설계 방법

목차

서론: 도시설계의 세 가지 도전
급속한 도시개발의 도전 | 도시설계를 넘어선 기후변화의 도전 | 9·11 이후 도시설계의 실패 | 모던 도시설계와 전통 도시설계에 관한 논쟁 | 모던 도시설계에 대한 녹색 논쟁 | 보다 체계적인 어바니즘을 찾아서

1장 모던 도시설계
CIAM의 기원과 성장 | 모던 도시설계 원칙의 다른 기원들 | 도시설계를 넘어간 미국의 모던 건축 | CIAM 헌장: 모던 도시설계를 위한 매니페스토 | CIAM 헌장에 뒤이은 제2차 세계대전 이전의 프로젝트들 | 모던 도시설계의 첫 번째 프로젝트 | 제2차 세계대전 이후 미국의 모던 도시설계 | CIAM의 종말과 도시설계의 태동 | 의미 있는 형태: 이에로 사리넨과 자몽의 영감 | 모던 도시설계의 명백한 한계 | 모던 도시설계의 지속적인 저력

2장 전통 도시설계와 모던 도시
크리스토퍼 렌의 런던 도시계획안 | 크리스토퍼 렌의 도시설계 아이디어의 시작점 | 도시의 광장 | 도시설계 도구로서의 도시 광장 | 도시설계의 종합물인 워싱턴 디시의 도시계획안 | 존 내시와 런던의 대규모 개발계획안: 웨스트엔드, 리젠트 스트리트 | 파리, 설계된 도시의 원형: 조르주 외젠 오스만 | 파리가 도시설계에 미친 영향: 비엔나 링슈트라세, 바르셀로나 | 파리가 미국에 미친 영향: 세계 콜롬비아 박람회, 도시미화운동 | 파리 합의와 모던 도시계획의 시작: 캔버라, 뉴델리 | 파리 양식 도시설계의 쇠퇴 | 전통 도시설계와 전체주의 권력: 베를린 | 모더니즘 해독제로서의 전통적인 비례 | 뉴욕 시 링컨센터: 모더니즘의 실패 | 랜드마크와 역사구역: 모던 도시계획의 비판 | 전통 도시에서 “삶은 보행으로부터 비롯된다” | 뉴욕 시의 네이버후드 계획 정책과 도시설계의 코드 규제 | 콜린 로우와 ‘로마 인터로타’ | 리카르도 보필 | 시사이드와 뉴어바니즘 | 건축의 반모더니즘 | 골든 시티? | 대중교통 거점형 도시개발 | 밴쿠버

3장 녹색 도시설계와 기후변화
오랫동안 환경을 변화시켜온 인간 | 조경설계의 시작 | 18세기 영국 조경의 변화 | 조경설계가 건축설계에 영향을 주기 시작하다 | 정원설계가 도시설계가 되다 | 미국의 전원교외지 | 노동자를 위한 시범마을 | 수에즈 운하와 파나마 운하 | 북아메리카의 국립공원 | 전원도시와 조경화된 도시의 시작 | 레치워스, 첫 번째 전원도시 | 햄스테드와 20세기 초의 전원교외지 | 유럽의 전원교외지 | 캔버라에서 확인되는 전원도시의 영향력 | 미국의 첫 번째 전원교외지 | 제1차 세계대전 이후의 전원도시와 전원교외지 | 미국의 그린벨트 커뮤니티 | 미국의 테네시 밸리 행정국 | 프랭크 로이드 라이트의 브로드에이커 도시 | 제2차 세계대전 이후의 신도시 | 교외로의 무분별한 개발 확산 | 지구의 날과 환경 규제 | 자연을 따르는 설계, 환경보호를 위한 조닝 규제 | 토지 트러스트 운동, 개발권 이양, 도시 확장 한계선 | 건물의 환경평가 | 녹색건물은 녹색 지역설계에서 가능하다

4장 시스템 도시설계
‘조직화된 복잡성’의 문제들 | 시스템으로서 선사시대의 도시들 | 산업화 이전의 도시설계 시스템 | 서인도(아메리카)의 토지개발법 | 산업화 이전 도시 시스템의 요약 | 산업혁명 이후의 도시 시스템 | 시스템을 이용한 건물의 표준화 | 모듈화 철재 시공과 고층 건물 | 발터 크리스탈러의 ‘중심지 이론’과 호머 호이트의 ‘섹터 이론’ | 모던 도시 시스템과 다핵의 도시 | 거대구조물: 건물 시스템으로서의 도시와 도시구역 | 실제로 조성된 거대구조물 | 거대구조물은 왜 실패하는가 | 크리스토퍼 알렉산더와 조금씩 완성되는 도시설계 시스템 | 크리스토퍼 알렉산더의 새로운 도시설계 이론 | 크리스토퍼 알렉산더의 질서를 만드는 방법과 본질 | 도시의 형태를 결정하는 코드 | 모던 코드가 도시에 미친 나쁜 영향 | 형태 중심의 코드: 건축유도선과 최대 블록 둘레 | 도시설계의 도구로서 GIS 공간분석 | 지역과 거대지역 시스템 | 도시-지역 개발에 미치는 세계화의 영향력 | 다핵도시의 지역과 고속철도

결론: 다섯 번째 도시설계 방법
오래된 건물들과의 관계 | 도시설계와 공간 배치 | 오픈 스페이스와 자연경관 | 건물의 형태 | 가로 | 누가 옳은가? | 자연환경과 함께 시작한다 | 연결 교통체계를 개선한다 | 새로운 경제 시스템의 디자인적 영향력을 이해한다 | 콤팩트 비즈니스 센터와 보행 중심의 네이버후드를 권장한다 | 모던 건물과 주차를 위한 설계 | 중요한 공공설계의 결정은 공공 과정으로 만들어간다

저자소개

저자 조너선 바넷(Jonathan Barnett)은 펜실베이니아대학교의 도시설계 전공 명예교수이며, 도시설계 분야의 가장 존경받는 학자이자 전문가이다. 예일대학교와 케임브리지대학교에서 건축을 공부했고, 미국 건축사협회(American Institute of Architects)와 도시계획가협회(American Institute of Certified Planners)의 펠로우이다. 현재까지 미국, 중국, 한국, 캄보디아, 멕시코 등 다수의 도시설계 프로젝트 자문가로 활동했다.

도서소개

도시설계 분야에서 국제적 권위자로 평가받고 있는 조너선 바넷 펜실베이니아대학교 명예교수가 쓴 도시설계 역사서이자 이론서. ‘보행하기 좋은 가로 환경과 공공 환경 중심의 전통 도시설계’, ‘1920년대에 탄생한 고층 타워 건물과 교통 인프라 중심의 기능적인 모던 도시설계’, ‘자연환경에 순응한 친환경 녹색 도시설계’, 그리고 ‘현대 도시의 복잡한 도시 인프라와 도시 관리를 위한 통합 시스템으로서의 도시설계’ 등 도시설계의 기본적인 네 가지 관점을 하나하나 자세하게 소개하면서 역동적이며 세계화되고 있는 현대 도시의 설계에 필요한 방향을 제시한다.

교환 및 환불안내

도서교환 및 환불
  • ㆍ배송기간은 평일 기준 1~3일 정도 소요됩니다.(스프링 분철은 1일 정도 시간이 더 소요됩니다.)
  • ㆍ상품불량 및 오배송등의 이유로 반품하실 경우, 반품배송비는 무료입니다.
  • ㆍ고객님의 변심에 의한 반품,환불,교환시 택배비는 본인 부담입니다.
  • ㆍ상담원과의 상담없이 교환 및 반품으로 반송된 물품은 책임지지 않습니다.
  • ㆍ이미 발송된 상품의 취소 및 반품, 교환요청시 배송비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 ㆍ반품신청시 반송된 상품의 수령후 환불처리됩니다.(카드사 사정에 따라 카드취소는 시일이 3~5일이 소요될 수 있습니다.)
  • ㆍ주문하신 상품의 반품,교환은 상품수령일로 부터 7일이내에 신청하실 수 있습니다.
  • ㆍ상품이 훼손된 경우 반품 및 교환,환불이 불가능합니다.
  • ㆍ반품/교환시 고객님 귀책사유로 인해 수거가 지연될 경우에는 반품이 제한될 수 있습니다.
  • ㆍ스프링제본 상품은 교환 및 환불이 불가능 합니다.
  • ㆍ군부대(사서함) 및 해외배송은 불가능합니다.
  • ㆍ오후 3시 이후 상담원과 통화되지 않은 취소건에 대해서는 고객 반품비용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반품안내
  • 마이페이지 > 나의상담 > 1 : 1 문의하기 게시판 또는 고객센터 1800-7327
교환/반품주소
  • 경기도 파주시 문발로 211 1층 / (주)북채널 / 전화 : 1800-7327
  • 택배안내 : CJ대한통운(1588-1255)
  • 고객님 변심으로 인한 교환 또는 반품시 왕복 배송비 5,000원을 부담하셔야 하며, 제품 불량 또는 오 배송시에는 전액을 당사에서부담 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