장바구니 담기 close

장바구니에 상품을 담았습니다.

한국어학의 이해

한국어학의 이해

  • 홍종선
  • |
  • 한국문화사
  • |
  • 2015-08-25 출간
  • |
  • 448페이지
  • |
  • 175 X 225 mm
  • |
  • ISBN 9788968172724
판매가

24,000원

즉시할인가

23,760

배송비

2,300원

(제주/도서산간 배송 추가비용:3,000원)

수량
+ -
총주문금액
23,760

이 상품은 품절된 상품입니다

※ 스프링제본 상품은 반품/교환/환불이 불가능하므로 신중하게 선택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출판사서평

시대적 변화를 반영하는, 배우기 쉽고 가르치기 쉬운 한국어학 입문서
이번 개정판은 초판에 없던 ‘총론: 한국어와 한국어학’, 13장 ‘국어교육’이 추가


이 책은 시대적 변화를 반영하면서도 배우기 쉽고 가르치기 쉬운 한국어학 입문서로 기획된 것이다. 한국어의 구조와 표현에 관한 연구는 그 폭이 매우 넓어지고 다양해졌다. 한때는 한국어학의 고유한 연구 분야가 있고 그 밖의 분야는 그것의 응용이거나 수행적인 연구로 취급 받던 시절도 있었으나, 이제 어느 분야도 다른 분야의 모태로서의 기능을 담당한다고 말할 수 없게 되었다. 외국인을 대상으로 하는 한국어 교육이나 말뭉치를 활용하는 한국어 정보 처리의 급속한 발전, 그리고 의사소통 장애와 그 치료를 연구하는 언어 치료학이 이러한 변화를 주도한 측면이 있고, 국제화ㆍ세계화의 파고 속에서 거의 모든 한국어 연구가 국제적 표준에 맞는 과학성과 객관성을 갖추지 못하면 살아남지 못하는 시대가 되었다.

이에 따라 주로 국내 대학의 국어국문학과와 국어교육학과에 한정되었던 한국어학 강좌는 외국어 학부의 한국어 교육학과나 국제어학원 한국어 교육 센터 및 한국어 교사 양성 과정 프로그램, 그리고 한국어 학습과 교수를 필요로 하는 국내외 산학 교육 기관, 외국 대학 그리고 일반인들의 수요까지도 충족시켜야 하는 필요성이 제기되었다. 이 책의 기획 의도는 어떻게 하면 이러한 시대적 변화를 반영하면서도 배우기 쉽고 가르치기 쉬운 한국어학 입문서를 만들 수 있을까 하는 것이다.

이 책의 특징은 다음 세 가지로 요약할 수 있다. 첫째, 이 책은 앞서 언급한 새로운 분야, 즉 한국어 교육, 한국어 정보처리 그리고 언어 치료학을 별도의 장으로 독립시켜 소개하기로 하였다. 그리고 대학의 한 학기 강의에 편리하도록 전통적인 한국어학의 연구 분야들을 세분하여 17개의 장으로 편성하였다. 그러나 서로 다른 교육 기관의 필요에 따라서 선택적으로 강의를 할 수 있도록 음운론, 문법론, 의미론, 방언론, 국어사의 기본 골격은 그대로 유지하였다. 둘째, 전체 내용을 쉽고, 흥미롭게 꾸몄다. 각 장의 학습 목표를 분명히 밝혔고, 우리말의 글살이를 충실히 반영한 실제 사례를, 사진과 함께 이야기 형식으로 삽입하여, 쉽고도 흥미로운 교재가 되도록 노력을 하였다. 특히 한국어 전반에 대한 기본 개념과 지식을 얻고자 하는 대학 1, 2학년의 초보자들이 손쉽게 접근할 수 있도록 주요 내용을 일상어로 쉽게 풀어 설명하고, 또 앞으로 한국어학을 전공할 학생들이 스스로 학습할 수 있도록 장별로 박스 처리된 심화 학습, 연습 문제 그리고 참고 문헌을 달아 두었다. 셋째, 이 책은 규범문법을 보완하려는 의도도 가지고 있다. 입시 위주의 중등학교 현장에서, 학교 문법이 암기식 교수 학습으로 진행되어, 다양하고 창의적인 사고력을 증진하고자 하는 국어 교육 본래의 목표에 부합하지 못한다고 생각하기 때문이다. 따라서 통일된 학교 문법의 규범성을 해치지 않는 선에서, 그리고 한국어학 입문서의 난이도를 넘지 않는 선에서, 각 분야 전문가들이 해당 분야의 경쟁적인 관점도 소개하는 것으로 했다. 이것은 대학 교육이 중등학교에서 포괄해 주지 못하는 다양한 관점을 보충해 줄 수 있어야 한다는 필자들의 의견을 반영한 것이다. 이 책은 그동안 국어국문학, 국어교육학, 한국어교육학, 언어치료학 등 다양한 전공의 수업에서 활용되었으며, 그 성과를 바탕으로 분야별 균형을 보완하여 개정하였다.

[개정판 머리말]

초판이 나온 지 3년 만에 개정판을 내게 되었다.

그동안 많은 학생들이 이 책으로 수업을 하게 되었다. 또 많은 사람들로부터 뜻밖의 격려와 따뜻한 조언을 동시에 받았다. 그 결과 필자들 사이에서도 초판의 내용 수정과 개정의 필요성이 수차례 제기되었고, 몇 차례의 논의를 거쳐 개정판을 내기로 하였다.

개정판에는 초판에는 없던 ‘총론: 한국어와 한국어학’, 13장 ‘국어교육’이 추가되었다. 그 결과 이 책의 분야별 불균형이 바로잡혔다. 그리고 출판사의 사정으로 인해서 지식과 교양이 아닌 한국문화사에서 개정판을 내게 되었다. 그 과정에서 한국문화사의 김진수 사장님과 김태균 편집장님께서 하지 않아도 될 수고와 번거로움을 도맡아 처리해 주셨다. 이 자리를 빌려서 감사의 마음을 전한다.

2015년 8월
필자가 모두 같이

[초판 머리말]

현재, 한국어의 구조와 표현에 관한 연구는 그 폭이 매우 넓어지고 다양해졌다. 한때는 한국어학의 고유한 연구 분야가 있고 그 밖의 분야는 그것의 응용이거나 수행적인 연구로 취급 받던 시절도 있었으나, 이제 어느 분야도 다른 분야의 모태로서의 기능을 담당한다고 말할 수 없게 되었다. 외국인을 대상으로 하는 한국어 교육이나 말뭉치를 활용하는 한국어 정보처리의 급속한 발전, 그리고 의사소통 장애와 그 치료를 연구하는 언어 치료학이 이러한 변화를 주도한 측면이 있고, 국제화ㆍ세계화의 파고 속에서 거의 모든 한국어 연구가 국제적 표준에 맞는 과학성과 객관성을 갖추지 못하면 살아남지 못하는 시대가 되었다.

이에 따라 주로 국내 대학의 국어국문학과와 국어교육학과에 한정되었던 한국어학 강좌는 외국어 학부의 한국어 교육학과나 국제어학원 한국어 교육 센터 및 한국어 교사 양성 과정 프로그램, 그리고 한국어 학습과 교수를 필요로 하는 국내외 산학 교육 기관, 외국 대학 그리고 일반인들의 수요까지도 충족시켜야 하는 필요성이 제기되었다. 이 책의 기획 의도는 어떻게 하면 이러한 시대적 변화를 반영하면서도 배우기 쉽고 가르치기 쉬운 한국어학 입문서를 만들 수 있을까 하는 것이다.

먼저 이 책은 앞서 언급한 한국어 교육, 한국어 정보처리 그리고 언어 치료학을 별도의 장으로 독립시켜 소개하기로 하였다. 그리고 대학의 한 학기 강의에 편리하도록 전통적인 한국어학의 연구 분야들을 세분하여 15개의 장으로 편성하였다. 그러나 서로 다른 교육 기관의 필요에 따라서 선택적으로 강의를 할 수 있도록 음운론, 문법론, 의미론, 방언론, 국어사의 기본 골격은 그대로 유지하였다.

둘째, 전체 내용을 쉽고, 흥미롭게 꾸몄다. 각 장의 학습 목표를 분명히 밝혔고, 우리말의 글살이를 충실히 반영한 실제 사례를, 사진과 함께 이야기 형식으로 삽입하여, 쉽고도 흥미로운 교재가 되도록 노력을 하였다. 특히 한국어 전반에 대한 기본 개념과 지식을 얻고자 하는 대학 1, 2학년의 초보자들이 손쉽게 접근할 수 있도록 주요 내용을 일상어로 쉽게 풀어 설명하고, 또 앞으로 한국어학을 전공할 학생들이 스스로 학습할 수 있도록 장별로 박스 처리된 심화 학습, 연습 문제 그리고 참고 문헌을 달아 두었다.

셋째, 이 책은 규범문법을 보완하려는 의도도 가지고 있다. 입시 위주의 중등학교 현장에서, 학교 문법이 암기식 교수 학습으로 진행되어, 다양하고 창의적인 사고력을 증진하고자 하는 국어교육 본래의 목표에 부합하지 못한다고 생각하기 때문이다. 따라서 통일된 학교 문법의 규범성을 해치지 않는 선에서, 그리고 한국어학 입문서의 난이도를 넘지 않는 선에서, 각 분야 전문가들이 해당 분야의 경쟁적인 관점도 소개하는 것으로 했다. 이것은 대학 교육이 중등학교에서 포괄해 주지 못하는 다양한 관점을 보충해 줄 수 있어야 한다는 필자들의 의견을 반영한 것이다.

이 책을 출판하면서 우리 필자들은 모두 홍종선 교수님께 특별하고 애틋한 감사의 마음을 전하고자 한다. 이 책의 필자들은 지난 20여 년 동안 학부나 대학원에서 교수님의 가르침을 받은 사람들이다. 그 밖에도 이 책을 엮는 데 도움을 주신 분들이 적지 않다. 특히, 이 책에는 많은 사진과 그림들이 담겨 있는데, 이는 내용을 좀더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많은 부분은 삽화를 직접 그려 사용하였으나 다른 매체에 있는 사진을 빌려 온 것도 있음을 밝혀 둔다. 마땅히 참조한 곳에 대해 일일이 감사를 표시해야 하나 사정상 그렇게 하지 못하였다. 참조한 곳의 목록을 책의 뒤에 실어 놓았음을 밝히며, 이 자리에서나마 그 고마움을 전하고자 한다. 그리고 어려운 여건 속에서도 이 책의 출판을 흔쾌히 맡아주신 출판사에도 감사드린다.

2012년 2월
필자가 모두 같이

목차

개정판 머리말 | v
초판 머리말 | vi
일러두기 | xvi

00 총론: 한국어와 한국어학 | 홍종선
1. 한국어와 한국어학 | 4
2. 한국어학의 하위 분야 | 7
3. 한국어의 특징 | 9

01 음성학 | 신지영
1. 음성의 개념 | 14
2. 발음 기관 | 15
3. 음성 산출 과정 | 18
4. 분류 | 21
자음과 모음: 조음적 분류ㆍ21 | 공명음과 장애음: 음향적 분류ㆍ27

02 음운론 | 정명숙
1. 음운론의 개념 | 32
2. 국어의 분절음 체계 | 33
3. 국어의 운율 체계 | 37
4. 국어의 음운 규칙 | 44
음운론적 조건에 따른 음운 규칙ㆍ45 | 형태론적 조건에 따른 규칙ㆍ49

03 형태론 | 황화상
1. 단어와 형태소 | 60
단어ㆍ61 | 형태소ㆍ62
2. 형태소의 유형 | 63
3. 형태소와 형태, 이형태 교체 | 66
형태소와 형태ㆍ66 | 이형태 교체ㆍ67 | 기본형ㆍ67
4. 형태소 분석 | 68
5. 단어 구조의 분석과 단어의 유형 | 71
단어 구조의 분석: 직접 구성 요소 분석ㆍ71 | 단어의 구성 요소: 어근과 어간, 접사와 어미ㆍ72 | 단어의 형태론적 유형ㆍ74
6. 단어 형성 | 75
합성ㆍ75 | 파생ㆍ76

04 품사론 | 김원경
1. 품사의 개념 | 85
2. 품사 분류 기준 | 86
3. 국어의 품사 체계 | 87
4. 국어의 품사 | 90
명사ㆍ90 | 대명사ㆍ92 | 수사ㆍ94 | 관형사ㆍ96 | 부사ㆍ98 | 감탄사ㆍ100 | 조사ㆍ101 | 동사ㆍ105 | 형용사ㆍ107

05 어휘론 | 도원영
1. 어휘와 어휘소 | 114
2. 어휘의 체계와 분류 | 115
3. 어휘의 양상 | 120
고어, 이전 말, 신어ㆍ121 | 지역 방언ㆍ122 | 문어와 구어ㆍ122 | 높임말과 낮춤말ㆍ123 | 사회 방언ㆍ124 | 비속어, 완곡어, 관용 표현ㆍ125 | 전문어ㆍ126 | 비표준어와 순화 대상어ㆍ126
4. 기초 어휘 | 128
기초 어휘 선정의 필요성ㆍ128 | 기초 어휘 선정 시 고려 사항ㆍ129
5. 사전을 통한 어휘의 탐색 | 132
어휘 사전과 사항 사전ㆍ132 | 일언어 사전과 대역사전ㆍ133 | 대사전, 중사전, 소사전ㆍ134 | 특수 목적용 사전과 부문 사전ㆍ135

06 문장의 구성 | 한정한
1. 문장 성분 | 140
문장의 성분과 종류ㆍ141
2. 기본 문형 | 143
주어ㆍ144 | 서술어ㆍ147 | 목적어ㆍ150 | 보어ㆍ152 | 관형어ㆍ153 | 부사어ㆍ155 | 독립어ㆍ156

07 문장의 종류 | 김의수
1. 문장의 종결 | 162
2. 내포와 접속 | 171

08 문법 요소의 기능과 의미 | 변정민ㆍ유혜원
1. 피동 | 188
피동의 의미와 구성ㆍ188 | 다양한 피동법ㆍ189
2. 사동 | 193
사동의 의미와 구성ㆍ193 | 다양한 사동 표현ㆍ194
3. 높임법 | 197
주체 높임법ㆍ198 | 객체 높임법ㆍ201 | 상대 높임법ㆍ201
4. 시제, 상 그리고 양태 | 203
5. 부정 표현 | 207
‘안’ 부정문ㆍ208 | ‘못’ 부정문ㆍ209 | ‘말다’ 부정문ㆍ210

09 의미론 | 최경봉
1. 의미론이란? | 216
2. 의미의 의미 | 219
의미의 정의ㆍ219 | 의미의 유형ㆍ224
3. 의미의 분석 | 226
4. 의미의 관계 | 230
계열적 의미 관계ㆍ230 | 결합적 의미 관계ㆍ235
5. 의미의 체계 | 236
6. 의미의 변이 | 241
7. 의미의 해석 | 244
문장의 중의성ㆍ245 | 함의와 전제ㆍ246

10 화용론 | 이동혁
1. 화용론의 개념 | 252
2. 직시: 대상 지정하기 | 254
3. 화행: 발화의 실천적 기능, 발화의 행위 | 258
4. 함축: 숨겨진 뜻 | 261

11 방언학 | 김혜영ㆍ차준경
1. 방언의 개념과 가치 | 272
방언과 언어ㆍ272 | 방언과 표준어ㆍ273 | 방언의 가치ㆍ276
2. 지역 방언의 특성 | 277
방언 구획ㆍ277 | 지역 방언의 음운적 특성ㆍ280 | 지역 방언의 어휘적 특성ㆍ281 | 지역 방언의 문법적 특성ㆍ283
3. 사회 방언의 특성 | 285
계층과 언어 변이ㆍ286 | 나이와 언어 변이ㆍ289 | 성별과 언어 변이ㆍ292

12 우리말의 변화 | 차재은
1. 우리말 표기 방법의 변화 | 300
훈민정음과 우리말 표기ㆍ300 | 차자 표기와 그 원리ㆍ302
구결, 이두, 향찰ㆍ303
2. 말소리의 변화 | 305
말소리의 변화를 연구하는 방법ㆍ305 | 자음 체계의 변화ㆍ306
모음 체계의 변화ㆍ308 | 초분절 음소의 변화ㆍ310
형태 변화와 말소리 변화ㆍ311
3. 어휘의 변화 | 313
어휘의 소멸과 생성ㆍ313 | 어휘 의미의 변화ㆍ314 | 외래 어휘의 차용ㆍ315
4. 문법 범주와 문법 형태의 변화 | 316
문법 형태와 문법 범주의 소멸ㆍ316 | 문법 형태의 기능 변화ㆍ318

13 국어 교육 | 김윤주
1. 국어 교육의 성격과 목표 | 326
2. 국어과 교육과정 | 327
국어과 교육과정의 변천ㆍ328 | 2012 개정 국어과 교육과정ㆍ331
3. 국어과 교과서 | 333
교과서의 위상ㆍ333 | 국어 교과서의 기능ㆍ334 | 국어 교과서의 활용ㆍ336
4. 국어과 교수?학습 방법 | 337
교수?학습 모형ㆍ337 | 국어 수업 설계와 실행ㆍ339
5. 국어 교육의 변화와 발전 | 341

14 한국어 교육 | 김지혜ㆍ김서형
1. 한국어 교육의 개념과 범위 | 348
2. 한국어 교육의 목표 및 교육 원리 | 350
3. 한국어 교육의 내용과 방법 | 353
4. 한국어 교육의 현황 및 전망 | 359

15 국어 정보학 | 최석재ㆍ박병선
1. 국어 정보학이란 무엇인가? | 368
컴퓨터와 대화하기ㆍ368 | 자연 언어 처리의 발전ㆍ370 | 새로운 가능성, SHRDLUㆍ372 | 국어 정보학의 과제ㆍ374
2. 언어 자료, 코퍼스 | 376
코퍼스(corpus)의 정의ㆍ377 | 코퍼스의 크기ㆍ378 | 대표성과 균형성ㆍ379 | 코퍼스의 구조ㆍ379
3. 형태소 분석 | 382
형태소 분석의 단위ㆍ384 | 형태소 분석의 어려움ㆍ386 | 형태소 분석 방법ㆍ387
4. 국어 정보학 응용 시스템 | 388
음성 인식 프로그램ㆍ388 | 맞춤법 검사기ㆍ390 | ‘21세기 세종계획’의 성과물ㆍ391
5. 결론 | 392

16 언어 치료 | 이봉원
1. 의사소통 장애와 언어 치료 | 398
의사소통 장애ㆍ398 | 언어 치료학의 정의ㆍ398
2. 언어 치료학의 영역 | 400
조음 음운 장애ㆍ402 | 언어 장애ㆍ403 | 음성 장애ㆍ406 | 유창성 장애ㆍ407 | 청각 장애ㆍ408
3. 국어학과 언어 치료 | 408
음성학과 음운론ㆍ409 | 형태론과 통사론ㆍ410 | 의미론과 화용론ㆍ411 | 국어 지식의 이용ㆍ412
4. 언어 치료학의 현황과 전망 | 413

용어대조표 | 418
찾아보기 | 428

저자소개

저자 홍종선은 고려대학교 국어국문학과 교수

도서소개

[한국어학의 이해]는 시대적 변화를 반영하면서도 배우기 쉽고 가르치기 쉬운 한국어학 입문서이다. 책은 한국어 교육, 한국어 정보처리 그리고 언어 치료학을 별도의 장으로 독립시켜 소개하고, 전체 내용을 쉽고, 흥미롭게 꾸몄으며, 규범문법을 보완하고자 했다.

교환 및 환불안내

도서교환 및 환불
  • ㆍ배송기간은 평일 기준 1~3일 정도 소요됩니다.(스프링 분철은 1일 정도 시간이 더 소요됩니다.)
  • ㆍ상품불량 및 오배송등의 이유로 반품하실 경우, 반품배송비는 무료입니다.
  • ㆍ고객님의 변심에 의한 반품,환불,교환시 택배비는 본인 부담입니다.
  • ㆍ상담원과의 상담없이 교환 및 반품으로 반송된 물품은 책임지지 않습니다.
  • ㆍ이미 발송된 상품의 취소 및 반품, 교환요청시 배송비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 ㆍ반품신청시 반송된 상품의 수령후 환불처리됩니다.(카드사 사정에 따라 카드취소는 시일이 3~5일이 소요될 수 있습니다.)
  • ㆍ주문하신 상품의 반품,교환은 상품수령일로 부터 7일이내에 신청하실 수 있습니다.
  • ㆍ상품이 훼손된 경우 반품 및 교환,환불이 불가능합니다.
  • ㆍ반품/교환시 고객님 귀책사유로 인해 수거가 지연될 경우에는 반품이 제한될 수 있습니다.
  • ㆍ스프링제본 상품은 교환 및 환불이 불가능 합니다.
  • ㆍ군부대(사서함) 및 해외배송은 불가능합니다.
  • ㆍ오후 3시 이후 상담원과 통화되지 않은 취소건에 대해서는 고객 반품비용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반품안내
  • 마이페이지 > 나의상담 > 1 : 1 문의하기 게시판 또는 고객센터 1800-7327
교환/반품주소
  • 경기도 파주시 문발로 211 1층 / (주)북채널 / 전화 : 1800-7327
  • 택배안내 : CJ대한통운(1588-1255)
  • 고객님 변심으로 인한 교환 또는 반품시 왕복 배송비 5,000원을 부담하셔야 하며, 제품 불량 또는 오 배송시에는 전액을 당사에서부담 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