장바구니 담기 close

장바구니에 상품을 담았습니다.

근대문화사 4

근대문화사 4

  • 에곤 프리델
  • |
  • 한국문화사
  • |
  • 2015-07-20 출간
  • |
  • 520페이지
  • |
  • 153 X 225 X 31 mm /888g
  • |
  • ISBN 9788968172489
판매가

30,000원

즉시할인가

29,100

배송비

2,300원

(제주/도서산간 배송 추가비용:3,000원)

수량
+ -
총주문금액
29,100

※ 스프링제본 상품은 반품/교환/환불이 불가능하므로 신중하게 선택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출판사서평

베네데토 크로체, 야콥 부르크하르트,
그리고 에곤 프리델!
에곤 프리델의 『근대문화사(Kulturgeschichte der Neuzeit)』 한국어판 드디어 출간


독일어판 1,600쪽 분량에 가까운 『근대문화사』는 출간되자마자 대중에게 폭발적 관심을 받았다. 당대에도 표현주의 작가 알프레트 되블린과 저널리스트 레오폴트 슈바르츠쉴트, 극작가 아르투어 슈니츨러 등의 추천을 받은 『근대문화사』는 수십 개 나라의 언어로 번역 출간되기도 했다.

흑사병 발병 시기인 1340년대부터 1914년 1차 세계대전이 터지기까지
600여 년의 유럽 문화를 관통한다


"결단코 일어나지 말아야 했을 사건에 대해 상세히 묘사하는 것이 역사기술자의 과제일 뿐만 아니라 모든 현실 교양인의 천부적 권리이기도 하다." -오스카 와일드

이 기념비적인 작품은 600여 년간 서구인이 겪은 문화적 부침의 역사를 섬세한 예술적·철학적 문화프리즘으로 그려낸다. 이 부침의 역사 속에는 예술과 종교, 정치와 혁명, 과학과 기술, 전쟁과 억압 등속의 거시적 문화 조류뿐만 아니라 음식·놀이·문학·철학·음악·춤·미술·의상·가발 등과 같은 미시적인 일상생활의 문화 조류도 포함된다.

저자 에곤 프리델이 『근대문화사』에서 역사를 보는 관점은 이전까지의 문화사(文化史) 책과 다르다. '역사적 사건'을 중심으로 사실관계를 나열하며 논지를 풀어가는, 백화점식 보고 형식이나 인과관계를 추적하는 기존의 논리적 역사기술 방식과는 확연히 다른 미학적·도덕적 성격이 짙다. 저자 에곤 프리델은 '문화사 기술방식'을 '사실의 설명적 보고'와 '사실 인과관계의 논리적 기술' 및 '사실의 미학적·윤리적 기술'로 종래 방식대로 구분하면서도 이를 넘나들며 모두를 망라한 '융·복합적 기술방식'을 선택한다. 그렇지만 이야기 전체를 풀어가는 서술방식은 창조적인 '시학' 내지는 문화적 '미학서'와 같은 인상을 강하게 풍긴다.

미시적 문화 조류에 대한 섬세한 탐색
망탈리테의 역사, 이야기체 역사의 선구

'시대정신'이 어떻게 구체적인 '일상적 삶'으로 표현되는가
의·식·주의 스타일이 각 '시대정신'과 어떻게 만나는가
- 천재적인 딜레당트 에곤 프리델이 그린
정신적 의상(衣裳)의 역사(Seelische Kostumgeschichte)


에곤 프리델의 『근대문화사』의 강점은 무엇보다 미시적 문화 조류에 대한 탐색이 섬세하게 이루어진다는 점에 있다. 예컨대 큰 종 모양의 치마, 일명 '정절지킴이'로 불렸던 의상 라이프로크는 바로크의 형식적 화려함 속에 가려진 몰락의 추태를 나타내주기도 하지만 이 의상의 출현 때문에 파리와 같은 도시의 골목길이 넓혀지는 문화적 변화를 보여주기도 한다. 말하자면 미시적 문화와 거시적 문화의 변증법적 통일을 드러내주는 것이다.

에곤 프리델은 이 책에서 근대를 규정하는 수세기에 걸친 다양한 조류를 추적하며, 가장 중대한 정신적·정치적·사회적 발전 면모를 설명하면서 그때마다 결정적인 인물들을 뚜렷한 초상으로 그려낸다. 프리델의 문화프리즘을 통해 보면 위대한 인물과 시대정신은 상호 연관성을 지니면서도 마치 독립적인 듯한 변증법적 모순을 함축한다. 이의 압축된 표현이 바로 "천재는 시대의 산물이다", "시대는 천재의 산물이다", "천재와 시대는 공약수가 없다"는 식의 테제일 것이다. 루터, 라파엘로, 발렌슈타인과 구스타프 바사, 프리드리히 2세와 루이 14세, 펠리페 2세, 스피노자, 괴테, 칸트, 니체, 슈펭글러, 볼프, 고흐, 비스마르크, 프로이트, 빌헬름 2세 … 이들도 자신들의 삶에서 시대정신을 체현하고 있다. 한 시대는 그를 온몸으로 겪으며 살아간 구체적인 인물의 삶을 통해 들여다 볼 필요가 있으며, 이는 시대정신을 구체적으로 생동감 있게 이해할 통로를 제공해 준다. 시대정신을 체현하는 이 테제의 핵심을 가로지르는 것이 그가 만든 개념인 '정신적 의상의 역사(Eine seelische Kostumgeschichte)'라고 할 수 있다. 말하자면 '시대정신'이 어떻게 구체적인 '일상'으로, 위대한 인물 개인의 삶으로 표현되는가, 의·식·주의 스타일이 각 '시대정신'과 어떻게 만나 그 시대의 생활형식(Lebensform)이 되는가를 서술하려 한 것이다. 그의 이러한 서술방식은 '두텁게 읽기, 다르게 읽기, 작은 것을 통해 읽기' 등의 방법론으로 요약되는 망탈리테의 역사, 이야기체 역사를 앞선 업적이라 할 수 있다.

"권력을 획득한 대(大)부르주아지가 즉물적으로, 현실적으로 재미없게, 그래서 따분하게, 그리고 꾸밈도 환상도 없이 처신하는 것도 일종의 의상인 셈이다. 금융자본가가 자신의 은행 집무실 바깥에서도 동물적인 성실함을 갖고 실용적으로 서민처럼 행하는 그 모든 것도 의상이며, 연기와 그을음을 먹고 살아가는 날품팔이, 마권(馬券) 장수, 외판원, 그리고 상인과 저널리스트들, 상품유통이나 정보수집의 어설픈 대리인들에게도 나름의 의상이 있었다."
-『근대문화사』 본문 중에서

반유대주의의 유대인, 에곤 프리델
『근대문화사』 또한 그 시대의 집단적 의식의 산물이다

"최상의 것은 병적인 것과 함께 시작되는 것이 아닐까?" -노발리스


『근대문화사』에는 저자 프리델의 민족심리학이 반복적으로 비치기도 한다. 저자가 만일 유대인 출신 나치 희생자가 아니라 제국 문서실 일원이었다면 반유대주의의 선동으로 보일 부분도 있다. 그 자신 유대인이었던 프리델은 '유대인의 정신'에 대한 반감을 결코 감추지 않았다. 이는 유럽에 동화되려는 19세기 유대인들 사이에서 때때로 볼 수 있었던 '자기혐오'의 일종이라 할 수 있다. 그러나 나치가 등장하자 그는, 프리델 선집에 「책임과 속죄(Schuld und Suhne)」를 후기로 쓴 헤르베르트 일리히(Heribert Illig)의 추측에 따르면, 자책감에 시달린 것 같다. 일리히는 이렇게 추단한다. "프리델은 히틀러의 등장에 공범 의식을 가진 것이 틀림없다! 그의 작품은 니체의 작품이 그랬듯 '위대한 독재자'에게 수많은 변명거리를 제공했다. 그는 이 사실을 알았다. 자신의 『근대문화사』를 '대단히 반근대적·반자본주의적·반기술적·반합리주의적인 작품, 한마디로 앵글로색슨계에 반하는 작품'으로 판정했었기에 …" 19세기 말~20세기 초 오스트리아 빈은 보수와 진보, 전통과 현대, 민족주의와 국제주의, 유대인의 활동과 반유대주의, 이 모든 모순적 요소가 뒤섞여 있었다. 이에 따라 에곤 프리델 역시 각 시대의 모든 요소가 뒤섞여 상쇄·절충되는 진통을 『근대문화사』에서 서술한다. 이는 그가 흑사병이 발생한 1348년을 근대의 시작으로 보는 데서도 알 수 있다. 그의 '근대'는 보편적 파국에 따른 쇼크와 뒤이은 카오스 상태로 집단적 표상이 유동하면서 생겨난 것이다.

"헛되게도 이성은 편견이 세상을 지배하고 있다고 한탄한다. 그러나 이성 자체가 세상을 지배하려 한다면 이성도 마찬가지로 편견으로 변하고 말 것이다." -이폴리트 텐

에곤 프리델이 『근대문화사』로 들려주려 했던 '새로운 문화 이야기'는 근대 계몽의 당찬 기획을 실패로 본 1940년대 프랑크푸르트학파의 관점을 그들보다 먼저 보여준다. 이는 『근대문화사』의 부제인 《유럽 영혼이 직면한 위기》에서 확인할 수 있다. 프리델에게 근대화 과정은 위기였으며, '실재론(Realismus)'에 대한 '유명론(Nominalismus)'의 승리, 신에 대한 이성의 승리, '귀납적 인간(induktiver Mensch)'에 대한 '연역적 인간(deduktiver Mensch)'의 승리였다. '연역적 인간'의 승리는 '이성'에 복종하지 않는 모든 것을 단박에 '불량종자(mauvis genre)'로 취급하는 데카르트적 이성의 승리를 의미하기도 한다. 여기서 이성은 '형제가 없는 정신'이 될 수밖에 없고, 중세적 공동체는 해체될 수밖에 없다는 것이 바로 『근대문화사』를 관통하는 문화프리즘이다. '형제가 없는 정신'을 『계몽의 변증법』의 저자 아도르노와 호르크하이머의 말로 표현하면 '도구적 이성'이 될 것이다. 이런 이성의 궁극적 표현이 세계대전으로 귀결된다고 보는 데서도 『근대문화사』와 『계몽의 변증법』은 서로 닮았다. 다만 차이가 있다면 『계몽의 변증법』은 '이성'에 내재하는 억압적 요소를 '계몽을 넘어서는 계몽'과 같은 반성적 계몽을 통해 극복하려 하는 반면 『근대문화사』는 지금까지의 세계를 구성해온 이분법적 체계, 즉 정신과 물질의 세계와는 다른 곳에서 오는 제3의 불빛을 찾고 있다는 점이다.

"정신은 현실 너머에 서 있고, 물질은 현실 아래에 있다 … 그러나 이와 동시에 다른 쪽에서부터 비쳐오는 흐릿한 불빛이 하나 반짝이고 있다.
유럽 문화사의 다음 장은 바로 이 불빛의 역사가 될 것이다." - 『근대문화사』 에필로그

목차

01 공허의 심연

가장 깊은 지옥계 | 비현실적인 현대 | 시적·역사적 진실과 저널리즘의 진실 | 정신사조 | '비판적인' 역사기술 | 역사는 고안된다 | 역사의 지위 상승 | 낭만주의란 무엇인가? | '유기적인' 것 | 병든 거위 | 빈 회의 | 탈레랑 | 새로운 지도 | 신성동맹 | 내부를 향한 전선 | 나폴레옹 신화 | 고풍의 독일 사람들 | 남아메리카와 그리스의 해방 | 오스트리아의 전염병 | '근대적 이념' | 낭만주의의 메피스토 | 낭만주의적 학문 | 창의적인 민족정신 | 유추의 마술지팡이 | 낭만주의 시문학의 탄생 | 그릴파르처와 라이문트 | 클라이스트 | 색채론과 비교감각생리학 | 전기와 화학의 발견 | 유사요법 | 로시니·베버·슈베르트 | 비더마이어 | 나자렛파 | 제리코와 생시몽, 그리고 스탕달 | 시대의 대명사가 된 영웅 | 바이런주의 | 시대의 자의식 | 변증법적 방법 | 헤겔의 역사철학 | 헤겔에 의한 헤겔의 상환

02 궂은 노래

가스등 불빛 아래의 세계 | 기관차 1호 | 고속인쇄기 | 석판화 | 도미에 | 새로운 신 | 발자크 | 7월 왕정 | 벨기에·폴란드·함바흐 | 왕좌에 오른 낭만주의자 | 맨체스터 | 사회적 문제 | 프리드리히 리스트 | 사색가로서의 영웅 | 영안이 밝은 사람 | 오직 경뿐 | 칼라일의 신앙 | 다비드 프리드리히 슈트라우스 | 가톨릭 신학 | 키르케고르와 슈티르너 | 루트비히 포이어바흐 | 넵튠·실현주의·입체경·전기제판 | 에너지법칙 | 분화석·물 치료법·모스 전신 키·은판 사진법 | 랑케 | 프랑스 낭만주의 | 위고·뒤마·스크리브·쉬 | 들라크루아 | 정치적 음악 | 멘델스존과 슈만 | 청년독일 | '시대정신' | 구츠코 | 라우베와 하이네 | 정치적인 회화 | 게오르크 뷔히너 | 네스트로이 | 안데르센 | 파랑새

03 헛짓

후렴 | 2월 혁명 | 국민작업장 | 3월 | 격변 | 올뮈츠 | 나폴레옹 3세 | 문명 | 크림 전쟁 | 해방자 차르 | 러시아의 영혼 | 슬라브파와 서구파 | 오블로모프 | 솔페리노 | 천의 용사들 | 카나유 장르 | 오펜바흐 | 구노 | 풍속극 | 콩트주의 | 스펜서와 버클 | 다윈 | 안티-다윈 | 다윈주의의 바울 | 알 수 없음 | 스펙트럼 분석 | 생명의 형성 | 세포병리학과 정신물리학 | 환경론 | 플로베르 | 부도덕한 작가 | 르낭 | 생트뵈브 | 고답파의 시인들 | 러스킨 | 라파엘로전파 | 심미주의자 | 휘트먼과 소로우 | 에머슨 | 유물론 | 마르크스주의 | 계급투쟁 | 라살 | 몸젠 | 작가 세미나 | 마르리트 | 독일 문학의 결산 | 헤벨과 오토 루트비히 | 반시인 | 포이어바흐와 마레 | 두 철학자 | 쇼펜하우어의 성격 | 쇼펜하우어의 철학 | 고전적 낭만주의자 | 비스마르크와 프리드리히 대왕 | 마지막 영웅 | 남북전쟁 | 후아레스와 막시밀리안 | 슐레스비히-홀슈타인 | 1866년 | 쿠스토차 | 크리스마니치와 몰트케 | 쾨니히그레츠 | 리사 | 니콜스부르크 | 헝가리의 조정 | 지역화한 세계대전 | 스페인의 폭탄 | 베를린으로!

연표
인명 찾아보기

저자소개

저자 에곤 프리델(Egon Friedell)은 1878년 1월 21일 오스트리아 빈에서 출생. 자유주의 분위기가 지배적인 하이델베르크 대학에서 수학하면서 헤겔을 공부함. 『철학자로서의 노발리스』로 박사학위를 취득하고, 진보적인 잡지 『횃불』에 글을 실으면서 저널리스트로 활동하기 시작함. 극작가·연극평론가·문예비평가·문화학자로 활약함. 1920~1930년대, 오스트리아 빈 문화계에서 중요한 인사로 활동함. 막스 라인하르트(Max Reinhardt)가 이끄는 베를린과 빈 극단에서 1922년부터 1927년까지 연극배우로 이름을 날리기도 했음. 히틀러 군대가 오스트리아로 침공한 직후인 1938년 3월 16일, 나치 돌격대의 가택 체포 작전을 눈치 채고 자신이 거주하던 아파트 4층 창문으로 뛰어내려 향년 60세로 생을 마감함. 주요 저작으로는 『단테에서 단눈치오까지』(1915), 『유다의 비극』(1922), 『이집트와 고대 동양의 문화사』(1936) 등이 있고, 유고집으로 나온 작품으로는 『그리스 문화사』(1940), 『타임머신 여행』(1946), 『고대 문화사』(1949), 『고대는 고대가 아니었다』(1950) 등 다수가 있음.

도서소개

600여 년간 서구인이 겪은 문화적 부침의 역사를 섬세한 예술적·철학적 문화프리즘으로 그려낸 『근대문화사』 제4권. 예술과 종교, 정치와 혁명, 과학과 기술, 전쟁과 억압 등속의 거시적 문화 조류뿐만 아니라 음식·놀이·문학·철학·음악·춤·미술·의상·가발 등과 같은 미시적인 일상생활의 문화 조류도 포함된다. 에곤 프리델은 이 책에서 근대를 규정하는 수세기에 걸친 다양한 조류를 추적하며, 가장 중대한 정신적·정치적·사회적 발전 면모를 설명하면서 그때마다 결정적인 인물들을 뚜렷한 초상으로 그려낸다.

교환 및 환불안내

도서교환 및 환불
  • ㆍ배송기간은 평일 기준 1~3일 정도 소요됩니다.(스프링 분철은 1일 정도 시간이 더 소요됩니다.)
  • ㆍ상품불량 및 오배송등의 이유로 반품하실 경우, 반품배송비는 무료입니다.
  • ㆍ고객님의 변심에 의한 반품,환불,교환시 택배비는 본인 부담입니다.
  • ㆍ상담원과의 상담없이 교환 및 반품으로 반송된 물품은 책임지지 않습니다.
  • ㆍ이미 발송된 상품의 취소 및 반품, 교환요청시 배송비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 ㆍ반품신청시 반송된 상품의 수령후 환불처리됩니다.(카드사 사정에 따라 카드취소는 시일이 3~5일이 소요될 수 있습니다.)
  • ㆍ주문하신 상품의 반품,교환은 상품수령일로 부터 7일이내에 신청하실 수 있습니다.
  • ㆍ상품이 훼손된 경우 반품 및 교환,환불이 불가능합니다.
  • ㆍ반품/교환시 고객님 귀책사유로 인해 수거가 지연될 경우에는 반품이 제한될 수 있습니다.
  • ㆍ스프링제본 상품은 교환 및 환불이 불가능 합니다.
  • ㆍ군부대(사서함) 및 해외배송은 불가능합니다.
  • ㆍ오후 3시 이후 상담원과 통화되지 않은 취소건에 대해서는 고객 반품비용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반품안내
  • 마이페이지 > 나의상담 > 1 : 1 문의하기 게시판 또는 고객센터 1800-7327
교환/반품주소
  • 경기도 파주시 문발로 211 1층 / (주)북채널 / 전화 : 1800-7327
  • 택배안내 : CJ대한통운(1588-1255)
  • 고객님 변심으로 인한 교환 또는 반품시 왕복 배송비 5,000원을 부담하셔야 하며, 제품 불량 또는 오 배송시에는 전액을 당사에서부담 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