옮기는 말
Preface to Korean translation of Figurative Language
『비유 언어』의 한국어판 서문
그림 차례
표 차례
감사의 글
제1장 서론
1.1 비유 언어의 재평가
1.2 은유: 비유적이란 무엇을 뜻하는가?
1.3 환유
1.4 비유적에 대한 이해 확장: 혼성과 비유 문법
1.5 비유 언어, 인지, 문화
1.6 비유 언어의 용법
1.7 기본적 장치: 범주, 틀, 정신공간
1.8 미래로 가는 길
제2장 은유의 기초
2.1 사상의 개념
2.2 틀과 영역
2.3 사상은 어떻게 경험에 기초하는가
2.3.1 영상도식과 경험적 상관성
2.3.2 일차적 은유, 융합, 마음은 몸이다 사상
2.3.3 “양방향적” 은유
2.3.4 은유적 의미 변화
2.4 관습적인가, 아니면 창조적인가?
2.5 인지적 은유 이론의 실험적 뒷받침
2.6 근원영역과 목표영역 사이에서 무엇이 전이되는가?
2.7 결론
2.8 요약
제3장 은유적 구조: 층위와 관계
3.1 은유들 간의 계승과 합성적 관계
3.2 복잡성의 층위
3.3 복합적 사상의 경험적 기초
3.4 영상 은유
3.5 근원영역-목표영역 관계에 대한 제약 -그것은 구체성과 추상성에 관한 것인가?
3.5.1 구체화와 의인화
3.5.2 추상적인 것을 구체적인 것으로 만들기
3.5.3 은유 집단
3.6 결론: 구체성과 추상성, 총칭성과 특정성
3.7 요약
제4장 정신공간과 혼성
4.1 왜 두 영역보다 더 많은 구조에 대해 이야기할 필요가
있는가: 혼성으로서 은유
4.2 정신공간과 틀의 관계
4.3 공간과 틀: 유형과 관계
4.4 혼성 과정과 혼성공간의 유형
4.4.1 혼성공간 구성하기
4.4.2 혼성공간의 유형
4.4.3 복잡한 다중범위 예
4.5 결론
4.6 요약
제5장 환유
5.1 부분-전체 틀 환유, 틀부여, 구체화
5.2 환유와 은유
5.3 환유적 다의성과 의미 변화
5.4 언어적 형태 환유
5.5 틀 환유와 언어 및 인지에서 비대칭성
5.6 범주적 환유의 인지적 기초
5.7 정신공간 구축과 혼성에 대한 환유의 기여
5.8 시각적 혼성에서 환유
5.9 결론
5.10 요약
제6장 문법 구문과 비유적 의미
6.1 서론
6.2 문법과 의미
6.3 구문의 은유적 용법
6.4 문법적 비대칭성과 근원-목표 비대칭성
6.5 사상과 구문으로서 직유
6.5.1 직유의 특징짓기
6.5.2 좁은 범위의 직유
6.5.3 넓은 범위의 직유
6.6 대안적 공간, 직유, 은유
6.7 명사류 수식 구문과 틀 환유
6.7.1 XYZ 구문
6.7.2 명사류 수식
6.7.3 고유명사: 틀부여와 지시
6.7.4 소유격과 경험적 관점
6.7.5 구문적 합성성
6.8 구문과 비유적 의미의 본질
6.9 요약
제7장 은유의 범언어적 연구
7.1 서론: 언어와 인지적 패턴의 범문화적 비교
7.2 언어적 변이와 보편성 조사하기
7.3 은유에서 범언어적 대조, 그리고 범언어적 보편성?
7.4 시간에 대한 공간 은유: 시간은 상대적 이동이다 집단
7.5 시간은 상대적 이동이다를 넘어서
7.6 제스처와 시간적 은유
7.7 시각-제스처 언어와 비유적 용법
7.8 결론
7.9 요약
제8장 담화에서 비유 언어
8.1 은유와 관점: 질병과 중독 담화
8.1.1 경계 도식: 질병에 대한 두 가지 해석
8.1.2 은유와 아이러니
8.1.3 관점화된 경험과 은유: 중독 내러티브
8.2 논증과 언어적 선택
8.2.1 근원영역 of 목표영역 은유
8.2.2 논증 전략으로서 압축
8.2.3 정치 연설에서 틀과 문법
8.3 확장된 환유와 관점
8.4 문학과 비유적 의미
8.4.1 시에서 최소주의와 최대주의
8.4.2 내러티브와 혼성
8.5 과학 담화
8.5.1 원자와 과학적 창조성의 모형화
8.5.2 과학 은유의 지위
8.6 종교 은유
8.7 결론
8.8 요약
제9장 맺음말
9.1 이론적 가정
9.1.1 도식성의 층위와 해석의 층위
9.1.2 관점과 경험
9.1.3 담화 분석하기
9.1.4 실험적 연구의 역할
9.2 언어학적 쟁점
참고문헌
더 읽을거리
인명 찾아보기
주제 찾아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