장바구니 담기 close

장바구니에 상품을 담았습니다.

문화 간 의사소통능력과 다문화교육

문화 간 의사소통능력과 다문화교육

  • 김진석
  • |
  • 한국문화사
  • |
  • 2015-02-27 출간
  • |
  • 396페이지
  • |
  • 153 X 225 X 20 mm /606g
  • |
  • ISBN 9788968172175
판매가

20,000원

즉시할인가

19,800

배송비

2,300원

(제주/도서산간 배송 추가비용:3,000원)

수량
+ -
총주문금액
19,800

※ 스프링제본 상품은 반품/교환/환불이 불가능하므로 신중하게 선택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출판사서평

최근 학습자들에게 의사소통 능력, 창의성, 비판적 사고능력뿐만 아니라 융합, 다문화 이해 및 공감 역량 등이 강조되고 있다. 이를 위해서는 문화적 배경이 다른 화자들과 의사소통하면서 그들의 가치, 신념, 규준, 사회적 관습 등을 이해하고 공감해야 한다. 따라서 시대적·사회적 요구를 바탕으로 학습자의 문화 간 의사소통 능력을 함양할 수 있도록 다문화교육의 목표, 내용, 교수-학습 방법, 평가 등을 제대로 구축해야 한다.
따라서 이 책은 핵심역량과 다문화교육의 목표 및 모형, 문화 간 의사소통 능력, 문화 간 의사소통 능력 기반 다문화교육의 실러버스 및 평가 등 3부로 나누어져 있다.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먼저 학습자들에게 요구하는 핵심역량과 문화적 특성을 살펴본 후 다문화교육의 목표 및 모형을 구축한다. 언어와 문화는 불가분의 관계에 있고 목표 문화나 타문화를 알지 못하면 문화적 배경이 다른 사람과 제대로 의사소통할 수 없기 때문이다.
제2부에서는 문화 간 화자가 갖추어야 할 문화 간 의사소통 능력에 대해 논의한다. 다문화교육은 학습자들이 문화적 배경이 다른 화자들과 의사소통하면서 그들을 이해하고 공감하며 나아가 그들과 통합할 수 있는 능력을 함양하도록 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서는 문화적 배경이 다른 사람들과 적절하고 효과적으로 의사소통할 수 있는 문화 간 의사소통 능력이 강조되어야 한다. 그래서 문화 간 의사소통 능력이 무엇이며, 어떤 요소들로 이루어져 있고, 문화 간 화자가 그 능력을 어떻게 갖추어야 할지를 구체적으로 논의한다.
3부에서는 교실 수업에서 학습자의 문화 간 의사소통 능력을 신장할 수 있도록 다문화교육의 교수-학습 방법 및 평가에 대해 논의한다. 다시 말해서, 제안한 다문화교육의 목표와 수업 모형을 바탕으로 문화 간 의사소통 능력을 신장하기 위해 반드시 필수적인 내용이 무엇이며, 그것을 어떻게 가르치고 평가하는 것이 최적의 방법인지를 논의한다.
이 책은 학습자들의 문화 간 의사소통 능력을 신장하기 위해 문화 간 능력과 의사소통 능력(의사소통, 비언어적 의사소통)을 구체적으로 논의하지만, 교실 수업에서 그 능력을 제대로 함양하기 위해서는 다문화교육이 체계적이고 내실있게 운영되어야 한다. 이런 측면에서 매 장마다 이론적 논의에 더하여 교실 수업에 적용할 수 있는 활동이나 과제를 제시한다.

서문
역동적으로 다변화되어 가고 있는 사회에 능동적으로 적응하기 위해서는 다양한 성장 배경을 가진 사람들과 소통하고 협력해야 하며, 비판적 사고 능력을 기르면서 창의적으로 문제를 해결해 나가는 능력을 갖추어야 한다. 21세기 글로벌 시대에서는 언제 어디서나 SNS를 통해 얻은 지식을 기반으로 다른 사람과 차별화된 비판적 사고 능력과 창의적 문제해결 능력을 갖춘 인재를 요구하고 있기 때문이다.
최근 학습자들에게 의사소통 능력, 창의성, 비판적 사고능력뿐만 아니라 융합, 다문화 이해 및 공감 역량 등이 강조되고 있다. 이를 위해서는 문화적 배경이 다른 화자들과 의사소통하면서 그들의 가치, 신념, 규준, 사회적 관습 등을 이해하고 공감해야 한다. 따라서 시대적·사회적 요구를 바탕으로 학습자의 문화 간 의사소통 능력을 함양할 수 있도록 다문화교육의 목표, 내용, 교수-학습 방법, 평가 등을 제대로 구축해야 한다.
따라서 이 책은 핵심역량과 다문화교육의 목표 및 모형, 문화 간 의사소통 능력, 문화 간 의사소통 능력 기반 다문화교육의 실러버스 및 평가 등 3부로 나누어져 있다.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먼저 학습자들에게 요구하는 핵심역량과 문화적 특성을 살펴본 후 다문화교육의 목표 및 모형을 구축한다. 언어와 문화는 불가분의 관계에 있고 목표 문화나 타문화를 알지 못하면 문화적 배경이 다른 사람과 제대로 의사소통할 수 없기 때문이다.
제2부에서는 문화 간 화자가 갖추어야 할 문화 간 의사소통 능력에 대해 논의한다. 다문화교육은 학습자들이 문화적 배경이 다른 화자들과 의사소통하면서 그들을 이해하고 공감하며 나아가 그들과 통합할 수 있는 능력을 함양하도록 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서는 문화적 배경이 다른 사람들과 적절하고 효과적으로 의사소통할 수 있는 문화 간 의사소통 능력이 강조되어야 한다. 그래서 문화 간 의사소통 능력이 무엇이며, 어떤 요소들로 이루어져 있고, 문화 간 화자가 그 능력을 어떻게 갖추어야 할지를 구체적으로 논의한다.
3부에서는 교실 수업에서 학습자의 문화 간 의사소통 능력을 신장할 수 있도록 다문화교육의 교수-학습 방법 및 평가에 대해 논의한다. 다시 말해서, 제안한 다문화교육의 목표와 수업 모형을 바탕으로 문화 간 의사소통 능력을 신장하기 위해 반드시 필수적인 내용이 무엇이며, 그것을 어떻게 가르치고 평가하는 것이 최적의 방법인지를 논의한다.
이 책은 학습자들의 문화 간 의사소통 능력을 신장하기 위해 문화 간 능력과 의사소통 능력(의사소통, 비언어적 의사소통)을 구체적으로 논의하지만, 교실 수업에서 그 능력을 제대로 함양하기 위해서는 다문화교육이 체계적이고 내실있게 운영되어야 한다. 이런 측면에서 매 장마다 이론적 논의에 더하여 교실 수업에 적용할 수 있는 활동이나 과제를 제시한다. 이 책의 산파 역할을 해 준 한국문화사의 김진수 사장, 김태균 전무, 이상호 부장, 그리고 편집을 맡아 준 강인애 편집자님께 깊은 감사의 뜻을 표한다. 아울러 여러 가지 일로 바쁘게 살아가면서 힘겨울 때 언제나 너그럽게 감싸준 가족들에게 고맙고 미안한 마음을 전한다.
여러 가지로 부족한 책이지만 독자들이 이 책에서 조금이나마 도움을 얻을 수 있다면 큰 기쁨이 아닐 수 없다. 좀 더 좋은 책을 만들 수 있도록 격려의 채찍을 아끼지 말아 달라는 부탁을 드리고 싶다.

2015년 2월
김진석

책속으로 추가

위의 그림에서 같이, 학습자의 3R과 4C를 함양하기 위해서는 다양한 환경적 요인들 즉 학습 환경, 교사 교육, 교육과정 및 교수-학습 방법, 성취기준 및 평가 등을 면밀하게 분석할 필요가 있음을 알 수 있다. 또한, 학습자들이 핵심 역량을 신장하기 위해 정보통신기술을 적절하게 활용할 수 있는 능력도 갖추어야 됨을 강조하고 있다.
우리나라의 교육 상황도 미국의 상황과 그다지 다르지 않다. 최근 교실 수업에서는 학습자의 의사소통 능력, 창의성, 비판적 사고능력 등을 함양하는 데에 초점을 두고 있기 때문이다. 다시 말해서, 교사는 학습자가 수업시간에 제대로 이러한 능력들을 함양할 수 있도록 과제(task)나 프로젝트를 설계하고 구현하는 데에 심혈을 기울이고 있다. 기계적인 암기 위주의 수업으로는 창의성을 신장하는 데에 한계가 있기 때문이다. 예를 들어, 다음의 포지션닝 맵(positioning map)에서와 같이 비판적 사고(critical thinking) 능력과 창의성(creativity)을 축으로 한다면 A지점에 있는 학습자들은 B지점에 있는 학습자들보다 비판적 사고 능력으로 어떤 문제 상황을 창의적으로 해결할 수 있는 능력을 갖추었다고 할 수 있다.

창의성
비판적 사고능력
창의성
비판적
사고능력
A
B

<그림 2> 창의성과 비판적 사고능력

위의 도표에서 B지점에 있는 학습자들은 비판적 사고 능력이 부족하여 새로운 문제 상황이 발생하였는데도 그 문제를 창의적으로 해결할 수 있는 능력이 결여되어 있다고 볼 수 있다. 교사는 B지점에 있는 학습자들을 비판적 사고 능력과 창의성이 높은 A지점으로 향상시킬 수 있도록 수업을 설계할 필요가 있다.
학습자가 갖추어야 할 핵심 역량으로 의사소통 능력, 창의성, 비판적 사고능력뿐만 아니라 융합(convergence), 문화(culture)/다문화(multiculture) 이해 및 공감 역량도 중요하게 고려되어야 한다. 최근 교실 수업에서는 다양한 학문적 영역을 융합하는 STEAM교육을 강조하고 있고, 문화적 배경이 다른 사람과 효과적이고 적절하게 의사소통할 수 있는 능력을 중요시하고 있다. 학습자들이 이러한 역량들을 함양해야 한다는 측면에서 비판적 사고 능력, 창의성, 융합 능력, 의사소통 능력, 문화/다문화 능력 등과 같은 다섯 개의 능력을 구성요소로 하여 다음 그림과 같이 하이파이브 C로 도식할 수 있다.

<그림 3> 하이파이브 C

위에서 손뼉맞장구인 하이파이브는 손을 높이 들어 상대방과 손을 마주치는 행동으로 서로를 축하하는 제스처이다. 하이파이브는 학습자들 간 협력을 함축하고 있다. P21에서 협력과 의사소통은 학습자들이 갖추어야 할 역량 중 하나라고 했다는 점에서 하이파이브는 의미가 있다고 하겠다(김진석, 이용윤, 2015). 또한, 학습자는 문화적 배경이 다른 사람들을 만나 자신의 의도를 제대로 전달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다문화 이해?공감?수용 능력, 의사소통 능력, 문화 간 의사소통 능력(intercultural communicative competence: ICC) ICC를 대체하여 사용되고 있는 용어로는 “transcultural communication, intercultural communication, ethnorelativity, cross-cultural communication, intercultural interaction, biculturalism, cross-cultural awareness, intercultural sensitivity, multiculturalism, global competitive intelligence, intercultural cooperation, pluralingualism, global competence, cultural sensitivity, effective inter-group communication, cross-cultural adaptation, cultural competence, international competence, communicative competence” 등이 있다(Fantini, 2006). ICC에 대한 구체적 논의는 5, 6, 7장 참조.
등을 신장할 필요가 있다.

목차

서문 V

1부 핵심역량과 다문화교육의 목표 및 모형

제 1장 학습자의 핵심역량과 문화의 특성 3
제 2장 문화 유형 30
제 3장 언어와 문화: 습득.학습 56
제 4장 다문화교육의 목표 및 모형 74

2부 문화 간 의사소통 능력
제 5장 문화 간 의사소통 능력: 언어적 의사소통 101
제 6장 문화 간 의사소통 능력: 비언어적 의사소통 132
제 7장 문화 간 적응 발달 기반 문화 간 의사소통 능력 신장 단계 152

3부 문화 간 의사소통 능력 기반 다문화교육의 실러버스 및 평가

제 8장 다문화교육의 내용체계 177
제 9장 다문화교육: 교수.학습 방법 199
제 10장 문화 간 의사소통 능력의 평가 245

참고문헌 272
부록 1, 2 292
인명, 주제어 찾아보기 375

저자소개

저자 김진석은
약력
부산대학교 영어교육학과 졸업
부산대학교 대학원(석박사)
학장여자중학교 교사
중앙여자고등학교 교사
한국교육과정평가원 연구위원(국가영어능력시험 연구개발부장)
2007, 2008 개정 영어과 교육과정 연구개발위원
(현) 서울교육대학교 영어교육과 교수

저서
영어과교육과정 및 평가
영어로 수업하는 영어수업인증제(공저)
초등영어과교육과정의 이해와 적용
문화속의 영어, 영어속의 문화(공저)
초등영어 교육 및 평가(공저)
담화분석과 영어교육

도서소개

문화적 배경이 다른 화자들과 의사소통하면서 그들의 가치, 신념, 규준, 사회적 관습 등을 이해하고 공감해야 한다. 따라서 시대적·사회적 요구를 바탕으로 학습자의 문화 간 의사소통 능력을 함양할 수 있도록 다문화교육의 목표, 내용, 교수-학습 방법, 평가 등을 제대로 구축해야 한다. [문화 간 의사소통능력과 다문화교육]은 핵심역량과 다문화교육의 목표 및 모형, 문화 간 의사소통 능력, 문화 간 의사소통 능력 기반 다문화교육의 실러버스 및 평가 등 3부로 나누어져 있다.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먼저 학습자들에게 요구하는 핵심역량과 문화적 특성을 살펴본 후 다문화교육의 목표 및 모형을 구축한다.

교환 및 환불안내

도서교환 및 환불
  • ㆍ배송기간은 평일 기준 1~3일 정도 소요됩니다.(스프링 분철은 1일 정도 시간이 더 소요됩니다.)
  • ㆍ상품불량 및 오배송등의 이유로 반품하실 경우, 반품배송비는 무료입니다.
  • ㆍ고객님의 변심에 의한 반품,환불,교환시 택배비는 본인 부담입니다.
  • ㆍ상담원과의 상담없이 교환 및 반품으로 반송된 물품은 책임지지 않습니다.
  • ㆍ이미 발송된 상품의 취소 및 반품, 교환요청시 배송비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 ㆍ반품신청시 반송된 상품의 수령후 환불처리됩니다.(카드사 사정에 따라 카드취소는 시일이 3~5일이 소요될 수 있습니다.)
  • ㆍ주문하신 상품의 반품,교환은 상품수령일로 부터 7일이내에 신청하실 수 있습니다.
  • ㆍ상품이 훼손된 경우 반품 및 교환,환불이 불가능합니다.
  • ㆍ반품/교환시 고객님 귀책사유로 인해 수거가 지연될 경우에는 반품이 제한될 수 있습니다.
  • ㆍ스프링제본 상품은 교환 및 환불이 불가능 합니다.
  • ㆍ군부대(사서함) 및 해외배송은 불가능합니다.
  • ㆍ오후 3시 이후 상담원과 통화되지 않은 취소건에 대해서는 고객 반품비용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반품안내
  • 마이페이지 > 나의상담 > 1 : 1 문의하기 게시판 또는 고객센터 1800-7327
교환/반품주소
  • 경기도 파주시 문발로 211 1층 / (주)북채널 / 전화 : 1800-7327
  • 택배안내 : CJ대한통운(1588-1255)
  • 고객님 변심으로 인한 교환 또는 반품시 왕복 배송비 5,000원을 부담하셔야 하며, 제품 불량 또는 오 배송시에는 전액을 당사에서부담 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