장바구니 담기 close

장바구니에 상품을 담았습니다.

미국 사회와 문화

미국 사회와 문화

  • 최영승
  • |
  • 한국문화사
  • |
  • 2015-09-30 출간
  • |
  • 320페이지
  • |
  • 153 X 225 mm /495g
  • |
  • ISBN 9788968173028
판매가

17,000원

즉시할인가

16,830

배송비

2,300원

(제주/도서산간 배송 추가비용:3,000원)

수량
+ -
총주문금액
16,830

※ 스프링제본 상품은 반품/교환/환불이 불가능하므로 신중하게 선택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출판사서평

[본문 발췌]

1. 미국인
최초의 미국인은 어떤 사람이었을까? 여기서 미국인은 아메리카(America) 대륙에 거주했던 원주민이 아니라 신대륙으로 건너와서 미국이라는 국명을 쓰기까지의 건국과정에서 주도적인 역할을 한 사람들을 말한다. 그들은 한 탐험가의 항해에서 비롯되었다. 1492년 8월 3일 금요일, 해가 뜰 무렵 아침, 크리스토퍼 콜럼버스(Christopher Columbus)라는 이름의 이탈리아의 탐험가가 유럽에서 아시아로 통하는 새로운 길을 찾기 위해 스페인에서부터 항해를 시작했다. 그의 목표는 두 대륙 사이의 짧은 무역항로를 찾아내는 일이었다. 그는 작은 배 세 척을 이용하여 아시아에서 비단과 향신료, 금을 유럽으로 가져와서 팔아 막대한 돈을 벌려는 계획을 가지고 있었다.
콜럼버스는 남쪽에서 카나리아 제도(Canary Islands)까지 항해하였고 다시 중앙 대서양의 알려지지 않은 바다를 건너 서쪽으로 돌아왔다. 스페인을 떠난 10주 후인 10월 12일 아침, 그는 낮은 섬지역의 해변에 도착하게 되었는데, 그 섬 이름을 구세주(Holy Savior)의 섬이라는 뜻으로 산살바도르(San Salvador)라고 지었다. 또한 콜럼버스는 그가 인도대륙에 가까운 섬 가운데 하나인 인도에 도착했다고 믿었는데, 이러한 이유 때문에 콜럼버스는 그에게 친근하게 인사를 건네면서 다가오는 로스 인디오스(los Indios)라고 부르는 갈색피부의 사람들을 인디언(Indian)이라고 부르게 된 것이다.
그러나 사실 콜럼버스는 인도 근처에 있지도 않았었다. 그가 도착한 곳은 아시아의 가장자리가 아니라 새로운 대륙의 끝자락이었던 것이다. 유럽인들은 곧 그 대륙 이름을 아메리카라고 불렀지만, 여러 해 동안 그곳의 거주자들에 대해서는 여전히 인디언이라고 불렀다. 최근에 들어서야 최초의 미국인을 좀 더 정확하게 원주민 미국인(native Americans)이나 아메리카 인디언(Amerindians)이라는 명칭으로 정확하게 부르고 있다.
아메리카 원주민은 굉장히 많은 부족으로 구성되어 있었다. 지금의 미국과 캐나다 지역인 북쪽 멕시코(Mexico)에 있었던 아메리카 원주민들은 부족이라는 단위의 그룹으로 나뉘어져서 들과 숲에 흩어져 있었다. 이 부족들은 각각 굉장히 다른 삶의 방식을 살았다. 몇몇 부족은 사냥을 하면서 생활했고 어떤 부족은 농사를 짓기도 했다. 몇몇 부족은 우호적이었던 반면 다른 부족은 전쟁을 좋아했다. 또한 그들은 300여개의 서로 다른 언어들로 대화를 했는데 그중 몇몇은 영어와 중국어가 다른 것처럼 완전히 다른 언어였다.
유럽인들은 아메리카 대륙을 신세계라고 불렀다. 하지만 이 신세계라는 것이 기존의 아메리카 원주민들에게는 전혀 새로운 세상이 아니었다. 그 원주민들의 조상은 콜럼버스가 산살바도르 해변에 도착했을 때보다 이미 50,000년 이전부터 그곳에 살고 있었기 때문이다. 여기서 아마도 50,000전쯤이라고 대충 말하는 것은 아무도 그 시기를 정확하게 알지 못하기 때문이다. 학자들은 아메리카 원주민들의 먼 조상이 아시아에서 아메리카로 왔을 거라고 믿는다. 그들이 말하기를 사람들이 문자로 기록을 남기기 시작하기 아주 오래 전인 마지막 빙하기 때 이 이주가 시작되었을 것이라고 한다. 그 당시에 얼음다리가 지금의 베링해협(Bering Strait)이라는 곳을 가로질러서 아시아대륙과 아메리카 대륙을 이어주었다고 추정하고 있다. 시베리아(Siberia)의 사냥꾼들이 이 다리를 건너 알래스카(Alaska)로 넘어오게 되었고, 알래스카에서 그 사냥꾼들이 카리부(caribou)와 버펄로(buffalo)가 먹이를 쫓아 다음 장소로 옮겨 다님에 따라 그들도 같이 아메리카 대륙을 가로지르며 북쪽과 동쪽을 이동해 다녔다. 12,000년경 전에 이 최초의 아메리칸 후손들은 파나마지협(the Isthmus of Panama)을 건너 남 아메리카로 오게 되었다. 그리고 약 5,000년경 후에 그들은 그 대륙의 남쪽 끝에 있는 얼어붙은 땅에서 야영하면서 불을 피우기도 했는데 지금은 불의 땅이라는 의미에서 티에라델푸에고(Tierra del Fuego)라고 부른다.
몇 세기 동안, 초기 아메리카 원주민들은 사냥을 하며 떠돌아다니고 식량을 모으며 살았다. 그때부터 좀 더 정착의 모습을 갖춘 삶이 시작된 것이다. 지금의 멕시코 지역인 고지대에 사는 사람들은 먹기 좋은 작은 씨앗들이 자라는 야생 풀밭을 발견했는데, 바로 이 사람들이 아메리카의 첫 번째 농부가 된 것이다. 그들은 더 많은 종자를 키우기 위해서 정성을 다해 들판을 경작했고 결국 그 씨가 인디안 옥수수였던 것이다. 그뿐만 아니라 다른 경작물들도 재배되었다. 기원전 5000년까지 멕시코에 사는 아메리카 원주민들은 콩과 호박, 후추를 재배하여 먹었다.
지금의 애리조나(Arizona)와 뉴멕시코(New Mexico) 지역인 푸에블로(Pueblo)족은 가장 잘 조직된 아메리카 인디언 농부들이었다. 그들은 안전을 위해 가장자리나 절벽 꼭대기에 마을을 지어 집단을 형성하면서 거주했다. 그들은 진흙과 짚을 섞어서 햇볕에 말린 어도비(adobe) 벽돌로 만든 층층의 건물을 공유하였다. 이 건물 중 몇몇은 800개나 되는 방을 가지고 있었고, 그곳의 꼭대기는 많은 사람들로 붐볐다. 푸에블로족은 주변사막에서 거칠게 자란 솜을 이용해 옷과 담요를 만들었다. 또한 자신들의 다리를 뾰족한 돌이나 사막의 선인장으로부터 보호하기 위해서 부츠 모양의 마커슨(moccasin)을 신었다. 음식으로는 옥수수와 콩을 키웠다. 그들은 경작을 하면서 농사일에 성공을 거두었다. 유럽인들이 아메리카로 오기 오래 전에 푸에블로 사람들은 물을 그들의 경작지로 끌어들이기 위해서 사막을 가로지르는 운하도 만들었다. 어느 사막 계곡에서는 푸에블로 인들이 250,000에이커의 밭을 경작할 수 있게 한 운하와 도랑의 흔적들을 한 현대 건축학자가 찾아내기도 했다.

목차

머리말

멋진 신세계

1. 미국인
2. 유럽에서 온 탐험가들
3. 버지니아의 탄생
4. 뉴잉글랜드의 청교도
5. 식민지시대 아메리카의 생활
6. 독립혁명의 발단
7. 독립을 위한 투쟁

신생국가 미국

8. 새로운 나라의 탄생
9. 성장의 세월
10. 태평양쪽으로 서진
11. 북부와 남부
12. 남북 전쟁
13. 국가의 통합과 재건

성장의 세월

14. 광부와 철도 및 소몰이꾼
15. 대평원의 농사
16. 아메리카 원주민들의 마지막 저항
17. 발명과 산업발전
18. 자유의 여신상
19. 혁신과 진보
20. 제국주의
21. 전쟁과 평화
22. 광란의 1920년대
23. 파멸과 대공황
24. 루즈벨트의 뉴딜정책
25. 민주주의의 병기고
26. 번영과 문제점들
27. 흑인

초강대국의 시대

28. 냉전과 한국전쟁
29. 공포의 균형
30. 베트남 전쟁
31. 미국의 뒷마당
32. 냉전의 종식
33. 팍스 아메리카나
34. 여성운동
35. 도전받는 미국

맺음말

참고문헌
찾아보기

저자소개

저자 최영승은 동아대 영문과/ 부산대 대학원 졸업(문학박사)
부산대·동의대 대학원 강사
미국 포덤(Fordham) 대학교 초빙교수
동아대학교 비서실장, 언어교육원장, 학보사 및 방송국 주간, 인문대학장 역임
동아대학교 영문과 교수/ 서울 디지털 대학교 연합대 강의교수

강의교과목
영미시의 이해/ 영미문화/ 영미사회와 영어권문화여행/ 영미문학비평의 이해 (동아대)
영미문화의 키워드/ 미국사회와 문화/ 영화로 읽는 문학이야기/ 영화로 떠나는 미국여행 (SDU)

저서
『영미수필문학의 개관과 이해』 학사원
『영미시의 이해』 한신문화사
『영미문화의 이해』 동아대 출판부
『영미에세이의 이해』 학사원
『영미문화와 지역이해』 동아대 출판부
『영미문학비평』 동아대 출판부
『영미시의 감상과 이해』 우용 출판사
『영미문화의 키워드』 동아대 출판부
『영미시 즐기기』 도서출판 동인
『영국사회와 문화』 동아대 출판부
『미국사회와 문화』 동아대 출판부
『영미지역과 문화』 동아대 출판부
『T. S. 엘리엇 시극』 도서출판 동인(공저, 학술원 우수도서)
『영미문학비평의 이해』 동아대 출판부

도서소개

『역사로 보는 미국사회와 문화』는 미국의 국가 형성 과정을 역사적으로 살펴보면서 드러난 사회문화적 특성을 일별해보는 데 도움을 주고자 한다. 역사적 사건 중심으로 문화적 관찰을 하고 링컨에서 에디슨까지, 신문에서 영화까지, 자동차에서 햄버거까지 모든 미국적인 것을 망라하여 다룬다.

교환 및 환불안내

도서교환 및 환불
  • ㆍ배송기간은 평일 기준 1~3일 정도 소요됩니다.(스프링 분철은 1일 정도 시간이 더 소요됩니다.)
  • ㆍ상품불량 및 오배송등의 이유로 반품하실 경우, 반품배송비는 무료입니다.
  • ㆍ고객님의 변심에 의한 반품,환불,교환시 택배비는 본인 부담입니다.
  • ㆍ상담원과의 상담없이 교환 및 반품으로 반송된 물품은 책임지지 않습니다.
  • ㆍ이미 발송된 상품의 취소 및 반품, 교환요청시 배송비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 ㆍ반품신청시 반송된 상품의 수령후 환불처리됩니다.(카드사 사정에 따라 카드취소는 시일이 3~5일이 소요될 수 있습니다.)
  • ㆍ주문하신 상품의 반품,교환은 상품수령일로 부터 7일이내에 신청하실 수 있습니다.
  • ㆍ상품이 훼손된 경우 반품 및 교환,환불이 불가능합니다.
  • ㆍ반품/교환시 고객님 귀책사유로 인해 수거가 지연될 경우에는 반품이 제한될 수 있습니다.
  • ㆍ스프링제본 상품은 교환 및 환불이 불가능 합니다.
  • ㆍ군부대(사서함) 및 해외배송은 불가능합니다.
  • ㆍ오후 3시 이후 상담원과 통화되지 않은 취소건에 대해서는 고객 반품비용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반품안내
  • 마이페이지 > 나의상담 > 1 : 1 문의하기 게시판 또는 고객센터 1800-7327
교환/반품주소
  • 경기도 파주시 문발로 211 1층 / (주)북채널 / 전화 : 1800-7327
  • 택배안내 : CJ대한통운(1588-1255)
  • 고객님 변심으로 인한 교환 또는 반품시 왕복 배송비 5,000원을 부담하셔야 하며, 제품 불량 또는 오 배송시에는 전액을 당사에서부담 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