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론: 도시설계의 세 가지 도전
급속한 도시개발의 도전 | 도시설계를 넘어선 기후변화의 도전 | 9·11 이후 도시설계의 실패 | 모던 도시설계와 전통 도시설계에 관한 논쟁 | 모던 도시설계에 대한 녹색 논쟁 | 보다 체계적인 어바니즘을 찾아서
1장 모던 도시설계
CIAM의 기원과 성장 | 모던 도시설계 원칙의 다른 기원들 | 도시설계를 넘어간 미국의 모던 건축 | CIAM 헌장: 모던 도시설계를 위한 매니페스토 | CIAM 헌장에 뒤이은 제2차 세계대전 이전의 프로젝트들 | 모던 도시설계의 첫 번째 프로젝트 | 제2차 세계대전 이후 미국의 모던 도시설계 | CIAM의 종말과 도시설계의 태동 | 의미 있는 형태: 이에로 사리넨과 자몽의 영감 | 모던 도시설계의 명백한 한계 | 모던 도시설계의 지속적인 저력
2장 전통 도시설계와 모던 도시
크리스토퍼 렌의 런던 도시계획안 | 크리스토퍼 렌의 도시설계 아이디어의 시작점 | 도시의 광장 | 도시설계 도구로서의 도시 광장 | 도시설계의 종합물인 워싱턴 디시의 도시계획안 | 존 내시와 런던의 대규모 개발계획안: 웨스트엔드, 리젠트 스트리트 | 파리, 설계된 도시의 원형: 조르주 외젠 오스만 | 파리가 도시설계에 미친 영향: 비엔나 링슈트라세, 바르셀로나 | 파리가 미국에 미친 영향: 세계 콜롬비아 박람회, 도시미화운동 | 파리 합의와 모던 도시계획의 시작: 캔버라, 뉴델리 | 파리 양식 도시설계의 쇠퇴 | 전통 도시설계와 전체주의 권력: 베를린 | 모더니즘 해독제로서의 전통적인 비례 | 뉴욕 시 링컨센터: 모더니즘의 실패 | 랜드마크와 역사구역: 모던 도시계획의 비판 | 전통 도시에서 “삶은 보행으로부터 비롯된다” | 뉴욕 시의 네이버후드 계획 정책과 도시설계의 코드 규제 | 콜린 로우와 ‘로마 인터로타’ | 리카르도 보필 | 시사이드와 뉴어바니즘 | 건축의 반모더니즘 | 골든 시티? | 대중교통 거점형 도시개발 | 밴쿠버
3장 녹색 도시설계와 기후변화
오랫동안 환경을 변화시켜온 인간 | 조경설계의 시작 | 18세기 영국 조경의 변화 | 조경설계가 건축설계에 영향을 주기 시작하다 | 정원설계가 도시설계가 되다 | 미국의 전원교외지 | 노동자를 위한 시범마을 | 수에즈 운하와 파나마 운하 | 북아메리카의 국립공원 | 전원도시와 조경화된 도시의 시작 | 레치워스, 첫 번째 전원도시 | 햄스테드와 20세기 초의 전원교외지 | 유럽의 전원교외지 | 캔버라에서 확인되는 전원도시의 영향력 | 미국의 첫 번째 전원교외지 | 제1차 세계대전 이후의 전원도시와 전원교외지 | 미국의 그린벨트 커뮤니티 | 미국의 테네시 밸리 행정국 | 프랭크 로이드 라이트의 브로드에이커 도시 | 제2차 세계대전 이후의 신도시 | 교외로의 무분별한 개발 확산 | 지구의 날과 환경 규제 | 자연을 따르는 설계, 환경보호를 위한 조닝 규제 | 토지 트러스트 운동, 개발권 이양, 도시 확장 한계선 | 건물의 환경평가 | 녹색건물은 녹색 지역설계에서 가능하다
4장 시스템 도시설계
‘조직화된 복잡성’의 문제들 | 시스템으로서 선사시대의 도시들 | 산업화 이전의 도시설계 시스템 | 서인도(아메리카)의 토지개발법 | 산업화 이전 도시 시스템의 요약 | 산업혁명 이후의 도시 시스템 | 시스템을 이용한 건물의 표준화 | 모듈화 철재 시공과 고층 건물 | 발터 크리스탈러의 ‘중심지 이론’과 호머 호이트의 ‘섹터 이론’ | 모던 도시 시스템과 다핵의 도시 | 거대구조물: 건물 시스템으로서의 도시와 도시구역 | 실제로 조성된 거대구조물 | 거대구조물은 왜 실패하는가 | 크리스토퍼 알렉산더와 조금씩 완성되는 도시설계 시스템 | 크리스토퍼 알렉산더의 새로운 도시설계 이론 | 크리스토퍼 알렉산더의 질서를 만드는 방법과 본질 | 도시의 형태를 결정하는 코드 | 모던 코드가 도시에 미친 나쁜 영향 | 형태 중심의 코드: 건축유도선과 최대 블록 둘레 | 도시설계의 도구로서 GIS 공간분석 | 지역과 거대지역 시스템 | 도시-지역 개발에 미치는 세계화의 영향력 | 다핵도시의 지역과 고속철도
결론: 다섯 번째 도시설계 방법
오래된 건물들과의 관계 | 도시설계와 공간 배치 | 오픈 스페이스와 자연경관 | 건물의 형태 | 가로 | 누가 옳은가? | 자연환경과 함께 시작한다 | 연결 교통체계를 개선한다 | 새로운 경제 시스템의 디자인적 영향력을 이해한다 | 콤팩트 비즈니스 센터와 보행 중심의 네이버후드를 권장한다 | 모던 건물과 주차를 위한 설계 | 중요한 공공설계의 결정은 공공 과정으로 만들어간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