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장 인간 커뮤니케이션의 영역과 미디어
1. 인간 커뮤니케이션의 정의와 모델
2. 인간 커뮤니케이션의 영역과 미디어
3. 사회심리학과 소셜 미디어를 품은 인간 커뮤니케이션
2장 커뮤니케이션의 개념과 원리
1. 커뮤니케이션의 원리
2. 미디어를 경유한 인간 커뮤니케이션의 원리
3. 커뮤니케이션의 종류와 단계
4. 인간 커뮤니케이션과 문화 차이
3장 커뮤니케이션의 첫 단계: 만남과 지각
1. 만남의 시작과 커뮤니케이션
2. 컴퓨터 매개 커뮤니케이션에서의 인상 형성과 자기 제시
3. 자기 개념, 자기 노출, 및 커뮤니케이션 불안
4. 귀인 과정과 타인 지각 및 판단 오류의 가능성
4장 언어적 메시지의 전달과 미디어
1. 언어적 메시지
2. 언어적 메시지의 전달과 미디어
3. 온라인에서의 언어적 표현
4. 언어적 메시지 전달과 이해에서의 문화 차이
5. 객관적 판단과 올바른 커뮤니케이션을 위한 방법
5장 비언어적 메시지의 전달과 커뮤니케이션
1. 비언어적 커뮤니케이션
2. 공간과 시간의 비언어적 메시지
3. 비언어적 메시지의 전달과 미디어
4. 이미지의 중요성과 새로운 미디어
5. 비언어적 커뮤니케이션의 문화 차이
6장 대인 관계 형성 및 발달 과정에서의 커뮤니케이션
1. 호감의 형성과 커뮤니케이션
2. 대인 관계 형성 및 유지 과정의 이론
3. 인터넷 공간에서의 대인 교류와 문화
4. 대인 커뮤니케이션 미디어의 활용과 변화
7장 대인 관계 갈등 해결 과정의 커뮤니케이
1. 갈등의 시작과 커뮤니케이션
2. 갈등, 부정적 감정, 및 공격성
3. 온라인 갈등과 그 해결
4. 갈등 해결의 커뮤니케이션과 문화 차이
8장 가까운 관계의 커뮤니케이션: 가족, 친구 및 연인
1. 가족 커뮤니케이션
2. 친밀한 관계와 우정
3. 연인 간의 커뮤니케이션과 사랑의 종류
4. 가까운 관계의 커뮤니케이션을 잘 하려면?
9장 소집단 커뮤니케이션과 리더십
1. 집단 내 커뮤니케이션
2. 여론 형성과 집단 정체성
3. 리더와 리더십
4. 조직 문화와 커뮤니케이션
10장 집단 간, 문화 간 및 세대 간 커뮤니케이션
1. 집단 간 관계와 커뮤니케이션
2. 문화의 6차원과 문화 간 커뮤니케이션
3. 가치관의 변화와 세대 간 커뮤니케이션
11장 설득 커뮤니케이션과 그 응용
1. 설득 커뮤니케이션의 정의와 이론
2. 설득의 원리와 효과
3. 설득 커뮤니케이션의 활용 영역과 미디어
4. 설득과 협상의 심리와 미디어
12장 공공 연설: 발표 불안 극복과 메시지 구성
1. 공공 연설의 정의와 종류
2. 공공 연설의 준비와 활용
3. 공공 연설과 미디어
13장 소셜 미디어와 한국 사회의 커뮤니케이션
1. 소셜 미디어와 SNS가 인간 커뮤니케이션에 주는 의미
2. 한국의 진보와 보수
3. 미디어에 비친 현실과 실제 현실의 차이
4. 매스 커뮤니케이션의 영향과 인간
14장 대인 공간 인식의 변화와 미래의 인간 커뮤니케이션
1. 인터넷 시대의 인간, 미디어, 그리고 커뮤니케이션
2. 커뮤니케이션 공간의 확장과 변화
3. 다양성의 공존을 위한 커뮤니케이션
4. 정보, 데이터, 그리고 인간의 네트워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