장바구니 담기 close

장바구니에 상품을 담았습니다.

이태백 시집 2

이태백 시집 2

  • 이백
  • |
  • 학고방
  • |
  • 2015-03-30 출간
  • |
  • 452페이지
  • |
  • 160 X 230 X 30 mm
  • |
  • ISBN 9788960714809
판매가

33,000원

즉시할인가

32,010

배송비

2,300원

(제주/도서산간 배송 추가비용:3,000원)

수량
+ -
총주문금액
32,010

※ 스프링제본 상품은 반품/교환/환불이 불가능하므로 신중하게 선택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출판사서평

도서 주요내용 및 기여도

이백의 시 1072수를 한국어로 번역하였다. 현재 남아있는 그의 시는 물론이고 일부 구절만 남아있는 것까지 모두 수록하여 세계 최초로 그의 시를 완전하게 수록하였다. 그리고 한국, 중국, 대만, 일본 등의 역대 주석가와 번역가의 연구 성과를 모두 참조하여 명실상부 세계 최고의 이백 시집을 만들었다.
또한 해제를 통해 시가 지어진 계기와 배경에 대해 설명하였으며 시의 내용도 축약하여 독자의 이해를 도왔다. 주석에서는 어려운 한자에 대한 설명은 물론이고, 관련 고사의 내용 또한 쉽게 풀어서 수록하였다. 그리고 다양한 해석이 가능한 경우 별해를 소개함으로써 독자의 감상을 더욱 깊게 할 수 있는 여지를 제공하였다.
이백은 두보와 함께 중국의 대표적인 시인이며 많은 사람들이 그의 시를 좋아한다. 한국 사람도 예외가 아니다. 심지어 “달아 달아 밝은 달아 이태백이 놀던 달아”라는 노래까지 있을 정도이다. 시의 신선이라 불리며 호방하고 낭만적인 시풍으로 알려져 있다. 우리 선조들도 이백과 두보를 병칭하며 학문에 있어 빠져서는 안 될 학습 내용이었으며, 그들의 시를 본받고자 하였다.
현재 한국어로 중국 고전 시인들의 작품이 완역된 것은 얼마 되지 않는다. 도연명, 왕유, 맹호연 등이 고작이다. 하지만 이들의 시는 모두 몇 백수에 불과하다. 시가 천 수 이상 남아있는 대형작가로는 아직 완역된 예가 없으며 두보와 소식의 시 전역이 지금 진행중이다. 지금 출간된 ≪이태백시집≫은 중국의 대형작가 작품으로서는 처음으로 한국어로 번역되었으며, 이로 인해 이백 관련 연구뿐만 아니라 중국 고전 시가 연구에 새로운 바람을 불러일으킬 것으로 예상된다.
이백의 대표작을 중심으로 한 시선집은 여러 종이 출간되어 있는데, 이러한 선집으로는 이백 시의 전모를 파악하기 어렵다. 그 부작용으로 이백의 시는 술과 관련된 것만 있다거나 과장과 낭만이 주요 내용이라고 알려지게 되었다. 하지만 그의 시에는 진한 외로움과 슬픔이 담겨 있다. 그 외로움과 슬픔을 이기기 위해 술을 마셨고 실패를 딛고 다시 일어서기 위해 힘찬 기상을 표현하였다. 이제 ≪이태백시집≫의 출간을 통해 그의 시세계 전모를 파악할 수 있을 것이다.

목차

머리말 v
126. 오랑캐 말을 탄 유주의 협객 幽州胡馬客歌 1
127. 문 밖에 수레를 탄 손님이 있다 門有車馬客行 5
128. 군자가 그리워하는 바가 있다 君子有所思行 9
129. 동해의 용감한 부인 東海有勇婦 13
130. 누런 칡 黃葛篇 20
131. 흰 말 白馬篇 23
132. 봉황의 소리를 내는 생 鳳笙篇 27
133. 원망의 노래 怨歌行 30
134. 변새 아래에서 6수 제1수 塞下曲 六首 其一 34
135. 변새 아래에서 6수 제2수 塞下曲 六首 其二 36
136. 변새 아래에서 6수 제3수 塞下曲 六首 其三 38
137. 변새 아래에서 6수 제4수 塞下曲 六首 其四 40
138. 변새 아래에서 6수 제5수 塞下曲 六首 其五 42
139. 변새 아래에서 6수 제6수 塞下曲 六首 其六 44
140. 지난날엔 많이 힘들었다 來日大難 46
141. 변새 위에서 塞上曲 50
142. 옥 계단에서 원망하다 玉階怨 53
143. 양양 4수 제1수 襄陽曲 四首 其一 55
144. 양양 4수 제2수 襄陽曲 四首 其二 57
145. 양양 4수 제3수 襄陽曲 四首 其三 59
146. 양양 4수 제4수 襄陽曲 四首 其四 61
147. 대제 大堤曲 62
148. 궁중의 즐거움 8수 제1수 宮中行樂詞 八首 其一 64
149. 궁중의 즐거움 8수 제2수 宮中行樂詞 八首 其二 66
150. 궁중의 즐거움 8수 제3수 宮中行樂詞 八首 其三 68
151. 궁중의 즐거움 8수 제4수 宮中行樂詞 八首 其四 70
152. 궁중의 즐거움 8수 제5수 宮中行樂詞 八首 其五 72
153. 궁중의 즐거움 8수 제6수 宮中行樂詞 八首 其六 74
154. 궁중의 즐거움 8수 제7수 宮中行樂詞 八首 其七 76
155. 궁중의 즐거움 8수 제8수 宮中行樂詞 八首 其八 78
156. 청평조사 3수 제1수 淸平調詞三首 其一 80
157. 청평조사 3수 제2수 淸平調詞三首 其二 82
158. 청평조사 3수 제3수 淸平調詞三首 其三 84
159. 음악을 울리며 조회에 들어가다 鼓吹入朝曲 86
160. 진여휴 秦女休行 89
161. 진나라 여인이 천자의 옷을 말아 개다 秦女卷衣 93
162. 동무 東武吟 96
163. 한단의 궁녀가 시집가서 허드렛일 하는 부역인의 부인이 되다 邯鄲才人嫁爲?養卒婦 102
164. 계주 북문을 나서다 出自?北門行 105
165. 낙양의 길 洛陽陌 109
166. 북쪽으로 가다 北上行 110
167. 짧은 노래 短歌行 114
168. 빈 성의 참새 空城雀 117
169. 보살만 菩薩蠻 120
170. 억진아 憶秦娥 123
171. 백마진을 출발하다 發白馬 126
172. 밭두둑의 뽕나무 陌上桑 130
173. 말라죽은 물고기가 황하를 건너며 눈물을 흘리다 枯魚過河泣 134
174. 정 도호 丁都護歌 137
175. 서로 만나다 相逢行 140
176. 천 리의 그리움 千里思 144
177. 숲 속의 풀 樹中草 146
178. 그대의 말이 누렇다 君馬黃 148
179. 옛 시를 본뜨다 擬古 151
180. 버들을 꺾다 折楊柳 153
181. 젊은이 少年子 155
182. 자류마 紫?馬 157
183. 젊은이 2수 제1수 少年行二首 其一 159
184. 젊은이 2수 제2수 少年行二首 其二 162
185. 하얀 코의 말 白鼻? 164
186. 예장 豫章行 166
187. 목욕하는 사람 沐浴子 170
188. 고구려 高句驪 172
189. 고요한 밤의 그리움 靜夜思 174
190. 맑은 물 ?水曲 175
191. 봉황 鳳凰曲 177
192. 봉대 鳳臺曲 179
193. 종군 從軍行 181
194. 가을 상념 秋思 183
195. 봄 상념 春思 185
196. 가을 상념 秋思 187
197. 자야의 노래 4수 제1수 子夜吳歌四首 其一 189
198. 자야의 노래 4수 제2수 子夜吳歌四首 其二 191
199. 자야의 노래 4수 제3수 子夜吳歌四首 其三 193
200. 자야의 노래 4수 제4수 子夜吳歌四首 其四 195
201. 술을 마주하다 對酒行 197
202. 떠돌이 상인 ?客行 200
203. 다듬이질 ?衣篇 201
204. 젊은이 少年行 206
205. 긴 노래 長歌行 211
206. 오랜 그리움 長相思 214
207. 사나운 호랑이 猛虎行 217
208. 버림받은 여인 去婦詞 225
3 가음歌吟 233
209. 양양 襄陽歌 235
210. 남도 南都行 243
211. 강 위에서 江上吟 247
212.의춘원에서 황제를 모시다가 황제의 명을 받들어 용지의 버들빛이 막 푸를 때 새로 나온 꾀꼬리가 사방에서 지저귀는 소리 듣는 것을 읊다 侍從宜春苑, 奉詔, 賦龍池柳色初靑聽新鶯百?歌 251
213. 옥 타구 玉壺吟 255
214. 빈 땅의 노래를 읊어 형님인 이찬 신평장사께 올리다 ?歌行上新平長史兄粲 259
215. 화산의 운대봉을 노래하여 원단구를 전송하다 西岳雲臺歌送丹丘子 263
216. 원단구 元丹丘歌 268
217. 부풍의 호걸 扶風豪士歌 271
218. 문중 동생인 금성위 이숙경과 함께 벽에 그려진 산수화를 촛불로 비춰보다 同族弟金城尉叔卿, 燭照山水壁畵歌 277
219. 백호자 白毫子歌 280
220. 양원 梁園吟 283
221. 명고산을 노래해 잠 징군을 보내다 鳴皐歌送岑徵君 289
222. 명고산을 노래해 문중 어르신인 이청께서 오애의 산장으로 돌아가시는 것을 받들어 전별하다 鳴皐歌奉餞從翁淸歸五崖山居 300
223. 노로정 勞勞亭歌 304
224. 횡강 6수 제1수 橫江詞六首 其一 307
225. 횡강 6수 제2수 橫江詞六首 其二 309
226. 횡강 6수 제3수 橫江詞六首 其三 310
227. 횡강 6수 제4수 橫江詞六首 其四 312
228. 횡강 6수 제5수 橫江詞六首 其五 314
229. 횡강 6수 제6수 橫江詞六首 其六 315
230. 금릉성 서쪽 누대의 달 아래에서 읊다 金陵城西樓月下吟 317
231. 동산 東山吟 319
232. 승가 대사 僧伽歌 322
233. 흰 구름을 노래해 산으로 돌아가는 유씨를 보내다 白雲歌送劉十六歸山 326
234. 금릉을 노래하여 범선을 떠나보내다 金陵歌送別范宣 328
235. 우스워서 노래하다 笑歌行 332
236. 슬퍼 노래하다 悲歌行 338
237. 추포 17수 제1수 秋浦歌十七首 其一 344
238. 추포 17수 제2수 秋浦歌十七首 其二 346
239. 추포 17수 제3수 秋浦歌十七首 其三 348
240. 추포 17수 제4수 秋浦歌十七首 其四 349
241. 추포 17수 제5수 秋浦歌十七首 其五 350
242. 추포 17수 제6수 秋浦歌十七首 其六 351
243. 추포 17수 제7수 秋浦歌十七首 其七 352
244. 추포 17수 제8수 秋浦歌十七首 其八 354
245. 추포 17수 제9수 秋浦歌十七首 其九 356
246. 추포 17수 제10수 秋浦歌十七首 其十 358
247. 추포 17수 제11수 秋浦歌十七首 其十一 360
248. 추포 17수 제12수 秋浦歌十七首 其十二 361
249. 추포 17수 제13수 秋浦歌十七首 其十三 362
250. 추포 17수 제14수 秋浦歌十七首 其十四 363
251. 추포 17수 제15수 秋浦歌十七首 其十五 365
252. 추포 17수 제16수 秋浦歌十七首 其十六 366
253. 추포 17수 제17수 秋浦歌十七首 其十七 367
254. 조염 당도현위의 산수벽화 當塗趙炎少府粉圖山水歌 368
255. 영왕의 동쪽 순행 11수 제1수 永王東巡歌十一首 其一 373
256. 영왕의 동쪽 순행 11수 제2수 永王東巡歌十一首 其二 375
257. 영왕의 동쪽 순행 11수 제3수 永王東巡歌十一首 其三 377
258. 영왕의 동쪽 순행 11수 제4수 永王東巡歌十一首 其四 379
259. 영왕의 동쪽 순행 11수 제5수 永王東巡歌十一首 其五 380
260. 영왕의 동쪽 순행 11수 제6수 永王東巡歌十一首 其六 382
261. 영왕의 동쪽 순행 11수 제7수 永王東巡歌十一首 其七 383
262. 영왕의 동쪽 순행 11수 제8수 永王東巡歌十一首 其八 385
263. 영왕의 동쪽 순행 11수 제9수 永王東巡歌十一首 其九 387
264. 영왕의 동쪽 순행 11수 제10수 永王東巡歌十一首 其十 389
265. 영왕의 동쪽 순행 11수 제11수 永王東巡歌十一首 其十一 391
266. 현종의 서쪽 남경 순행 10수 제1수 上皇西巡南京歌十首 其一 393
267. 현종의 서쪽 남경 순행 10수 제2수 上皇西巡南京歌十首 其二 395
268. 현종의 서쪽 남경 순행 10수 제3수 上皇西巡南京歌十首 其三 396
269. 현종의 서쪽 남경 순행 10수 제4수 上皇西巡南京歌十首 其四 398
270. 현종의 서쪽 남경 순행 10수 제5수 上皇西巡南京歌十首 其五 399
271. 현종의 서쪽 남경 순행 10수 제6수 上皇西巡南京歌十首 其六 401
272. 현종의 서쪽 남경 순행 10수 제7수 上皇西巡南京歌十首 其七 403
273. 현종의 서쪽 남경 순행 10수 제8수 上皇西巡南京歌十首 其八 404
274. 현종의 서쪽 남경 순행 10수 제9수 上皇西巡南京歌十首 其九 406
275. 현종의 서쪽 남경 순행 10수 제10수 上皇西巡南京歌十首 其十 407
276. 아미산의 달 峨眉山月歌 409
277. 아미산의 달을 노래하여 장안으로 들어가는 촉 땅의 스님 안을 보내다 峨眉山月歌送蜀僧晏入中京 411
278. 적벽을 노래하여 송별하다 赤壁歌送別 414
279. 강하 江夏行 416
280. 신선을 그리워하다 懷仙歌 421
281. 여도사 옥진공주 玉眞仙人詞 424
282. 청계 靑溪行 426
283. 은좌명께서 오운구를 주신 것에 감사하다 酬殷佐明見贈五雲?歌 428
284. 길을 떠나다 臨路歌 434
285. 옛 뜻 古意 436
286. 산자고 山??詞 439
287. 역양의 장사 근사제 장군의 노래 및 서문 歷陽壯士勤將軍名思齊歌 幷序 442
288. 초서를 노래하다 草書歌行 445
289. 노 시어의 <통당곡>에 화답하다 和盧侍御通塘曲 450

저자소개

저자 이백(李白, 701~762)은 자는 태백太白이고 호는 청련거사靑蓮居士이며 별칭으로 적선謫仙이라 불리기도 한다. 시선詩仙이라 불리며 시성詩聖인 두보杜甫와 더불어 중국 고전 시가의 최고봉이다. 젊었을 때 유가, 도가, 종횡가, 유협 등을 익혔으며 중국 각지를 유람하며 다양한 지역 문화를 접하였다. 42세 때 현종의 부름을 받아 한림공봉을 하였지만 일 년 남짓 있다가 궁을 떠나 천하를 주유하였다. 자신을 대붕大鵬에 비유하며 기상을 떨치고자 하였지만 결국 실패하고 쓸쓸히 세상을 떠났다. 그의 시에는 호방하고 높은 기상이 빛나며 타고난 상상력으로 불후의 작품을 많이 남겼다. 그가 남긴 시는 중국뿐만 아니라 한국의 문인들에게도 영향을 많이 미쳤으며 지금도 세계의 많은 사람들이 그의 시를 애송하고 있다.

도서소개

이백의 시 1072수를 한국어로 번역하였다. 현재 남아있는 그의 시는 물론이고 일부 구절만 남아있는 것까지 모두 수록하여 세계 최초로 그의 시를 완전하게 수록하였다. 그리고 한국, 중국, 대만, 일본 등의 역대 주석가와 번역가의 연구 성과를 모두 참조하여 명실상부 세계 최고의 이백 시집을 만들었다.

교환 및 환불안내

도서교환 및 환불
  • ㆍ배송기간은 평일 기준 1~3일 정도 소요됩니다.(스프링 분철은 1일 정도 시간이 더 소요됩니다.)
  • ㆍ상품불량 및 오배송등의 이유로 반품하실 경우, 반품배송비는 무료입니다.
  • ㆍ고객님의 변심에 의한 반품,환불,교환시 택배비는 본인 부담입니다.
  • ㆍ상담원과의 상담없이 교환 및 반품으로 반송된 물품은 책임지지 않습니다.
  • ㆍ이미 발송된 상품의 취소 및 반품, 교환요청시 배송비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 ㆍ반품신청시 반송된 상품의 수령후 환불처리됩니다.(카드사 사정에 따라 카드취소는 시일이 3~5일이 소요될 수 있습니다.)
  • ㆍ주문하신 상품의 반품,교환은 상품수령일로 부터 7일이내에 신청하실 수 있습니다.
  • ㆍ상품이 훼손된 경우 반품 및 교환,환불이 불가능합니다.
  • ㆍ반품/교환시 고객님 귀책사유로 인해 수거가 지연될 경우에는 반품이 제한될 수 있습니다.
  • ㆍ스프링제본 상품은 교환 및 환불이 불가능 합니다.
  • ㆍ군부대(사서함) 및 해외배송은 불가능합니다.
  • ㆍ오후 3시 이후 상담원과 통화되지 않은 취소건에 대해서는 고객 반품비용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반품안내
  • 마이페이지 > 나의상담 > 1 : 1 문의하기 게시판 또는 고객센터 1800-7327
교환/반품주소
  • 경기도 파주시 문발로 211 1층 / (주)북채널 / 전화 : 1800-7327
  • 택배안내 : CJ대한통운(1588-1255)
  • 고객님 변심으로 인한 교환 또는 반품시 왕복 배송비 5,000원을 부담하셔야 하며, 제품 불량 또는 오 배송시에는 전액을 당사에서부담 합니다.