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문
서론
1. 자생적 영어교육 연구를 꿈꾸며
2. 이 책의 현실 인식
3. 이 책의 구성
제1장 우리는 영어를 왜 배우는가? 우리나라 영어교육의 역사
1. 고려와 조선의 외국어 학습: 소수정예의 체계적 통역관 양성
2. 영어를 배우려는 욕망: 호구지책과 출세 지향
3. 일제 식민지 시대 영어교육의 변질: 경쟁적 동기의 부상
4. 해방 이후 1980년대 초반까지: 입시를 위한 대국민 영어
5. 신군부 집권하의 영어교육: 의사소통 능력에 대한 자각
6. 1990년대 이후의 영어교육: 국제화 시대의 본격 개막과 영어 말하기 능력의 필요성 대두
7. 요약: 우리나라 영어 학습 동기의 시대별 변화
제2장 영어 학습 동기의 비고츠키 사회문화이론적 접근
1. 제2언어 학습 동기 연구의 두 가지 환원주의
2. 제2언어 학습 동기의 행위이론적 접근
2.1. 행위이론 개관
2.2. 행위이론 관점에서 본 동기
2.2.1. 동인, 지향점, 목표
2.2.2. 동인과 동기
2.2.3. 동기, 무동기, 탈동기의 관련성
2.3. 행위이론 관점의 제2언어 학습 동기의 정의
3. 제2언어 교수 동기의 이론과 실제
3.1. 교사 동기 연구의 세 가지 주요 영역
3.2. 제2언어 교사 동기 연구
3.3. 행위이론의 제2언어 교사 동기에의 적용 가능성
3.4. 행위이론적 관점에서의 제2언어 교사 동기 분석
4. 제2언어 학습 탈동기화의 이론과 실제
4.1. 탈동기화의 개념
4.2. 탈동기화에 대한 공시적 접근
4.3. 탈동기화에 대한 의사 통시적(pseudo-diachronic) 접근
4.4. 행위이론적 관점에서의 탈동기화
4.4.1. 탈동기화에의 행위이론 적용 가능성
4.4.2. 행위이론의 실제 적용 및 분석 사례
제3장 우리나라 영어 학습 동기 연구의 역사
1. 동기 이론의 흐름에 따른 국내 연구 정리
1.1. 사회교육모형과 자기결정이론
1.2. 목표지향성이론
1.3. 제2언어 동기 과정 모형
1.4. 제2언어 동기적 자아체계(L2 Motivational Self System)
1.5. 비고츠키 사회문화이론과 제2언어 학습 동기
2. 국내에서 수행된 주제별 제2언어 학습 동기 연구
2.1. 동기와 영어 학습 태도
2.2. 동기와 영어 학습 불안
2.3. 동기와 영어 학습 책략
2.4. 동기와 컴퓨터 보조 언어 학습
3. 요약 및 제언
제4장 연령대별 영어 학습 동기의 차이
1. 초등학생들의 영어 학습 동기와 탈동기, 그리고 사교육의 영향
2. 중학생들의 영어 학습 탈동기화 연구
3. 고등학생들의 영어 학습 동기: 경쟁적 동기의 부상
4. 중학생과 고등학생의 영어 학습 동기와 탈동기 양상의 비교
5. 대학생들의 영어 학습 동기와 탈동기: 회고적 영어 학습 자서전 분석
6. 직장인들의 영어 학습 동기
7. 노인들의 영어 학습 동기 및 탈동기
제5장 영어 학습 동기 연구의 주제별 분류
1. 학습 동기에 미치는 부모의 영향: 어머니와 아버지의 차별적 영향력
2. 공교육 교사와 사교육 강사에 대한 학생들의 인식과 영어 학습 동기
3. 거주 지역의 빈부 격차에 따른 학생들의 영어 학습 동기:서울 강남 대(對) 비강남
4. 어학연수의 효과성과 영어 학습 동기: 캐나다 어학 연수생들을 중심으로
4.1. 외재적 동기의 지배: 초기 1~2개월
4.2. 내재적 동기의 발생: 3개월 전후
4.3. 모순의 심화
4.4. 내재적 동기의 소멸 및 외재적 동기의 재등장: 귀국 전 1~2개월
4.5. 논의 및 시사점
5. 영어로 진행하는 영어수업(TEE)의 효과성과 영어 학습 동기
6. 영어 학습 동기와 불안감이 초등학생들의 의사소통의지와영어 말하기에 미치는 영향
7. 영어 학습 동기, 학습 책략, 학습 주도성의 관계
8. 인지된 학습 유형과 영어 학습 동기
제6장 영어 학습 동기 연구의 전망과 제언
1. 영어 학습 동기 연구의 향후 전망
2. 후속 연구를 위한 제언
참고문헌_ 375
《부록 1》 영어 학습 동기/탈동기 설문지
《부록 2》 영어 학습 탈동기화 및 동기 요인 설문 문항(구인별 예시)
《부록 3》 Kim(2006a, 2010a) 본 연구용 설문지
《부록 4》 노인 영어 학습 동기 탈동기 설문지
《부록 5》 TEE 수업에 대한 호감도, 불안감, 영어 학습 동기 설문
《부록 6》 영어 의사소통의지, 불안감, 학습 동기, 영어 사용빈도 설문
《부록 7》 영어 학습 동기, 초인지 학습 책략, 학습 주도성 설문 문항
찾아보기(한글)
찾아보기(영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